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난에서 탈출할 확률 6%에 불과

중앙일보

입력

빈곤층이 빈곤 상황을 벗어날 확률은 6%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대로 빈곤층에 머물러 있을 확률은 갈수록 높아져 빈곤의 고착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빈곤층에 머물 확률은 갈수록 커져

윤성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위원이 「재정학연구」에 발표한 '소득계층이동 및 빈곤에 대한 동태적 관찰' 논문에 따르면 소득 수준을 10개 분위로 나눌 경우 하위 분위인 1∼3분위 계층이 2007∼2015년 중 한 해가 지났을 때 빈곤 상태에서 벗어날 확률은 평균 6.8%에 불과했다. 반면 빈곤 상태를 유지할 확률은 평균 86.1%에 달했다.

빈곤 탈출 및 유지 확률

빈곤 탈출 및 유지 확률

특히 빈곤 상태를 유지할 확률은 2007~2008년에는 84.1%였지만,  2014~2015년에는 87.7%로 더 높아졌다. 시간이 갈수록 빈곤 탈출 가능성이 더 작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소득 이동성 방향 추이

소득 이동성 방향 추이

저소득층인 1, 2분위 가구가 조사 기간 중 한 해가 지났을 때 같은 분위에 속할 확률은 각각 57.9%와 40.5%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인 10, 9분위 가구가 같은 분위에 남아 있을 확률은 각각 68.7%, 45.2%였다. 고소득층이 시간이 지나도 같은 분위를 유지할 확률이 더 높았다.

2분위와 3분위가 각각 한 단계씩 상향 이동할 확률은 19.3%, 19%였지만, 한 단계씩 하향 이동할 확률은 22.7%, 19.1%로 더 높았다. 중위 소득층인 4∼8분위 가구는 상향이동할 확률이 하향이동할 확률보다 더 높았다. 다시 말해 저소득층은 소득이 더 적은 계층으로 이동할 확률이 더 높다는 의미다.

논문에 따르면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남성일수록, 취업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빈곤경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윤 연구위원은 “소득 계층 상향이동 확률이 낮아지면서 사회의 활력이 감소하고 있다. 이것이 중산층 붕괴와 양극화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빈곤가구의 자녀는 낮은 교육수준에 머물며 빈곤의 고착화가 세대를 통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빈곤은 일자리가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세종= 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