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싱가포르서 바람맞은 미국, 펜스도 공격당하자 초강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4일 백악관 연설을 통해 6월 12일 싱가포르 회담 취소를 공식 선언했다.[EPA=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4일 백악관 연설을 통해 6월 12일 싱가포르 회담 취소를 공식 선언했다.[EPA=연합]

“북한은 지난주 싱가포르 준비 회담에 연락도 없이 나타나지 않았다. 직접 통신도 중단한 채 처음 전한 소식이 ‘핵과 핵 대결장에서 만날지 결정하라’는 협박 성명이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가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6ㆍ12일 싱가포르 북ㆍ미 정상회담을 취소한 배경에 대해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 대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아둔한 얼뜨기'란 비난 때문 만이 아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수 주간의 약속 위반과 연락 두절은 북한의 이상한 오판과 함께 회담에 대한 북한의 심각한 성의 부족을 보여준 것"이라고 했다.

"기다리고 또 기다렸지만 연락끊어…북 성의없었다"   

백악관이 약속 위반이라고 꼽은 대표적 사례가 지난주 싱가포르에서 조셉 헤이긴 백악관 비서실 부실장 등과 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 접촉에 일방적으로 ‘노쇼’, 불참한 것이다. 백악관 관계자는 “싱가포르 실무접촉은 지난 9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두 번째 방북 때 북측이 약속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헤이긴 부실장 등 미국 측 실무 준비팀이 싱가포르 약속장소에서 기다리고 또 기다렸지만, 북한은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지난주 실무접촉 기다렸지만 안 나타나" #폼페이오와 김영철 '핫라인' 연락도 두절 #트럼프 "김계관 CVID반대에 北 변화 감지"

그러면서 지난 16일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맥스썬더 훈련에 대한 “도발적인 군사적 소동”이란 비난과 남북 고위급 회담 취소,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에 전문가 참관 거부 등도 북한의 약속 위반으로 거론했다. 3월 한국의 방북 특사단에 북·미 정상회담을 제안할 때 한미 연합훈련을 양해한다고 했던 것과 남북 정상회담 및 폼페이오 방북때 전문가 참관을 허용하겠다고 했던 말을 어겼다는 것이다.
북한의 통신 중단과 관련해서도 폼페이오 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간 핫라인으로 “수많은 연락을 시도했지만 응답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든 회담을 떠날 수 있다’고 했던 자신의 말을 지킨 것”이라며 “대통령이 취소 서한에서 언젠가 김정은과 만날 수 있다고 열어놨지만 가장 중요한 목표는 회담 자체가 아니라 한반도 비핵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미국과 동맹국 안보와 안전에 대해선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어떻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 이후 북한의 태도가 변했다고 생각하게 됐느냐”는 질문에 “김계관 부상의 성명은 행정부의 사람이 아니라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라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이래 미국의 정책을 반대했다”고 말했다. “어떻게 남북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선언한 지2주 만에 비핵화에 반대할 수 있느냐”라고도 반문하며 “수수께끼 같은 일”이라고도 했다.

그는 6ㆍ12회담을 되살릴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핵심은 공은 북한으로 넘어갔고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이라며 “정상회담은 지난 수개월처럼 엄청난 양의 준비와 일정한 실무 대화가 요구되는데 6월 12일에 한다는 건 10분후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6ㆍ12회담을 예정대로 여는 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취소를 결정하기까지 과정도 설명했다. 현지시각 23일 밤 최선희 부상의 성명이 발표되자마자 이를 보고받았고, 24일 오전에 국가안보팀을 소집하고 마이크 펜스 부통령,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과 상의한 후 취소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군사적 대결 얼마나 가까워졌냐"엔 "최대한 압박 지속" 

백악관 관계자는 “22일 한국은 회담 성사 가능성을 99.9%라고 했는데 한ㆍ미간 기대 차이가 상당한 것 같다”는 질문에 “한국이 갖지 못한 우리가 직접 대북 외교 및 접촉을 통해 알게 된 문제점 등을 전달했다”며 “문 대통령에게도 단독 회담과 오찬에서 김 위원장을 향한 우리의 회의적 시각을 충분히 알렸다”고 설명했다. "오늘 회담 취소로 군사적 대결과 얼마나 더 가까워졌나"는 질문엔 "그 점에 대해선 말할 게 없다"며 "강조하고 싶은 건 대통령이 말한 대로 행정부 출범 첫날부터의 최대한 압박 정책이 계속될 것이란 점"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