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아아아아아~.”
버스커버스커의 노래 ‘여수 밤바다’의 후렴구다. 동시에 여수에서 맛난 음식이 입안으로 들어갈 때마다 터지는 탄성 소리다. 코끝 알싸한 갓김치부터 아이스크림처럼 입에서 살살 녹는 삼치회까지, 여수의 맛은 하나같이 긴 감탄사를 자아낸다. 봄 기운 슬몃 찾아온 2월 19~20일, 전남 여수에서 다섯 끼를 먹고 왔다. 단언컨대, 지금까지 다섯 번의 ‘일일오끼’ 중 식당 고르기가 가장 난감했다. 맛보고픈 음식도 많거니와 쟁쟁한 식당이 워낙 많아서였다.
12:00 밥도둑 무한리필 게장
여수 봉산동에는 게장골목이 있다. 국동항 안쪽, 밥집·술집 빼곡한 골목에 게장 전문 식당만 열 곳이 넘는다. 서로 원조를 자처하고 여수 사람들이 추천하는 집도 제각각이어서 한 집을 콕 짚기 어렵다. 이럴 때 식당 고르는 요령이 있다. SNS에서 식당 반찬 사진을 비교하는 거다. 콩나물무침, 어묵볶음 같은 반찬을 내는 식당은 피한다. 대신 서울에서 맛보기 힘든 토속 식재료로 만든 반찬을 내주는 집으로 간다. 반찬에 공들이는 집은 ‘메인 메뉴’도 괜찮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 그래서 찾은 곳이 청정게장촌(061-643-7855)이다.
“공기밥 추가요.” 점심시간, 식당 문을 열고 들어서니 애타게 밥 찾는 소리가 들렸다. 자리를 잡고 게장백반정식(2인 이상, 1인 1만원)을 주문했다. 금세 상 한 가득 게장과 반찬이 깔렸다. 게장은 간장·양념 두 종을 스테인리스 그릇에 수북이 쌓아줬다. 꽃게가 아니라 돌게(민꽃게)다. 여수 거문도가 고향인 박현숙(52) 사장은 “돌게가 크기는 작아도 살이 꽃게보다 달다”며 “처음엔 여수산만 썼는데 요즘엔 인천에서도 게를 받는다”고 말했다.
게장은 정갈했다. 꽃게보다 내장이 적고 알이 없어서인지 비린맛이 덜했다. 주방 앞쪽에 무한리필용 게장이 있었지만 더 먹진 않았다. 다른 밑반찬 때문이었다. 게장 빼고 15가지 반찬이 나왔는데 한 번씩 집어 먹으니 공기밥이 동났다. 여수에서 ‘쏙’이라 부르는 딱새우장, 두툼한 돌김에 한 옴큼 올려 먹으면 맛난 토하젓, 시원한 갓물김치가 인상적이었다.
식당에는 혼밥족을 위한 1인 정식(1만2000원)을 파는데 거의 2인분에 가까운 양을 내준다. 전남 고흥 출신의 황일권(48)씨는 식당이 개업한 2011년부터 단골이었단다. 황씨는 “깔끔한 맛 때문에 게장집은 여기만 찾는다”며 게 껍질에 밥을 비벼 먹었다.
제철 맞은 삼치회 입에서 살살 녹고 #갈치조림·돌게장은 푸짐한 양에 감동 #시장 구경하며 주전부리 먹는 재미도
18:00 갈치만으로 배부른 경험
저녁도 봉산동이다. 갈치조림을 전문으로 하는 홍가(061-642-9991)를 찾았다. 이 집을 추천한 건 류지영 여수 아쿠아플라넷 본부장이다. 류 본부장은 “갈치도 맛있지만 밑반찬이 훌륭하고 주인 아주머니가 늘 정겹게 맞아줘서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여수 사람도 갈치를 원없이 먹고 싶거나 푸근한 분위기에서 거나하게 취하고 싶을 때 홍가를 찾는단다.
어스름한 시간, 가게 문을 열었다. “식사 되죠?” 물으니 “잠깐 기다려보소. 밥 좀 있나 보고.” 정민숙(68) 사장이 시큰둥하게 답했다. 메뉴는 세 가지 뿐이었다. 갈치조림(1만2000원), 홍어(2만원), 돼지 목살(2만원). “갈치 드소, 갈치가 지금 젤로 맛낭께. 근디 오늘은 꼴뚜기를 못 내주겄네. 명절이 지나부러서 시장에 살 것이 없당께.”
