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논설위원이 간다

"대통령 믿고 장례 치렀는데…참사 책임 규명은 흐지부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장세정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68명(사망 29명 포함)의 사상자를 낸 충북 제천 복합상가 건물(노블 휘트니스 앤 스파) 화재 참사가 발생한 지 보름이 지났다. 화재가 난 건물 2층 여탕에서만 20명의 여성이 희생된 어처구니없는 참사를 겪은 유가족들은 여전히 큰 충격에 빠져 있다. 상당수 유가족은 시간이 지나면서 당초 정부가 했던 철저한 화재 원인과 소방 당국의 부실 대응 등 진상규명 약속이 흐지부지되고 있다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세상의 관심이 시들해진 제천 현장을 직접 가봤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29명을 애도하는 추모 플래카드가 시내 아파트 단지 앞 도로변에 내걸려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29명을 애도하는 추모 플래카드가 시내 아파트 단지 앞 도로변에 내걸려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제천은 소백산·치악산·월악산에 둘러싸여 자연풍광이 수려한 인구 13만명의 중소도시다. '자연치유도시'를 슬로건으로 힐링(healing)을 강조해온 제천은 시민 29명이 화재로 희생된 '킬링(killing) 참사' 때문인지 신년 초인데도 도시 분위기가 침울했다. 평균 해발고도 300m라는 제천의 겨울 추위는 서울보다 매서웠다.

충북 제천 화재 현장 건물에 소방관들이 골든타임이 지난 이후 뒤늦게 깬 유리창 모습.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현장 건물에 소방관들이 골든타임이 지난 이후 뒤늦게 깬 유리창 모습. 제천=장세정 기자

지난 3일 제천 시내에서 북쪽으로 차를 몰아 20여분을 달려 화장장과 납골당이 있는 '제천시 영원한 쉼터'(송학면 포전리)를 찾아갔다. 치악산 남동쪽에 자리한 산속이었다. 제천 화재로 희생된 고인 29명 중 25명을 이곳에서 화장했고 그중 11명은 이곳에 모셨다고 한다. 11명 중 9명의 유골은 봉안당에, 2명은 본관 건물 동쪽으로 80여m 떨어진 잔디밭에 조성된 자연장지에 묻혔다.

논설위원이 간다...장세정의 사사건건 #29명 희생된 제천 화재 참사 현장에 직접 가보니 #유가족들 "대통령 약속 믿고 장례 바로 치렀는데" #"초기 부실 구조로 골든타임 놓친 책임은 수사 안해" #"소방청이 제천소방서 책임 제대로 밝혀낼지 의구심" #"10일 수사본부 발표본 뒤 직무유기 고소 여부 판단" #합동분향소에 "정부 정신차리고 제대로 해야" 지적 글도

충북 제천 화재 참사로 숨진 제천여고 3학년생 김다애 양이 얼굴도 모르는 또다른 화재 희생자 김현중(80)할머니와 나란히 '제천시 영원한 쉼터'에 묻혀 있다. 표지석에 출생연도는 각각 1999년과 1937년으로 다르지만 사망 일시는 2017년 12월21일로 같다. 지난해 12월24일 김양이 먼저 묻혀 일련번호가 하나 빠르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로 숨진 제천여고 3학년생 김다애 양이 얼굴도 모르는 또다른 화재 희생자 김현중(80)할머니와 나란히 '제천시 영원한 쉼터'에 묻혀 있다. 표지석에 출생연도는 각각 1999년과 1937년으로 다르지만 사망 일시는 2017년 12월21일로 같다. 지난해 12월24일 김양이 먼저 묻혀 일련번호가 하나 빠르다. 제천=장세정 기자

마른 잔디 위에는 연말에 내린 눈이 아직 녹지 않은 채 곳곳에 쌓여 있었다. 2명이 묻힌 자연장지에 가보니 검은 대리석 두 개가 눈에 들어왔다. 유골함을 묻고 그 위에 평평하게 작은 표지석(가로 19cm x 세로 16cm)을 놓았다. 대리석 하나에는 '김다애 生 1999.6.8 卒 2017.12.21'라고 적혀 있었다. 바로 옆에는 '김현중 生 1937.5.26 卒 2017.12.21'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충북 제천체육관에 마련된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를 위한 합동분향소에 모셔진 고 김현중 씨 가족 3대 영정사진.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체육관에 마련된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를 위한 합동분향소에 모셔진 고 김현중 씨 가족 3대 영정사진. 제천=장세정 기자

