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기 하남서 발견된 ‘백제 최고위층 석실 무덤’…그 안에는

중앙일보

입력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왼쪽)과 하남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 벽에 회가 남아 있다.(오른쪽) [고려문화재연구원, 하남역사박물관 제공=연합뉴스]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왼쪽)과 하남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 벽에 회가 남아 있다.(오른쪽) [고려문화재연구원, 하남역사박물관 제공=연합뉴스]

경기 하남 감일동에서 백제 최고위층 무덤 수십 기가 나왔다.

무덤이 발견된 곳은 한성도읍기 백제 왕성이 확실시되는 서울 풍납토성(사적 제11호)과 약 4km 떨어진 곳이다.

22일 하남시와 하남역사박물관에 따르면 하남 감일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부지에서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굴식 돌방무덤) 50기가 발견됐다.

이 무덤은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초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단에 따르면 지금까지 전국에서 확인된 백제 횡혈식 석실분은 모두 70여 기로 서울 인근에서 이처럼 많은 백제 석실분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고분은 당시 백제 건축문화와 생활상, 국제 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백제사를 규명하고 복원할 수 있는 핵심자료로 평가된다.

이번에 발견된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은 네 곳에 무리를 지어 있다.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 [고려문화재연구원 제공=중앙포토]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 [고려문화재연구원 제공=중앙포토]

경사면에 땅을 판 뒤 직사각형의 무덤구덩이(묘광墓壙) 을 만들고, 바닥을 다진 뒤 평평한 돌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구조다.

묘광과 돌 사이는 흙을 얇은 판 모양으로 켜켜이 다져 올리는 '판축기법'을 썼고, 천장은 점차 오므라드는 '소위 궁륭식'이다.

일부 무덤에서는 벽을 마감한 회도 발견됐고, 무덤으로 향하는 길은 대부분 오른쪽에 자리했다.

무덤 크기는 묘광이 세로 330∼670㎝, 가로 230∼420㎝이고, 석실은 세로 240∼300㎝, 세로 170∼220㎝다. 높이는 180㎝ 내외다. 무덤 간 거리는 약 10∼20m다.

문재범 하남역사박물관장에 따르면 일부 무덤은 두 번 이상 사용한 흔적이 있었다. 문 관장은 "시신과 껴묻거리를 안치했다가 시간이 흐른 뒤 안쪽으로 밀어 넣고 또다시 장례를 치른 것 같다"고 말했다.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에서 나온 부뚜막형 토기(왼쪽)와 청자 계수호(오른쪽) [하남역사박물관 제공=연합뉴스]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에서 나온 부뚜막형 토기(왼쪽)와 청자 계수호(오른쪽) [하남역사박물관 제공=연합뉴스]

무덤에서는 부장품도 발견됐다.

발견된 부장품은 직구광견호(直口廣肩壺·아가리가 곧고 어깨가 넓은 항아리)를 비롯해 중국에서 제작된 청자 계수호(鷄首壺·닭머리가 달린 항아리)와 사각뿔에 동그란 구멍을 뚫은 것 같은 부뚜막형 토기 2점이다.

문 관장은 "신라 무덤과 비교해 백제 무덤은 껴묻거리가 많지 않은데, 국내에서 청자 계수호와 사각뿔에 동그란 구멍을 뚫은 모양의 부뚝막형 토기가 발굴된 것을 국내에서 최초"라고 설명했다.

그는 "청자는 당시 중국에서만 만들 수 있었고, 부뚜막형 토기를 무덤에 묻는 풍습은 중국에 있었다"며 "백제가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알려주는 결정적 증거"라고 덧붙였다.

한편 하남시는 석실분 28기가 밀집한 지역을 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공원 한편에는 이전·복원할 석실분 15기와 유물을 전시할 박물관이 들어선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