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취재일기

버스 대란 정말 피하려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강갑생 기자 중앙일보 교통전문기자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취지는 좋지만 이대로면 회사도, 기사도 문제고 버스 타는 서민들까지 피해를 봅니다.”

경기도에서 버스업체를 운영하는 A 사장이 얼마 전 한 얘기다. 그는 7월부터 시내버스, 시외버스 등 노선버스도 근로시간을 대폭 줄여야 하는 걸 두고 걱정이 컸다. 현재는 하루 일하고 하루 쉬는 격일제, 또는 이틀 일하고 하루 쉬는 복격일제를 하며 연장근로 시간을 사실상 무제한 쓸 수 있다. 특례업종이라 가능하다. 또 연장근로 수당을 통해 기사 임금도 어느 정도 맞춰줄 수 있었다.

그런데 7월부터는 특례업종에서 제외돼 연장근로는 무조건 12시간을 넘길 수 없다. 근무체계 자체가 흔들리게 된다. 이런 처지인 시내버스가 전국 시내버스의 54%다. 중간에 교대라도 하려면 기사를 더 뽑아야 하는데 전국적으로 당장 1만 2000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경기도만 8000명 선이다. 자격과 경력을 갖춘 인력을 단시간에 대규모 채용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설령 뽑을 수 있다고 해도 인건비 부담이 걱정이다. 여기까지는 회사 문제다.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버스 기사들은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만큼 임금이 줄 수밖에 없다. 노사 협의를 통해 어느 정도 보전을 받더라도 한계가 있다. 임금이 최대 30%까지 떨어질 거란 계산도 나온다. 기사도 문제인 까닭이다. 이런 비용 부담을 해소하려면 정부·지자체가 지원을 해주거나 버스 요금을 올리는 방법뿐이다.

당장 버스업계 노사는 ▶버스요금 인상 및 정례화 ▶버스 준공영제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또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을 경우 7월부터 운행 횟수와 노선을 줄이겠다고 경고한다. 서민들의 발이 묶일 수밖에 없다. 자칫 경력이 일천한 기사들을 대량 투입하는 경우에는 안전도 우려된다. 그래서 서민도 피해다.

더 큰 문제는 당장 대책이 마땅치 않다는 거다. 갑자기 버스 기사를 대량 양성할 수도 없다. 준공영제 확대도 많은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 관련 부처 공무원 마저 “워낙 갑작스럽게 근로시간 단축이 진행되다 보니 참 어렵다”고 말할 정도다. 노선버스의 근로시간 단축을 1~2년 유예하고, 그 사이에 ▶기사 육성 ▶재원 부담 ▶준공영제 확대 등에 대한 제대로 된 방안을 만들자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무조건 정해진 시한대로 밀어붙이는 ‘닥공’(닥치고 공격)보다는 조금 늦더라도 서민의 발을 안전하고 안정되게 가다듬는 게 필요하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