반찬 8가지가 먼저 상에 올랐다. 양념게장, 풀치(갈치 새끼) 조림, 무나물, 꼬막무침 등이 하나같이 때깔이 좋았다. 꼴뚜기가 얼마나 맛있는지 몰라도 아쉽지 않았다. 곧 양철냄비에서 자글자글 끓는 갈치조림이 나왔다. 채 썬 양파가 덮여 있어 갈치는 잘 보이지 않았다. 국물부터 한 숟갈 떴다. 양파·무·감자가 듬뿍 들어 있어 달큰했다. 조미료로 만든 맛이 아니라 숭덩숭덩 썰어 넣은 채소에서 우러나온 맛이었다.
국자를 넣어 냄비 바닥을 긁으니 갈치가 뭉텅 따라올라왔다. 갈치는 살이 잘 부서지지 않았고 고소한 맛이 두드러졌다. 정 사장은 “여수 어선이 동중국해에서 잡은 먹갈치만 쓴다”며 “갈치가 가장 맛있는 11·12월에 잡아서 바로 급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행과 2인분을 먹고 공기밥을 더 시켜 먹었는데도 갈치가 남아 있었다. 1인분에 2만~3만원 하면서 정작 갈치는 몇 토막 안되는 제주나 서울 식당과 비교할 수 없는 양이었다.
이튿날 8:00 시장 주전부리 투어
이른 아침, 여수 원도심 쪽으로 차를 몰았다. 여수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장 투어’를 위해서다.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 인근에 수산시장·교동시장, 그리고 여수 최대 시장인 서시장이 몰려 있다.
먼저 들른 곳은 서시장. 커피 한 잔 사들고 시장으로 들어섰다. 가게 안쪽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는 주부떡집에서 걸음을 멈췄다. 두툼한 호박시루떡을 한 입 물었다. 단맛이 인위적이지 않고 쫀득한 식감이 두드러졌다. 여수에서 호박시루떡을 많이 먹는 이유를 물었다. “글씨, 나도 모르겄소. 그냥 옛날부터 많이 먹었지라.” 김덕기(61) 사장이 맛 좀 보라며, 거문도 쑥으로 만든 쑥떡도 건넸다. 향이 진했다.
시장을 걷다보니 김밥집이 여럿 보였다. 미도김밥에서 어묵과 김밥을 한 줄 시켰다. 1500원짜리 김밥과 500원짜리 어묵도 어찌나 맛난지 게눈 감추듯 먹었다. 사랑빵집에서 꿀빵을 한 봉지 사들고 시장을 나왔다.
서시장과 이웃한 교동시장은 공사가 한창이어서 지나쳤다. 교동시장은 관광객보다 여수 시민들이 수산물 사러 많이 찾는 곳인데 밤에 가면 분위기가 전혀 다르다. 술꾼들이 연등천변에 불 밝힌 포장마차를 찾아 삼삼오오 모여든다. 선어회나 생선구이, 삼겹살과 해산물을 함께 볶아 먹는 여수삼합에 술잔을 기울인다.
수산시장에서는 제철 맞은 새조개와 활어, 겨울에 잡힌 갈치도 많이 팔지만 전매 특허는 꾸덕꾸덕 말린 ‘건어’다. 시장 옥상에 반건조 생선 작업장이 있다. 여기서 가오리·서대·병어·장어 등 온갖 생선을 씻고 절여 햇볕에 말린 뒤 1층 점포에서 판다. 설이 지나서인지 시장이 한산했는데 봄부터 바빠진단다. 정영석(54) 여수수산시장 상무는 “동백꽃 피는 3월부터 벚꽃, 진달래꽃 시즌에 방문객이 가장 많다”고 말했다.
12:00 씹을 틈 안주는 삼치회
여수 앞바다에서 건져올린 갯것들은 다 맛있지만 이맘때 가장 맛난 고기는 삼치다. 삼치회 잘 하는 집을 몇 곳 수소문했다. 한데 한 집은 주인장이 명절에 이어 해외여행을 갔다며 문을 닫았고, 또 한 집은 오후 8시40분 쯤 찾아갔더니 9시에 문 닫는다며 다음에 오란다. 1~2인분은 팔지 않는대서 그냥 나온 식당도 있었다.
