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선 2035

좋은 소식이 뭔가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김경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경희 정치부 기자

김경희 정치부 기자

“뭐 좋은 소식은 없니?”

오랜만에 만난 회사 선배가 묻는다. 사실 엊그제 본 대학 친구, 조금 전에 통화한 취재원도 같은 걸 물었다. “좋은 소식 있으면 당연히 알려드려야죠”라고 말하고 웃어 넘기는 게 모범 답안임을 알면서도, 가끔은 부러 한 번씩 되묻는다. “좋은 소식이 뭔가요?”

안다, 무슨 의미인지. 미혼 여성에게는 결혼이, 기혼 여성에게는 출산이 ‘좋은 소식’이라는 것을. 결혼이나 출산에 부정적인 건 아니지만, 마냥 좋은 소식이라고 포장하기가 종종 껄끄러울 따름이다. 왜냐고? 그 좋은 것을 위해 들여야 하는 노력과 비용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 발표된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신혼부부(결혼 1년 미만)의 자가 비중이 37.7%로 전세(35.1%)를 앞질렀다. 불과 5년 전만 하더라도 자가 비중(32.3%)이 전세(44.1%)보다 적었지만, 이제는 주택 구입이 결혼의 전제조건처럼 되어버린 것이다. 게다가 지난해 혼인 건수는 26만 4500건으로 4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혼 때는 단칸방 하나만 있어도 행복하다는 건 박물관에나 들어가야 할 말이 됐다. 집 없이는 결혼할 엄두조차 못 내는 게 현실이라고 저런 통계가 말해준다. 부모의 도움을 받은 경우라면 그나마 나은 축에 속하고, 대부분 은행 빚을 낸다. 결혼 축의금의 다른 이름은 ‘융자의 노예’에게 주는 위로금일지도 모른다.

또 애를 낳으면 행복이 커지는 만큼 근심거리도 불어난다고들 한다. 출산 직후 1년씩이라도 번갈아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맞벌이 부부가 얼마나 될까. 말도 못하는 아이를 무작정 어린이집에 맡기고 맘 편한 부모가 어디 있을까. 여러 가지 이유로 또 조부모에게 손을 벌린다.

위아래 집에 살면서 평일에 언니네 아이를 봐주고 있는 엄마는 요새 나만 보면 “네 애는 네가 키우라”고 신신당부를 한다. 지금도 팔 다리 관절이 아프고 힘에 부치는데 더 나이 들면 정말 자신이 없다는 얘기다. 알겠다고 큰소리치고는 남자친구에게 슬쩍 묻는다. “오빠네 부모님은 아이 봐주실까?”

내집 마련, 육아 휴직…. 결혼과 출산을 염두에 두고 있는 20~30대 남녀들의 흔한 고민이 아닐까 싶다. 그러니 결혼도 출산도 축하하지 말자는 게 아니다. 당연히 축복받아야 할 일이지만, 그 누구보다 당사자에게 진정으로 ‘좋은 소식’이기를 바란다는 뜻이다. “좋은 소식 없니?”라는 질문을 받고 만감이 교차하지 않아도 되도록 말이다.

김경희 정치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