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종청소’로 도피했던 미얀마 로힝야 난민 첫 귀국

중앙일보

입력

미얀마 정부군의 인종청소로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도피했던 로힝야족 70만명 중 일가족 5명 처음으로 귀국했다고 15일 AP통신 등이 전했다.

일가족 5명 방글라데시에서 돌아와 #정식 시민권 아닌 임시 신분증 받아 #유엔 “안전보장 등 귀환 환경 미흡” #목숨 건 로힝야족 보트 탈출은 계속

외신들에 따르면 미얀마 정부는 성명을 내고 “돌아온 로힝야 일가족은 이민ㆍ보건당국의 조사 뒤 정부가 제공한 식량과 담요 등 생필품을 받았다”며 “이들에게는 국가확인증(NVC)도 발급됐다”고 밝혔다. 국가확인증은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을 정식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미얀마 정부가 난민에게 발급하는 일종의 신분 증명이다.

지난해 11월 미얀마 정부의 탄압을 피해 방글라데시로 도피한 로힝야족 난민들이 발룩칼리 난민캠프에서 구호품을 받기 위해 손을 뻗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해 11월 미얀마 정부의 탄압을 피해 방글라데시로 도피한 로힝야족 난민들이 발룩칼리 난민캠프에서 구호품을 받기 위해 손을 뻗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얀마 정부는 자국 출신 로힝야 난민에게 일단 NVC를 발급하고, 향후 시민권 신청을 허용할 방침이다. 지난 13일 방글라데시 로힝야족 난민촌을 방문한 윈 미얏 아예 미얀마 사회복지ㆍ구호ㆍ재정착 담당 장관은 “미얀마는 빠른 난민 송환을 추진할 것”이라며 “로힝야족이 시민권을 받게될 경우 미얀마에서 다른 이들과 같은 권리를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얀마 정부 내에선 로힝야족 귀국이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유엔 등은 미얀마 정부의 준비가 부족하다며 비관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특히 “미얀마 정부가 귀국하는 로힝야족에게 임시 신분증 대신 정식 시민권을 줘야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지적이다. 시민권을 통한 신변 안전 보장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로힝야족 난민의 귀환이 순조롭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얀마의 실질적인 실권자 아웅산 수지.

미얀마의 실질적인 실권자 아웅산 수지.

유엔난민기구(UNHCR)은 “미얀마의 상황은 아직 로힝야족 난민의 자발적이고 안전한 귀환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며 “미얀마 정부가 난민귀환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유엔 기구가 미얀마 라카인주에서 난민 송환절차를 공정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보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실제 미얀마와 방글라데시는 지난해 11월 로힝야족 난민 전원을 2년 안에 귀국시키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난민들이 신변 안전과 시민권 문제로 귀국을 거부하면서 송환은 늦춰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로힝야족을 수십명씩 태운 보트가 미얀마를 탈출해 이웃국으로 향하는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인권단체들은 “수십명이 탑승한 소형 선박이 약간의 식량과 식수만을 싣고 바다에서 장거리 항해를 하는 것은 극히 위험한 일”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이달 6일 인도네시아 서부 아체주 인근 해역에선 로힝야족 보트가 긴급 구조되기도 했다. 20여 일에 걸친 항해로 이미 10명 중 5명 사망한 뒤였다. 3일엔 말레이시아 해역에서 56명이 탄 로힝야족 선박이 현지 해경에 의해 나포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에 불구 로힝야 난민선의 미얀마 탈출 러시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12일에는 70명을 태운 선박이 말레이시아를 향해 출항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 입국을 거부당할 경우 태국이나 인도네시아로 갈 계획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2년에도 미얀마 정부군과 로힝야 반군 간 유혈충돌을 피해 로힝야족 2만5000명이 해상을 통해 탈출을 했었다.
최익재 기자 ijcho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