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성운의 역사정치] 영조도 당했다. 조선도 '드루킹' 있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성운의 역사정치⑰

1755년(영조 31년) 1월 전라도 나주. 밤사이 누군가 붙여 놓은 한 장의 괘서(掛書) 앞에 사람들이 모여 수군거립니다. 얼마 후 얼굴이 새하얗게 질린 포졸들이 달려와 수거해 갔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읽은 뒤였습니다. 사람들의 입과 입을 통해 전해진 이 한 장의 괘서가 결국 정국을 뒤흔들기 시작하며 걷잡을 수 없는 피바람을 불러 일으킵니다.
훗날 역사에서는 조선 후기 소론계를 몰살 직전까지 끌고 갔던 이 사건을 '나주 괘서사건'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조선판 댓글부대 유언비어-괘서(掛書) 

조선의 르네상스로 알려진 영ㆍ정조 시대는 아이러니하게도 이전 어느 시기보다도 체제 전복을 꾀하는 ‘불온한’ 움직임이 많았습니다. 이인좌의 난(1728), 남원 괘서사건(1733), 문의 괘서사건(1748), 나주 괘서사건(1755), 홍상범 역모사건(1777), 문인방 역모사건(1783), 문양해 역모사건(1785), 교영계 역모사건(1787) 등 각종 반체제 사건들이 심상찮게 이어졌습니다.

시작점은 대개 유언비어였습니다. 지금처럼 온라인 댓글을 이용할 수는 없었지만 거짓 소문을 만들어 여론을 왜곡할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었습니다. 가장 널리 쓰인 것은 익명으로 글을 쓴 뒤 시장처럼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에 붙여 방방곡곡에 퍼지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것을 ‘괘서’라고 불렀습니다.

조선 21대 왕 영조 어진. [제공=문화재청]

조선 21대 왕 영조 어진. [제공=문화재청]

영조 31년 나주에 붙었던 괘서의 내용은 지금까지도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나주 괘서 뿐 아니라 조선시대 붙었던 수많은 괘서의 내용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이유가 있습니다.
괘서엔 정치적으로 과격한 내용이 담겼는데, 주로 고위 관료나 임금이 타깃이었습니다. 특히 임금에 대한 내용은 차마 그대로 옮길 수 없기 때문에 『조선왕조실록』 등에도  ‘4자 흉언’, ‘6자 흉언’, ‘8자 흉언’이라는 식으로 대체됐습니다. 그래서 괘서가 발견되면 불태운 뒤 내용만 상부에 보고하곤 했습니다.

정치판을 뒤흔든 나주 괘서 스캔들 

『영조실록』을 보면 나주 괘서에 담긴 내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던 것 같습니다.

 “임금이 내사복(內司僕)에 나아가 친히 국문하였는데, 임금이 진노하여 주장(朱杖)으로 때리게 하였으나 윤혜(尹惠)는 혀를 깨물고 말을 하지 않았다…역적 윤혜가 복주(伏誅ㆍ고문 중 사망)되었다. 영부사가 간하기를, ‘전하께서 매양 급하시기 때문에 자세한 실정을 알아내지 못한 것입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급하게 해도 오히려 실토하지 않는데, 더군다나 느슨하게 해야 하겠는가?’”(영조실록 31년 5월 6일 )

국왕인 영조가 직접 국문에 참여한데다, 주변 신하들이 만류할 정도로 냉정함을 잃고 격분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은 지금 봐도 여러모로 범상치 않은 부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국왕이 직접 지휘하며 조선의 모든 수사 역량을 투입해 4개월간 조사를 진행했는데, 수감 중이던 주요 용의자가 독살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범인은 수사에 참여했던 포도청 관리로 드러났습니다. 지금으로 말하면 수사본부에 파견된 경찰관이 체포된 용의자를 독살한 셈입니다. 수사관이 '진상 은폐'를 시도한 셈이니 조정은 경악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임금의 역린을 건드린 괘서

앞서 말했듯이 나주 괘서의 내용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기록을 통해 대략 유추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

