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딱지 티켓' 기억하시나요? 기차표의 변신은 무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국내에 도입된 초기 증기기관차. 이후 국내 철도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사진 코레일]

국내에 도입된 초기 증기기관차. 이후 국내 철도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사진 코레일]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1899년 9월 18일, 제물포에서 노량진까지 33.2㎞ 구간에 철도가 개통됐습니다. 비록 한강을 건너 서울 도심까지 들어오진 못했지만, 공식적으로 이날을 국내 철도 역사의 시작으로 인정하는데요.

개통 초기 경인선 기차표. 원본은 무척 귀해 구하기가 쉽지 않다. [사진 코레일]

개통 초기 경인선 기차표. 원본은 무척 귀해 구하기가 쉽지 않다. [사진 코레일]

 바로 위에 보이는 승차권이 당시에 사용되던 승차권입니다. 원본은 워낙 희귀해서 부르는 게 값일 정도라고 하는데요. 시중에는 복제품이 더 많다고 합니다.

경의선 승차권 복제품. 한자와 영문 표기명이 선명하게 보인다. [사진 코레일]

경의선 승차권 복제품. 한자와 영문 표기명이 선명하게 보인다. [사진 코레일]

 이로부터 118년이 흘렀습니다. 그 사이 열차에도 커다란 변화가 있었습니다. 증기기관차가 디젤차로, 또 전동차에서 지금은 고속전철(KTX)로 발전했는데요. 기차표도 못지않게 많은 변신이 있었습니다. 그 변신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경인선 개통, 에드몬슨식 '딱지' 기차표

 경인선이 개통된 이후 해방 전까지 사용된 승차권은 한자 또는 일본어로 표시된 에드몬슨식 승차권, 일명 '딱지' 기차표였습니다. 에드몬슨식 승차권은 일정한 크기의 두꺼운 종이에 승차권 내용을 인쇄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데요. 영국인 토마스 에드몬슨(Thomas Edmondson)이 발명했기 때문에 '에드몬슨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경부선 개통 당시 사용된 승차권. 목적지가 모두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사진 코레일]

경부선 개통 당시 사용된 승차권. 목적지가 모두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사진 코레일]

 이 승차권은 과거 수기로 기차표를 발행하던 방식을 대체하기 위해서 도입됐는데요. 승차권에 필요한 표시사항(도착역, 요금 등)을 미리 넣어 인쇄한 뒤 장에서 발매하는 방식의 승차권입니다. 승객이 매표소에서 목적지를 말하면 직원은 해당하는 승차권을 꺼내 일자를 찍거나 손으로 적어서 판매했습니다.

경부선 개통 초기에 사용된 3등권 승차권. 영등포에서 출발해 남대문까지 가는 기차표다. [사진 코레일]

경부선 개통 초기에 사용된 3등권 승차권. 영등포에서 출발해 남대문까지 가는 기차표다. [사진 코레일]

 1905년 1월 1일 개통된 경부선에도 역시 이 승차권이 쓰였는데요. 경부선은 서울(남대문)~부산 초량 사이 445.6㎞ 길이였습니다.

1943년 사용된 경성~대전을 오가는 기차의 3등실 보통승차권. [사진 코레일]

1943년 사용된 경성~대전을 오가는 기차의 3등실 보통승차권. [사진 코레일]

 해방 전에 사용된 기차표는 요즘도 애호가들 사이에서 1매당 10만~30만 원 선에 거래된다고 하네요.

해방 뒤 한글·한자 혼용, 70년대 한글

해방 이후 국산 원지를 사용한 승차권. 경전선 1등실 급행 승차권이다. [사진 코레일]

해방 이후 국산 원지를 사용한 승차권. 경전선 1등실 급행 승차권이다. [사진 코레일]

 해방 이후의 승차권은 표기내용이 일본어나 한자 전용에서 한글이 섞였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1960년대까지는 목적지 등은 한자로 쓰고 중간 중간에 한글을 섞어 썼는데요. 70년대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한자 위주로 적혀있던 승차권의 표기 내용이 모두 한글과 아라비아 숫자로 바뀐겁니다.

60년대 경부선 서울~부산 간 열차의 2등실 보통승차권. 60년대 승차권은 승차권, 급행권, 침대권 등 셋으로 분류됐다. [사진 코레일]

60년대 경부선 서울~부산 간 열차의 2등실 보통승차권. 60년대 승차권은 승차권, 급행권, 침대권 등 셋으로 분류됐다. [사진 코레일]

 또 그 이전까지 운행노선과 등급에 따라 새마을호,통일호,풍년호,증산호,협동호,부흥호,약진호,계명호,동백호,화랑호,상무호 등 많은 이름들이 있었지만 77년부터 새마을호,우등,특급,보급,보통 등 5개로 열차 이름이 통합됐습니다. 74년 8월 서울역~청량리역 사이 지하철 1호선 개통되면서는 새로이 전철승차권도 발행되기 시작했고요.

