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300만원 미세먼지 측정기 정확도는 48%…믿어도 되나?

중앙일보

입력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16개 제품에 대해 성능 평가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 환경부]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16개 제품에 대해 성능 평가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 환경부]

학교나 건설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미세먼지 간이측정기의 정확도가 48%에서부터 86%까지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더불어민주당 송옥주·강병원 의원실에 따르면,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시중에 판매되는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측정 정확도, 자료 획득률 등 성능 평가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정확도가 70%가 안 되는 제품이 16개 중 7개에 달했다. 정확도가 70% 미만이면 일반적으로 측정기나 계측기라고 부르기 어렵다는 게 업계나 전문가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한 수입산 미세먼지 측정기는 가격이 1300만원이나 되지만 정확도는 48.3%로 매우 낮았다. 반면, 국내 업체가 생산해 1100만원에 판매되는 설치형 측정기는 정확도가 86%로 가장 높았다.

조사 대상인 미세먼지 측정기는 설치 또는 거치 형태로 학교나 건설현상, 미세먼지 배출사업장, 도로변, 군부대 등에서 미세먼지 수치를 확인하는 데 쓰이고 있다. 50~100㎏ 정도의 무게로 별도 설치가 필요한 설치형 측정기는 가격이 400만~1800만 원 수준이고, 공중전화부스 등에 부착하는 거치형은 80만~1300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모두 광산란 방식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광산란 방식은 먼지에 빛을 쏴서 산란한 빛의 양을 측정, 이를 토대로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측정기 매출액도 수백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도를 검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공기청정기 등에 내장된 센서형 미세먼지 측정기는 정확도가 더 떨어졌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2016년 센서 방식의 측정기 7종에 대해 평가한 결과, 정확도가 10.3~49.1%로 매우 낮았다. 전문가들은 최근 시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 역시 센서형 방식을 쓰고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환경부 직속 미세먼지대책위원회 위원장인 정해관 성균관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는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치를 믿기보다는 장소별 차이를 비교해보고 상대적으로 수치가 높은 곳은 가급적 피하는 식으로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측정기 성능인증제 도입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 지난달 29일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가 뿌옇다. [뉴스1]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 지난달 29일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가 뿌옇다. [뉴스1]

정부와 국회는 미세먼지 간이측정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성능인증제를 내년에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성능인증제가 도입되면 미세먼지 간이측정기를 제작·수입하는 업체는 환경부의 인증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다만, 정확도가 떨어지는 센서형 측정기는 성능인증제 대상에서 제외하되 시민들이 구매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제품에 측정 정확도를 표시하도록 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간이측정기 성능평가를 토대로 올해 안에 등급 판정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도 지난달 법안소위를 열어 미세먼지특별법에 성능인증제를 포함하기로 했다.

송옥주·강병원 의원은 “간이측정기를 사용하는 시민과 민간기관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성능인증제가 필요하다”면서도 “환경부가 추가 성능 조사와 사용 실태 파악 등 면밀한 검토를 거쳐 도입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