“신치운이 말하기를, ‘신(臣)은 갑진년 부터 게장을 먹지 않았으니 이것이 바로 신의 역심(逆心)이며, 심정연의 흉서 역시 신이 한 것입니다’라고 하니, 임금이 분통하여 눈물을 흘리고, 시위(侍衛)하는 장사(將士)들도 모두 마음이 떨리고 통분해서 곧바로 손으로 그의 살을 짓이기고자 하였다.” (영조실록 31년 5월 20일)

조선 영정조 시대를 다룬 MBC 사극 '이산'에서 영조(이순재) [사진제공=MBC]

조선 영정조 시대를 다룬 MBC 사극 '이산'에서 영조(이순재) [사진제공=MBC]

힌트는 신치운이 언급한 ‘게장’이 코드입니다.
영조의 배다른 형이자 선대왕이었던 경종은 와병 중에 게장과 생감을 먹고 복통과 설사를 일으키며 병세가 악화됐습니다. 경종이 36세라는 나이에 급사하자 왕위는 자연스럽게 왕세제였던 연잉군(영조)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런데 이 게장과 생감을 놓고 정치적 풍파가 일어납니다.
한의학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게장과 탄닌이 들어있는 생감은 상극(相剋)이라고 설명합니다. 때문에 누군가 경종을 시해할 목적으로 이를 올렸다는 풍문이 나돌기 시작했고, 경종을 옹립했던 소론 측은 배후로 연잉군(영조)을 지목했습니다.

양념게장.

양념게장.

물론 영조는 펄쩍 뛰었습니다. 심지어 왕위에 오른 뒤에도 이를 재차 부인할 정도로 이 사건은 파장이 컸고, 영조의 정통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사건이 됐습니다.
때문에 신치운이 “갑진년(경종이 급사한 해)부터 게장을 먹지 않았으니…”라고 던진 말 속엔 이런 정치적 배경이 담겨 있었습니다. 괘서 역시 아마도 이런 내용이 담겨져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영조로서는 가장 큰 역린이 건드려진 셈이었죠.

결국 이 사건은 영조를 지지하지 않던 소론계가 배후에 있는 것으로 수사가 종결되면서 대대적인 숙청으로 이어졌습니다. 당시 숙청 규모를 보면 영조의 분노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소론의 주요 인사 500명이 사형된 것은 물론 이들 집안의 가족들은 노비로 만들었습니다. 또한 조태구 등 이미 사망한 소론 주요 리더들의 관직도 삭탈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소론과 가깝다는 이유로 밀풍군 이탄을 비롯한 많은 종친들까지 사정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괘서의 위력은 어느 정도 였을까

“4월에 마침 문의 노곡에 갔었는데 보를 쌓던 역군들이 흩어져서 달아나고 있었습니다. 이곳저 곳을 거쳐 문의 무릉정에 갔었는데, 이신이란 자의 집 앞산과 뒷산에 피란하는 사람이 많은 걸 보았습니다.” (『영조실록』 24년 5월 24일)

“문의 고을 백성들이 내달 15일에 의당 어육(魚肉)이 될 것이다. 회덕(충남 회덕)도 그들의 당여이고, 회인(충남 회인)도 그들의 당여이며, 병사(兵使)도 그들의 당여이다. …왜인 같지만 왜인이 아닌 것이 남쪽에서 오는데…여기에서 나가지 않으면 큰 화를 당할 것이다.”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무진죄인지서추안(戊辰罪人之曙推案」 中)

영조 24년(1748) 충청도 문의에서 발생한 괘서사건의 파장입니다. 관리들이 나서도 좀처럼 진정시키기 어려웠습니다. 전근대사회에서 괘서의 위력은 지금의 댓글조작 못지 않게 파급력이 컸습니다.