꿈을 피워보지도 못한 18세 여고생이 생면부지의 80세 노인과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희생돼 나란히 묻혔을 정도로 제천 화재 참사는 비정상적이고 비극적 단면을 드러냈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로 희생된 두 여고생인 김다애 양과 김지성 양의 영정이 합동분향소에 나란히 놓여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로 희생된 두 여고생인 김다애 양과 김지성 양의 영정이 합동분향소에 나란히 놓여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제천체육관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찾아갔다.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총리,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보낸 국화는 이미 시들어 있었다. 화재 다음날부터 중앙정부와 국회 및 지역 정치인들이 문전성시를 이뤘던 체육관에는 조문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 체육관이 텅빈듯 썰렁했고 희생자 29명의 영정 앞에는 촛불만 타오르고 있었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문재인 대통령이 보낸 조화가 놓여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문재인 대통령이 보낸 조화가 놓여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유가족대책본부 사무실에서 만난 김다애 양의 아버지 김영조(42)씨는 딸을 잃은 충격과 비통함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듯 쉽게 말을 잇지 못했다. 대입 수시에서 숙명여대 4년 장학생으로 선발된 다애 양은 지난 2일 경희대에도 합격한 사실을 뒤늦게 통보받아 안타까움을 더했다. 화재로 다애 양의 휴대전화가 먹통이 된 상태에서 학교 측이 계속 다애 양에게 전화를 걸었지만 줄곧 연결되지 않았다. 다애 양이 숨진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경희대 여직원이 울면서 말을 잇지 못했다고 한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이 지난 3일 불이 난 건물에 직접 들어가기 위해 방진복을 입고 헬멧을 쓴채 대기하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이 지난 3일 불이 난 건물에 직접 들어가기 위해 방진복을 입고 헬멧을 쓴채 대기하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윤창희 유가족 대표를 비롯해 몇몇 유가족의 입장과 심경, 대응 방안을 물어봤다.

유가족들이 3일 오전에 화재 현장에 들어갔다 왔는데.
유가족들은 언론인들이 건물 안에 동행하길 원했다. 그런데 (경찰에) 거부당했다. 아직도 (현장 공개를) 막으려는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정부는 진상을 밝혀줄 의무가 있다.  
유가족이 바라는 것은.
유가족의 슬픔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원인 규명을 해주기 바란다. 대통령과 총리는 철저하게 원인과 진상을 규명하라고 지시하지 않았나. 화재 직후 희생자 29명 중 16명의 유가족이 장례를 거부했지만 대통령과 총리가 '정부를 믿어달라'고 해서 장례를 바로 치렀다. 그런데 지금 유가족이 답답해할 정도로 수사가 더디다.  
경찰과 소방합동조사단 및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조사를 진행 중인데.
유가족 간담회에서 소방관들의 초기 대응 문제로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친 데 대해 수사할 계획이 있느냐고 제천경찰서장에게 물었지만 '전혀 없다'고 답했다. 대통령과 총리는 진상규명 약속을 해놓고 공무원들은 뒷수습 과정에서 성의 없이 진행하고 있다. 흐지부지해서는 안 된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입구에 한 조문객이 제천여고 3학년생 김다애 양을 추모하는 노란 스티커를 붙여놨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입구에 한 조문객이 제천여고 3학년생 김다애 양을 추모하는 노란 스티커를 붙여놨다. 제천=장세정 기자

