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접히는 미래 스마트폰 '폴더블폰' 주인공은 누가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전자ㆍ애플 등 세계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차세대 스마트폰으로 꼽히는 ‘폴더블(foldable)폰’ 시장의 주인공 자리를 두고 본격적인 경쟁에 들어갔다.

폴더블폰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기기 자체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다. 사용 행태는 물론 제조 방식에까지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하드웨어의 혁신으로 꼽히는 기술이다.

미국 CNBC 등에 따르면 애플은 2020년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아이폰을 선보일 전망이다. 애플은 지난해 8월 미국특허청(USPTO)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전자기기’라는 명칭의 특허를 출원했다. 애플이 개발 중인 폴더블 아이폰은 평상시 5.5인치 제품으로 사용하다, 펼치면 9.7인치 아이패드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알려졌다. 암시 모한 메릴린치 애널리스트는 “접을 수 있는 화면을 지닌 스마트폰은 그 자체로 구매 수요를 늘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애플ㆍ삼성ㆍLGㆍ중국 업체 등 시장 선점 위해 뛰어들어

애플이 특허 출원한 폴더블폰 개념도 [자료 애플]

애플이 특허 출원한 폴더블폰 개념도 [자료 애플]

폴더블폰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는 곳은 삼성전자가 꼽힌다. 삼성전자는 ‘벨리’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해왔으며 이미 특허출원 안을 여러 차례 냈다. 최근 공개한 ‘갤럭시 윙’이라는 콘셉트 모델은 평소에는 지갑처럼 반으로 접어서 가지고 다니다가, 완전히 펼치면 넓은 화면의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120도 각도로 사용할 수 있는 '클램쉘' 기능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이르면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소비자가전박람회(CES)에서 폴더블폰 프로토타입(원형)을 선보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레노버의 폴더블폰 프로토타입 [사진: 데일리닷 캡처]

레노버의 폴더블폰 프로토타입 [사진: 데일리닷 캡처]

LG전자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반으로 접을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갖춘 휴대폰’이라는 특허를 등록했으며, 중국 화웨이·레노버도 폴더블폰 개발에 뛰어들었다.

중국 업체 ZTE는 지난해 10월 폴더블폰 실물을 공개해 관심을 끌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한 개의 디스플레이를 접었다 펴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힌지’(경첩)를 통해 연결했다는 점에서 ‘듀얼 스크린’폰에 가깝다.

중국 ZTE가 선보인 폴더블폰 '액손M'은 엄밀히 말해 '듀얼 스크린폰'으로 분류된다. [사진 ZTE]

중국 ZTE가 선보인 폴더블폰 '액손M'은 엄밀히 말해 '듀얼 스크린폰'으로 분류된다. [사진 ZTE]

이처럼 제조사들이 폴더블폰 출시를 서두르는 이유는 기존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기존 스마트폰의 형태와 사용성을 뛰어넘는 새로운 기기에 대한 수요는 계속 커지고 있다.

폴더블폰은 스마트폰의 화면을 지금의 2배 크기로 즐길 수 있으며 휴대성까지 갖추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장점을 모두 지니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디스플레이가 안쪽을 향하게 접으면 충격으로 인해 액정이 파손될 걱정도 덜 수 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폴더블폰 판매량이 내년 70만대를 시작으로 2021년 3040만대, 2022년 5010만대로 늘 것으로 관측했다. 전체 스마트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1.6%, 2022년 2.5% 정도다.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컨셉트 모델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컨셉트 모델 [사진 삼성전자]

주요 해외 정보기술(IT) 매체들은 내년쯤 폴더블폰이 시장에 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출시 이후 대중화까지는 가격과 사용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디스플레이 기술, 소비자 가격 등 양산까지 난제 산적 

먼저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을 끌어올려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하루 평균 150회 정도 들여다본다고 하면 1년에 5만번 이상을 접었다 펴도 디스플레이가 멀쩡해야 한다. 접었다 편 직후에 디스플레이에 흔적도 남지 않아야 한다.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강화 유리 소재도 다른 것으로 교체해야 하며, 디스플레이가 접혔을 때 일어나는 저항 변화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여기에 생산성 및 수율 문제까지 고려하면 본격적인 양산까지는 난제가 첩첩산중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사장)이 지난해에는 올해 출시 목표로 제품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가, 올해 1월에는 “(출시를) 가능한 빨리하고 싶지만 제대로 된 물건을 내놓기 위해 시기를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한발 물러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LG전자가 특허 출원한 폴더블폰 개념도 [자료 LG전자]

LG전자가 특허 출원한 폴더블폰 개념도 [자료 LG전자]

시장에 나온다고 하더라도 가격이 문제다. 폴더블폰은 디스플레이의 원가만 적게 잡아도 300달러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기능이 상향 평준화하면서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 저항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이투자증권 정원석 연구원은 “폴더블폰이 언제 나오는지보다는 얼마에 나오는지가 훨씬 중요하다”며 “시장에서 판매 물량을 확보하고 수익을 내기기 위해서는 소비자 가격이 150만원 수준까지 내려와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