ADVERTISEMENT

핵개발 본산 풍계리, 북 내부선 ‘귀신병’ 공포 진원지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85호 06면

북한이 24일 연쇄 폭파 작업을 단행했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은 그동안 한반도의 핵 위기를 급상승시켜 온 현장이었다. 북한이 ‘북부 지하 핵시험장’이라고 부르는 이곳에서 2006년 10월 이후 여섯 차례의 핵실험이 실시됐다. 여섯 차례 중 네 차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뒤 이뤄졌다. 김정은 시대 핵폭탄 개발의 본산이다.

2006년 이후 여섯 차례나 핵실험 #“성별 알 수 없는 아이 태어났다 #산천어·송이버섯 사라졌다” 소문

2006년 10월 9일 벌어졌던 1차 핵실험은 한반도에서 핵 재앙의 공포를 현실화했다. 이후 2009년 5월 25일, 2013년 2월 12일, 2016년 1월 6일 및 9월 9일, 2017년 9월 3일 등 이곳에서 핵분열에 따른 지진파가 감지될 때마다 남쪽 한국과 국제사회의 핵 불안지수는 계속 올라갔다. 북한이 이곳에서 핵실험의 경험을 축적하면서 외부 세계에서 북한이 어떤 단계의 핵폭탄을 실험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어려워졌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1, 2차 핵실험 직후 핵실험 때 발생한 동위원소(핵종·核種)를 대기 중에서 포집해 각각 플루토늄과 고농축우라늄(HEU)을 사용한 것을 확인했다. 북한이 플루토늄탄과 우라늄탄 모두를 만들었음을 확인했다. 하지만 3차 핵실험 이후 핵종 포집은 실패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핵실험을 거듭하며 화강암의 석영 성분을 녹일 만큼 폭발력이 향상됐기 때문”이라며 “석영이 순간적으로 충분히 녹아 일종의 코팅 역할을 하며 방사성 물질이 밀봉되는 효과도 커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풍계리는 해발 2205m의 만탑산을 비롯해 기운봉·학무산·연두봉 등 해발 1000m 이상의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산지의 암반은 화강암이 대부분이다. 북한은 지하 암반에 달팽이관 모양으로 빙글빙글 갱도를 뚫어 갱도 끝에서 핵실험을 실시했다. 이들 갱도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개였다. 핵실험이 잇따르며 풍계리는 북한 내부에선 ‘귀신병’ 공포의 진원지였다. 2016년부터 탈북자들을 통해 “성별을 알 수 없는 아이가 태어났다” “핵실험 때 풍계리 인근에서 군관 가족들만 미리 대피시켰다” “길주 특산품인 산천어·송이버섯이 사라졌다”는 소문이 한국에까지 흘러들었다.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의 완전 폐기를 약속했지만 핵 없는 한반도를 만드는 데서 풍계리는 이미 레드라인을 넘었던 곳이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