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 대통령 “제주 4·3 이념의 틀로 보면 안 돼 … 국가폭력 사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3일 유가족들과 함께 헌화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고통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현직 대통령이 4·3 추념식에 참석한 건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김상선 기자]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3일 유가족들과 함께 헌화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고통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현직 대통령이 4·3 추념식에 참석한 건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김상선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3일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 더 이상 4·3의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노무현 이어 12년 만에 추념식 참석 #“무고한 양민, 이념의 이름으로 희생 #억울함 풀고 명예 회복되게 할 것” #한국당 “남로당 무장폭동서 시작 #권력이 역사마저 새로 규정하나”

문 대통령은 이날 4·3사건 70주년을 맞아 제주 평화공원에서 열린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2006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4·3사건이 국가 권력에 의해 무고한 양민이 희생당한 사건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문 대통령은 “70년 전 이곳 제주에서 무고한 양민들이 이념의 이름으로 희생당했다”며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4·3사건은 남로당 제주위원회의 무장봉기가 발단이 됐지만 진압 과정에서 군경의 과잉 대응 논란 등으로 진보와 보수 진영의 평가가 극명히 엇갈리는 사안이다.

문 대통령은 “아직도 4·3의 진실을 외면하고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며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또 “이제 우리는 아픈 역사를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며 “낡은 이념의 틀에 생각을 가두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4·3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해결책으로 문 대통령은 “유해 발굴 사업도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끝까지 계속해 나가겠다”며 “배·보상과 국가트라우마센터 건립 등 입법이 필요한 사항은 국회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이념 대립을 넘어서는 키워드로 정의와 공정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대한민국은 정의로운 보수와 정의로운 진보가 ‘정의’로 경쟁해야 하는 나라, 공정한 보수와 공정한 진보가 ‘공정’으로 평가받는 시대여야 한다”며 “정의롭지 않고 공정하지 않다면 보수든, 진보든, 어떤 깃발이든 국민을 위한 것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진영에선 문 대통령의 역사인식에 대해 반발의 목소리가 나왔다. 자유한국당 장제원 수석대변인은 “4·3사건은 건국 과정에서 김달삼을 중심으로 한 남로당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막기 위해 무장폭동을 일으키면서 시작된 것”이라며 “남로당 무장대가 산간지역 주민을 방패 삼아 유격전을 펼치고 토벌대가 강경 진압작전을 해 양민들의 피해가 컸다”고 말했다. 장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추념사는 권력이 역사마저 규정하겠다는 독선이 깔려 있는, 제주 4·3을 두고 또다시 낡은 이념과 편가르기의 틀로 가두려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올해부턴 처음으로 추념식이 시작된 오전 10시부터 1분간 제주도 전역에 4·3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묵념 사이렌이 울렸다. 추념식에선 4·3 당시 430여 명이 한꺼번에 희생된 북촌리 사건을 모티브로 한 ‘순이삼촌’이란 소설을 쓴 현기영씨가 추모 글을 낭독했다. 제주도로 이주해 사는 가수 이효리가 추모시를 낭독했고, 가수 루시드폴도 추모공연에서 4·3사건을 배경으로 만든 자신의 노래 ‘4월의 춤’을 불렀다.

위문희 기자, 제주=최충일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