하릴없이 익히 알려진 식당을 찾아갔다. 수산시장 옆 골목에 있는 대성식당(061-663-0745)이다. 마침 거문도에서 잡은 삼치가 박스에 담겨 식당에 들어왔다. 김정연(44) 대표가 박스를 열었다. 한 마리에 6㎏. 구이로 먹던 삼치와는 아예 다른 종처럼 보였다. 참치나 방어에 버금가는 크기였다.
회는 김 대표의 어머니 유춘애(61)씨가 직접 뜬다. 유씨는 “살이 워낙 물러서 회를 뜨기가 쉽지 않다”며 “삼치는 포를 뜬 뒤 0~1℃ 저장고에서 5시간 숙성해서 먹어야 가장 맛있다”고 설명했다.
삼치회 작은 것을 시켰다. 디저트용 과일까지 스무 가지가 넘는 찬이 먼저 나왔다. 홍어삼합과 삶은 소라와 피꼬막도 있었다. 곧 삼치회가 나왔다. 고기 맛이 궁금해 윤기 좔좔 도는 등살을 그냥 먹어봤다. 이런 식감은 처음이었다. 과장을 조금 보태면 이빨이 할 일이 없었다. 혀와 입천장 사이에서 살코기가 녹아버렸다. 독특한 감칠맛이 입안에 남아 맴돌았다. 삼치회를 푸아그라(거위 간)나 셔벗에 비유하는 이유를 알았다.
이어 여수 스타일로 삼치회를 먹어봤다. 간장 양념장에 삼치살을 적신 뒤 바삭한 돌김에 얹고 갓김치를 한 점 올렸다. 여수 앞바다가 통째로 입안으로 들어온 기분이었다. 감칠맛을 뜻하는 전라도 방언 ‘게미’의 최상급을 경험한 것 같았다.
이번에 발길을 돌린 삼치회 전문식당은 조일식당(061-655-0774), 월성소주코너(061-653-5252)다. 모두 문수동에 있다.
17:00 돌문어라면 먹고 드립커피까지
여수에서 인증샷 장소로 가장 인기인 곳은 거북선대교 아래 종포항이다. 사위가 어둑해지면 하멜등대가 붉은빛을 밝히고 그 위로 케이블카가 둥둥 떠다닌다. 케이블카에서 내려보는 것 못지않게 낭만적인 여수 밤바다 풍경이 펼쳐진다.
바로 이곳, 작은 부둣가에 최근 젊은 여행객이 줄 서서 먹는 맛집이 있다 하여 찾아갔다. 돌문어상회(061-665-4595). 평일에는 오후 5시부터 저녁 장사만 하고, 주말에만 점심부터 문을 여는 젊은 식당이다. 2017년 3월에 문을 열었다.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뒤 정확히 1시간 지나서 자리를 잡았다. 돌문어라면(1만원)과 돌문어덮밥(1만2000원)을 주문했다. 금세 라면과 덮밥이 나왔다. 제법 큼직한 보랏빛 문어가 빨판을 드러낸 채 라면과 덮밥 위에 누워 있었다. 거문도산 300~500g 돌문어만 쓴단다. 가위로 문어를 조각냈다. 면발에 뒤섞고, 덮밥에 비볐다. 국물은 개운했고, 덮밥은 매콤했다. 잘 데쳐진 문어는 씹는 맛이 일품이었다.
돌문어상회는 인테리어도 재밌다. 황선호(40) 돌문어상회 대표가 항구 쓰레기더미에서 어구(漁具)를 주워다 직접 꾸몄단다. 한데 왜 돌문어였을까. 황 대표는 “여수의 수많은 해산물 중 돌문어가 아직 빛을 보지 못했다고 생각했다”며 “대학 중퇴 뒤 스무살부터 여수에서 장사를 했는데 이렇게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이 찾은 식당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여수에서 줄곧 해산물만 먹은 건 아니었다. 틈틈이 커피를 마시고 산책도 했다. 직접 가본 카페 중 추천할 만한 집은 두 곳이다. 먼저 커피 맛을 따진다면 돌문어상회 바로 옆에 있는 달콤(061-665-0369)을 가보시라. 직접 볶은 원두로 내려주는 드립커피가 다양하다. 분위기 좋고, 인증샷 남기기 좋은 카페를 찾는다면 벽화마을로 유명한 고소동이 제격이다. 옥상 공간을 활용한 루프톱 카페가 몇 곳 있는데 듀 카페(061-666-2300)가 요즘 인기다.
여수=글·사진 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