영조 때 벌어진 이인좌의 난을 다룬 SBS 사극 '대박' [tkwlswprhd=뉸]

영조 때 벌어진 이인좌의 난을 다룬 SBS 사극 '대박' [tkwlswprhd=뉸]

반란 주도 세력이 용의주도하게 괘서를 배포해 효과를 본 적도 있습니다.
1727년 12월 12일 전라도 전주 시장에 붙은 괘서는 이틀 뒤 남원 시장에 붙었고 다음달엔 서울에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두 달 뒤 이인좌의 난이 벌어졌습니다. 이때의 괘서 사건은 반란을 일으키기 전 민심 혼란을 목적으로 전주 → 남원 →서울로 이어지는 일련의 시나리오에 의해 추진된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이인좌의 난은 사전 여론작업 덕인지 순식간에 경기 안성·죽산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조정을 긴장시키기도 했습니다.

[유성운의 역사정치]

유언비어 세력과 결합한 예언서  

괘서에 한층 힘을 실어준 것은 예언서였습니다. 『남사고비결(南師古秘訣)』, 『정감록(鄭鑑錄)』, 『요람(要覽)』 등 조선 왕조의 종식을 예언한 서적들이 영·정조 시대부터 사회에 급속하게 퍼져 나갔고 역모 세력의 길잡이 역할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예언서의 대명사처럼 인식된 『정감록』이 처음 역모사건의 수사기록에 등장한 것은 정조 시대인데, 이 무렵엔 한글 『정감록』이 나올 정도로 민간에 널리 보급됐다고 합니다.

조선 후기 민중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예언서 『정감록(鄭鑑錄)』, [중앙포토]

조선 후기 민중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예언서 『정감록(鄭鑑錄)』, [중앙포토]

이들 예언서에서 주로 인용된 것은 크게 두 가지, ‘이망정흥(李亡鄭興)’과 ‘해도기병설(海島起兵說)’입니다.

“백두산에서 내려온 맥운(脈運)이 금강(金剛)으로 옮아가고 태백.소백에 이르게 되니 산천종기가 계룡산으로 흘러들어 가서 정씨(鄭氏)의 팔백년 도읍지가 될 것이고…” (『감결(鑑訣)』)

잘 알려져 있다시피 조선 후기를 풍미한 각종 예언서의 공통 분모는 이씨(李氏)가 망하고 계룡산을 중심으로 한 정씨(鄭氏)의 세상이 온다는 것입니다.
‘해도기병설(海島起兵說)’은 정씨 성을 가진 진인(眞人)이 바다의 섬에서 군사를 이끌고 나와 새 왕조를 개창한다는 내용입니다.

“임자년 2월에 정가가 먼저 해도에서 기병하고, 유가와 김가가 이를 따라 일어난다고 하였습니다.”(『정조실록(正祖實錄)』 9년 3월 1일)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정도령이 대만을 근거지로 명나라의 재건을 꿈꾸며 청나라와 맞서 싸운 정성공이라는 설도 있다.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정도령이 대만을 근거지로 명나라의 재건을 꿈꾸며 청나라와 맞서 싸운 정성공이라는 설도 있다.

경제민주화와 십승지(十勝地)

조선 후기 예언서를 이용한 거사 모의 세력들은 대개 불평등한 사회ㆍ경제적 구조의 해소를 주장했습니다. 『정감록』의 원전으로 불리는 『감결』엔 “부자는 돈과 재물이 많기 때문에 섶을 지고 불에 들어가는 것 같고, 가난한 자는 일정한 직업이 없으니 어디를 가든 빈한하게야 살지 못하랴” “가난한 자는 살고 부자는 죽을 것이다” 등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문제의식이 담겼습니다.

백년이 넘도록 정감록만을 신봉하며 살고 있는 영예군 농기읍 내금계 마을 전경이다.

백년이 넘도록 정감록만을 신봉하며 살고 있는 영예군 농기읍 내금계 마을 전경이다.

혼란한 시대에 안전을 보전할 장소를 제시하는 것도 공통된 특징입니다. 『남사고비결』ㆍ『정감록』은 모두 일신을 보전할 수 있는 ‘십승지(十勝地)’를 언급하며, 이곳에서 이상적인 공동사회 건설을 지향했습니다.

