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방선거 앞두고 홍준표 대 '반홍 중진' 충돌 가열...그 내막은

중앙일보

입력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중앙포토]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중앙포토]

“연탄가스처럼 비집고 올라와 당을 흔드는 것 용납하지 않겠다”(21일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바퀴벌레는 연탄가스에 죽느냐”(22일 정우택 한국당 의원)

6ㆍ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국당 내홍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정우택ㆍ나경원ㆍ이주영ㆍ유기준 의원 등 4선 이상 중진과 홍 대표의 대립이 노골화되면서다. 중진들은 지난 22일 모여 홍 대표의 리더십을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앞으로도 정례 모임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당초 지방선거는 여권이 우세한 분위기 탓에 제1야당인 한국당이 내부의 결속을 중시할 거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홍 대표 체제에 다소 불만이 있더라도 일단 똘똘 뭉쳐야한다는 정서가 여전히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 안팎에서 홍 대표에 대한 반발이 터져나오는 이유는 뭘까.

당 관계자는 “같은 당인데 서로 험한 말을 주고받다보니 감정의 골이 깊어진 것 같다”며 “보수가 점잖다는 건 다 옛말”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과거 최고위원ㆍ중진의원 연석회의 개최를 요구하는 중진들을 향해 ‘부패로 수사받는 사람’ ‘원내대표 꼴찌한 사람’ 등이라 특정해가며 비꼬았다.

또 친박근혜계 의원들을 ‘바퀴벌레’에 비유하는가 하면, 반발 세력이 등장할 때마다 ‘고름’, ‘암 덩어리’ 등 거친 표현을 내뱉었다. 이주영 의원은 “개별적으로 대화해 보면 같은 우려들을 하고 있지만, 쉽게 말하지 못한다. 상처 주는 당 대표를 피한다는 인상을 받는다”고 말했다.

재선의 김진태 의원은 “대표로서 품위를 지켜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지쳤다. 6ㆍ13 지방선거시까지 모든 선거일정을 당 공식기구에 맡기고 대표는 일체의 발언을 자제해 주길 당부드린다”며 “안 그러면 다같이 죽는다”고 비판했다.

언쟁에 그치는 게 아니라 행동으로 이어질 조짐이 나타나는 이유는 21대 총선 공천권 때문이다. 홍 대표는 지난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지방선거가 끝나면 어차피 다시 한 번 당권 경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조기 전당대회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면서 ‘반홍 중진’들을 향해 “강북 험지로 차출”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자유한국당 중진의원들이 2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홍준표 대표 체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왼쪽부터 정우택, 이주영, 나경원, 유기준 의원. [중앙포토]

자유한국당 중진의원들이 2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홍준표 대표 체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왼쪽부터 정우택, 이주영, 나경원, 유기준 의원. [중앙포토]

정우택 의원은 “(지방선거 패배 시에도) 다음 총선까지 본인이 공천권을 행사하겠다는 마각(馬脚 : 가식 속에 숨긴 본성)을 드러낸 것”이라며 “그럴 시간이 있으면 지방선거를 이끌어갈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반발했다.

한동안 중진들이 잠잠했던 요인 중에는 “차라리 홍 대표가 지방선거를 잘 치르고, 내년 6월까지 임기를 마치는게 낫다”는 판단도 있었다. 어차피 중요한건 21대 총선 공천권을 누가 행사하느냐이고, 내년쯤에는 리더십 교체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강해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홍 대표의 당 대표 연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지방선거 직후 전당대회를 하게되면 새 당대표의 임기가 2020년 6월까지라 21대 국회의원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 홍 대표는 이미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6+a곳 확보를 못하면 대표직을 내려놓겠다고 했다. 현재 최고위원 3명이 공석인 상황도 조기 전당대회의 명분이 될 수 있다.

중진들이 당내 여론을 주도하지 못하는 모양새라 결국은 초ㆍ재선의 생각이 중요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지방선거 승리를 명분으로 침묵하다보면 홍 대표 체제가 공고해질 것이고, 섣불리 나서서 ‘반홍 세력’으로 낙인 찍히면 공천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딜레마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또 다른 초선 의원은 “홍 대표가 다 잘한다고 할 순 없지만 일단은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결속력을 다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반홍준표 진영을 단일대오로 묶어세울 뚜렷한 구심점이 없는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