70년대 추석 귀성열차표를 예매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몰린 서울역. 질서 유지를 하는 경비원들 모습도 눈에 띈다. [중앙포토]

70년대 추석 귀성열차표를 예매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몰린 서울역. 질서 유지를 하는 경비원들 모습도 눈에 띈다. [중앙포토]

 이 시기 또 하나의 특징은 해방 직후와 6.25 직후의 승차권이 상대적으로 희소성이 높다는 점인데요. 이는 사회적 혼란기에 발행한 승차권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으로 코레일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81년 전산승차권 탄생, 딱지·전산 공존  

1981년 10월 국내 최초로 전산 발매가 시작되면서 기차표 판매가 한결 체계화 됐다. [사진 코레일]

1981년 10월 국내 최초로 전산 발매가 시작되면서 기차표 판매가 한결 체계화 됐다. [사진 코레일]

 80년대 들어서면서 기차표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전산승차권의 도입이었습니다. 1981년 10월 1일 새마을호에 대해 최초로 전산승차권 발매가 시작되면서 '지정공통승차권(지공승)'이 사용됐는데요. 어떤 열차, 어떤 구간, 어떤 종류의 승차권에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승차권이라는 의미입니다.

1981년 도입된 전산 승차권.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확인해 구간을 입력하면 화면에서 바로 조회되고 발매되는 방식이다. [사진 코레일]

1981년 도입된 전산 승차권.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확인해 구간을 입력하면 화면에서 바로 조회되고 발매되는 방식이다. [사진 코레일]

 승차권 발매가 전산화되기 전에는 매표창구 직원은 승객이 요구하는 기차표를 에드몬슨식 승차권 함에서 빼낸 후 열차번호와 좌석 번호 등 각종 기재사항을 손으로 적어 넣어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가끔 운임계산이 잘못되거나 좌석이 겹치는 일도 생기곤 했는데요. 전산발매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이런 문제들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합니다.

지방의 지선과 규모가 작은 역에서는 여전히 딱지승차권을 사용했다. 또 84년부터 우등열차는 무궁화로, 특급열차는 통일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사진 코레일]

지방의 지선과 규모가 작은 역에서는 여전히 딱지승차권을 사용했다. 또 84년부터 우등열차는 무궁화로, 특급열차는 통일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사진 코레일]

 전산승차권은 경부선, 호남선 등 주요 노선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됐지만, 지방의 지선이나 규모가 작은 역에서는 여전히 딱지승차권이 사용돼 이른바 '딱지와 전산의 공존'이 이뤄졌습니다.

KTX 개통 따라 기차표도 급변 

 자성승차권은 뒷면에 각종 정보가 입력된 검은 자성띠가 있다. [사진 코레일]

자성승차권은 뒷면에 각종 정보가 입력된 검은 자성띠가 있다. [사진 코레일]

 2004년 4월 KTX의 등장을 전후해 기존의 전산승차권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자성띠 MS방식)로 바뀌었는데요. 승차권 뒤에 각종 정보가 입력된 자성띠가 있어서 '자성 승차권'이라고 불렸습니다.

고속열차 KTX의 개통을 전후해 기차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중앙포토]

고속열차 KTX의 개통을 전후해 기차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중앙포토]

 앞서 전철 승차권에서 먼저 사용된 MS방식은 발매역, 출발역, 도착역, 열차번호 등 폭넓은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승차권과는 근본적으로 달랐습니다. 이 같은 전산승차권이 등장하면서 100년 넘게 생명력을 자랑하던 '딱지' 승차권이 마침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변화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는데요. 2005년 6월부터 집에 있는 컴퓨터와 프린터로 기차표를 예매하고 인쇄하는 '홈티켓팅 승차권'이 도입됐습니다. 2006년 9월에는 종이 승차권이 필요 없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 티켓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집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이용해 예매하고 출력한 기차표. [사진 코레일]

집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이용해 예매하고 출력한 기차표. [사진 코레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저장된 기차표. [사진 코레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저장된 기차표. [사진 코레일]

 그 뒤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스마트폰 예매 앱이 등장했는데요. 스마트폰으로 열차 좌석까지도 지정해 예매하고 그 속에 승차권까지 저장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종이 없는 승차권 시대인데요.

스마트폰앱을 이용해 예매하고 저장한 기차표. [사진 코레일]

스마트폰앱을 이용해 예매하고 저장한 기차표. [사진 코레일]

 이러한 흐름에 맞춰 철도역과 차내에서 하던 개표 가위를 이용한 검표도 2000년대 중후반 추억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승무원들이 휴대용 무선이동단말기(PDA) 로 각 좌석 탑승자의 운행 구간 등 열차 좌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바뀐겁니다.

관련기사

 그렇다면 미래에는 기차표가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까요? 한번 상상해보시죠.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