또 하나 흥미로운 부분은 거사 모의세력 인적 구성입니다.
중인이 지휘하는 반군에 양반이 합류하고, 불교 승려가 반체제 지도자와 결탁하는가 하면, 서울 양반들이 왕조 타도를 주창하는 도교의 도사에게 거액의 기부금을 바치는 등 기존 성리학적 질서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상황이 나타납니다. 이는 당시 정치ㆍ사회의 주류가 되기 어렵다고 체념한 몰락 양반이나 비주류들이 왕조 교체만이 살 길이라고 여겼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심지어 정조 때 벌어진 문인방 역모사건에는 노론 영수 송시열의 직계 후손인 송덕상 집안이 연관된 것으로 드러나 큰 충격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21세기에 등장한 드루킹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선 드루킹을 보면, 조선 후기 예언서를 이용한 모의세력이 다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당시 모의 세력이 성벽이나 시장에 붙이는 궤서로 여론을 조종했듯, 이들은 ‘현대판 궤서’ 댓글을 이용했습니다. 또한 세력화 과정에서 『격암유록 (格菴遺錄)』이라는 예언서를 이용해 자신의 카리스마를 확립했죠.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주범인 '드루킹' 김모씨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주범인 '드루킹' 김모씨

자신이 이끌던 ‘경제적공진화모임’ 회원들에게는 파주 ‘두루미타운’이라는 곳에 모여 공동체 생활을 하도록 했다는데, 그 이유로 “전쟁에서 몸을 피할 수 있는 땅의 세 가지 조건에 가장 합당한 곳”이란 점을 들었다는 점은 ‘십승지’를 연상시킵니다. 경제민주화를 통해 재벌을 해체하고 부를 균등분배할 것이라는 이상을 꿈꾸었다는 점도 공통점입니다.

이런 드루킹 논란을 두고 여야의 공방이 뜨겁습니다. 야권이 특검을 강력히 요구하자, 여권은 “우리도 피해자”라면서도 “특검은 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는 새 여권 핵심 실세인 김경수 의원과 대통령 영부인 김정숙 여사까지 이들과 가까웠다는 의혹이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

경찰이 더불어민주당 당원 김모(필명 ‘드루킹’)씨의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의 관련해 결과적으로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깜싸주는 발표를 한 셈이 됐다. 왼쪽부터 김경수 더불이민주당 의원, 김씨,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 [중앙포토ㆍ연합뉴스]

경찰이 더불어민주당 당원 김모(필명 ‘드루킹’)씨의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의 관련해 결과적으로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깜싸주는 발표를 한 셈이 됐다. 왼쪽부터 김경수 더불이민주당 의원, 김씨,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 [중앙포토ㆍ연합뉴스]

18세기 영ㆍ정조는 여론을 왜곡 선동하는 각종 마타도어 세력을 엄벌하려 애썼습니다. 이같은 여론왜곡이 질서의 근간을 흔들 것으로 염려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배후의 뿌리까지 발본색원하지는 못한 적이 많았습니다. 민심을 바르게 교화하고 이들의 술책이 통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 정도(正道)라고 봤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당여들을 찾아내어 숨겨진 내막을 적발하여 기어코 없애려고 한다는 것은 내가 듣고 싶은 바가 아니다…기어코 오염된 풍속을 변화하도록 하라.” (정조실록 6년 12월 27일)

조선 21대 국왕 정조 [중앙포토]

조선 21대 국왕 정조 [중앙포토]

오늘날 드루킹 사건 수사는 이런 전철을 밟지 않았으면 합니다. 이 사건의 핵심은 여권 정치인의 연관 여부 못지않게, 소수가 다수의 여론을 왜곡하고 민주주의 체제의 근본을 뒤흔들었다는 데 있습니다. 검ㆍ경 수사든 특검이든, 이번 사건의 실체를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하는 이유입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이 기사는 고성훈 『조선 후기 유언비어 사건의 추이와 성격- 정감록(鄭鑑錄) 관련 사건을 중심으로』·『조선 후기 민중사상과 정감록(鄭鑑錄)의 기능』, 백승종 『정감록 역모사건의 진실게임』을 참고해 작성했습니다.

.

.

[유성운의 역사정치]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