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굿모닝 내셔널] 30년 전 모습 생생 … 영화 1987 촬영한 목포 서산동 가보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영화 ‘1987’에 등장하는 ‘연희네슈퍼’. 대학 신입생인 연희가 엄마·삼촌과 함께 사는 이곳은 전남 목포에서 촬영됐다. 영화의 실제 무대인 서울이나 수도권은 30여 년 전의 옛 모습을 간직한 곳이 드물어서다.

낡은 문구점 ‘연희네슈퍼’로 등장 #이한열과 연희, 시국의 아픔 나눠 #마당엔 일제 때 뚫은 대형 방공호 #마을 일대, 근현대 자취 남아있어 #시 “테마 관광코스로 만들 계획”

영화 ‘1987’이 촬영된 ‘연희네슈퍼’에서 주민 서치봉씨가 마을의 옛 이야기를 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영화 ‘1987’이 촬영된 ‘연희네슈퍼’에서 주민 서치봉씨가 마을의 옛 이야기를 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연희네슈퍼는 영화 속 이한열과 연희가 가게 앞 평상에서 시국의 아픔과 애정을 나누던 곳이다. 교도관인 삼촌의 부탁을 받고 비밀 서신을 전달하던 연희가 이한열이 죽은 뒤 시위 현장으로 달려가는 모습도 촬영됐다. 연희네슈퍼는 영화 속에서 묘사된 80년대를 대표하는 모습으로 남아 있다. 원래 동네 문구점 자리였던 가게는 목포시 서산동 선창가에 있다. 목포 근현대의 모습을 간직한 어촌마을에는 60~70년대 지어진 건물들이 빼곡하다.

연희네슈퍼는 작은 상점 뒤로 주방과 방 한 칸, 마당이 딸린 평범한 콘크리트 건물이다. 지금은 가게 문을 닫았지만 지난해 집주인이 바뀌기 전까지 60대 여주인이 문구점을 하며 자식들을 키워왔다. 낡은 가게와 거리 위 전선들이 엉켜있는 모습은 70, 80년대의 거리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이 가게에는 숨겨진 비밀이 하나 있다. 가게 뒷마당의 벽에 뚫린 길이 31m, 최대폭 2.6m짜리 대형 동굴이다. 26㎡(8평) 크기의 마당에 난 동굴은 태평양전쟁 말기에 조성한 방공호(防空壕)로 확인됐다. 당시 일제는 연합군의 공중 폭격을 피하기 위해 주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방공호를 만들었다. 오랜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 마을 깊은 곳에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아픔이 배어있는 것이다.

전남 목포시 서산동 일대 정경. [프리랜서 장정필]

전남 목포시 서산동 일대 정경. [프리랜서 장정필]

연희네슈퍼 외에도 서산동 일대에는 근대와 현대의 자취가 곳곳에 남아있다. 마을을 돌다 보면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일본식 주택들과 유곽(遊廓) 등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지금도 연희네슈퍼 앞 거리에 2개의 유곽이 옛 모습대로 남아 있다. 유곽은 1897년 목포항 개항 이후 조선을 점령한 일본인들이 유흥을 즐기던 곳이다.

서산동 시화(詩畫)마을 역시 옛 어촌의 모습을 보여주는 문화관광 코스다. 쇠락해가던 낡은 선창가 앞 골목길을 2016년 11월에 시와 그림으로 단장했다.

문화해설사 조대형씨가 방공호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문화해설사 조대형씨가 방공호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시화마을 정상에 올라서면 바다 건너편 섬인 고하도(高下島)를 볼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이 정유재란 때인 1597년 106일간 머무르며 수군을 재건해낸 섬이다. 하지만 이 섬은 왜란 당시 승전의 상징에서 근대 이후 일제의 군사작전기지로 전락했다. 일제는 태평양전쟁 당시 ‘인간 어뢰정’을 감추기 위해 고하도에 인공터널 20여 개를 만들었다. 현재 고하도는 다양한 역사적 발자취를 간직한 문화관광자원으로 탈바꿈 중이다.

목포의 상징인 유달산과 이 섬을 잇는 ‘목포 해상케이블카’가 대표적이다. 국내에서 가장 긴 3.2㎞의 해상케이블은 서산동을 비롯한 근·현대 도심과 다도해의 풍광을 조망할 수 있다. 박홍률 목포시장은 “주거여건이 취약한 서산동 일대에 대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바다를 품은 행복한 마을’로 만드는 한편, 연희네슈퍼와 시화마을 등을 연계한 테마형 관광코스 정비에 관심을 쏟겠다”고 말했다.

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