제천소방서장이 도의적 책임을 언급했다.
화재 발생 초기에 현장 소방관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살릴 수 있는 사람들이 대거 희생됐다. 그런데 누구 하나 잘못했다거나 죄송하다는 말도 하지 않는다. 인력과 장비 부족 탓만 한다. 책임회피라고밖에 볼 수 없다. 2층 유리창을 깰 수 있는 손도끼가 있었는데 사용하지 않았고, 강화유리를 깰 수 있는 동력절단기는 아예 현장에 갖고 가지도 않았다고 한다. 출동 초기 골든타임 18분간 무전기록도 제대로 없다고 한다.
경찰에 수사요청을 했나.
소방의 직무유기에 대한 수사촉구서를 만들어 놓은 상태다. 오는 10일 합동조사단 발표를 보고 형사 고소 여부를 판단할 것이다. 29명이 희생된 대형 참사가 났는데 정부는 건물주(구속된 이모씨) 개인에게만 책임을 물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현장에서 소방관 2명이 불에 탄 건물을 바라보며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현장에서 소방관 2명이 불에 탄 건물을 바라보며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유가족들에게 법률 지원을 해주고 있는 대한변협 생명존중재난안전특위 위원인 홍지백 변호사는 "경찰과 제천소방서 측이 유가족들에게 충분히 설명을 해주지 않고 계속 말을 바꿔 불신이 커졌다"며 "유가족들은 경찰이 건물주의 불법뿐 아니라 소방 측 책임도 조사해주길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현장 인근에 제천소방서 소속 소방관들이 사용해온 헬멧과 장화가 놓여 있다. 소방관들은 골든타임을 놓쳐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에 대해 인력과 장비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현장 인근에 제천소방서 소속 소방관들이 사용해온 헬멧과 장화가 놓여 있다. 소방관들은 골든타임을 놓쳐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에 대해 인력과 장비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출동 초기에 허둥지둥하는 바람에 인명 피해를 키웠다고 지탄받아온 제천소방서 소방관들의 해명도 들어봤다.
참사 현장 부근에서 만난 경력 23년차 A소방관은 "많은 사람이 숨져 죄인이 된 심정이다. 다만 우리 소방관들도 불사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충북 제천소방서 건물 한 쪽에 '제천119를 최정예 요원으로'란 문구가 나붙어 있다. 29명이 숨진 제천 화재 참사 당시 초기 구조 대응이 부실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소방서 건물 한 쪽에 '제천119를 최정예 요원으로'란 문구가 나붙어 있다. 29명이 숨진 제천 화재 참사 당시 초기 구조 대응이 부실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경력 25년차 B소방관은 "장비도 부족하지만 인력 부족이 가장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물을 채운 소방 펌프차에는 40mm와 65mm 소방호스가 장착돼 있지만 수압이 센 65mm 호스는 3명이 필요한데 2명 뿐이어서 40mm만 사용했다"고 말했다. 인력 부족 주장에 대해 제천소방서 산하 중앙119안전센터 관계자는 "29명이 3개 팀으로 나눠 3조 2교대로 근무한다. 1개팀에 17~22명은 있어야 제대로 진압·구조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와 관련 충북도소방본부와 제천소방서, 화재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와의 무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사진은 제천소방서 앞마당에 주차된 119 지휘통제 차량.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와 관련 충북도소방본부와 제천소방서, 화재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와의 무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사진은 제천소방서 앞마당에 주차된 119 지휘통제 차량. 제천=장세정 기자

현지 소방관들은 화재 발견 초기에 소화기가 빈 깡통이었고 스프링클러도 꺼져 있었다면서 건물주 이모(53·구속)씨의 안전불감증이 심각했다고 주장했다.

충북 제천소방서 입구에 '119의 약속 safe korea(안전한 대한민국)'란 구호가 나붙어 있다. 29명이 숨진 제천 화재 참사 당시 소방의 초기 대응이 부실해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소방서 입구에 '119의 약속 safe korea(안전한 대한민국)'란 구호가 나붙어 있다. 29명이 숨진 제천 화재 참사 당시 소방의 초기 대응이 부실해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천=장세정 기자

건물주 책임을 강조하는 소방관들과 달리 유가족들은 소방의 부실 구조 등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김다애 양의 아버지는 기자에게 "철저한 원인 규명과 정확한 진상 조사를 반드시 해야 한다. 다시는 다애와 같은 비극적인 일이 반복되지 않게 해달라"고 거듭 호소했다.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정부 정신 차리고 제대로 해줘야 한다'는 내용의 노란 스티커가 나붙었다. 제천=장세정 기자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정부 정신 차리고 제대로 해줘야 한다'는 내용의 노란 스티커가 나붙었다. 제천=장세정 기자

제천=장세정 논설위원 zhang@joongang.co.kr

※이유진 인턴기자가 기사관련 영상 제작에 참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