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워킹 실버’ 일자리 7만개 만들고 치매 환자 외출 안전구역도 지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직원들이 서울 응암2동 주민센터에서 민원을 듣고 있다. [중앙포토]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직원들이 서울 응암2동 주민센터에서 민원을 듣고 있다. [중앙포토]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사는 나모(78)씨는 지난 2012년 남편 치매 증상을 처음 알아챘다. 그는 “당시 차를 타고 1시간이면 오는 거리를 3시간이 걸려 도착하더라. 길이 생각나지 않았다는 남편의 말에 가슴이 덜컥 내려앉았다”고 말했다.

2018년 달라지는 서울 복지

가족력이 있어 남편을 바로 병원에서 검사받게 한 나씨는 장기 요양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서울 노원구 치매 센터에서 기억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도 같이 받고 있다. 그는 “병원에 가족과 왔다가 이곳에 왜 왔는지 잊을 정도로 심한 상태인 환자를 봤다. 보호자와 함께 쓸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서울시는 이같은 중증 치매 환자 치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치매전담실 마련 등을 담은 ‘2018 달라지는 서울 복지’ 계획을 4일 발표했다. 기초생활보장 생계지급기준을 완화하고 소외 계층을 위해 찾아가는 서비스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담고 있다.

우선 치매 환자를 위해 1인당 침실면적을 넓게 하고 전문인력을 배치하는 맞춤형 공간 14곳을 마련할 예정이다. 10곳은 기존에 있던 시설을 보완하고, 4곳은 새로 만든다. 집이나 시설에 사실상 ‘갇혀 사는’ 치매 환자들이 주변 제과점이나 커피숍·수퍼마켓을 이용하기 위한 사업도 지원할 예정이다. 김선심 한국치매예방협회 회장은 치매전담실 계획 발표에 “시설 확충과 같이 인프라 확대도 중요하지만 치매 환자들에게 중요한 건 기억력 감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 삼성동 강남구치매센터 프로그램에 참가한 시민들. [중앙포토]

서울 삼성동 강남구치매센터 프로그램에 참가한 시민들. [중앙포토]

서울시는 65세 이상 어르신과 출산가정, 빈곤·위기가정의 기초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60개 동 주민센터를 오는 5월부터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찾동)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가 직접 찾아가 상담을 하고 맞춤 서비스를 연결해 주는 사업이다. 2015년 80개동으로 시작해 지난해 342개 동으로 확대된 사업을 올해는 강남구를 제외한 24개 자치구 모든 동(402개 동)에서 운영할 예정이다. 동주민센터의 모든 직원은 ‘우리동네 주무관’(우동주)으로 활동하며 주 1회 이상 전담 구역을 수시로 다니며 순찰한다.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대상자 선정 기준도 전년보다 소득 16만원, 금융재산 1000만원 가량 완화된다.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는 정부의 국민기초생활 보장 수급 대상에서 탈락한 취약계층에게 서울시가 생계 및 해산·장제급여를 지원하는 성격이다.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정책도 달라진다. 택배 서비스와 장애인 지하철 안내 등 노인 일자리에 6만8943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비해 1만여명 늘어난 규모다. 일자리를 원하는 사람은 각 구청에서 모집 공고가 뜨면 방문이나 전화 접수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인생 2막을 위한 상담과 교육, 일자리와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50플러스 캠퍼스와 센터도 늘린다. 오는 9월부터 노인 기초연금도 25만원으로 오른다.

문진영 서강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치매 지원이나 어르신 일자리 지원 정책은 중앙 정부의 보건복지 정책과 방향을 같이 갈수 밖에 없다. 하지만 지역자치단체의 특성을 살려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나 찾동 서비스 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새해 서울복지 이렇게 달라진다

● 넓은 침실·전문인력 있는 치매전담실 14개 마련
●‘찾동’ 서비스 342개동에서 402개 동으로 확대
● 복지 플래너 등 ‘찾동’ 인력 282명 추가 채용
● 기초보장제도 소득기준 약 178만원약 194만원
● 노인 일자리 1만 여명 늘려 6만8943명 고용
● 50+재단 캠퍼스 2곳→3곳, 센터 4곳→6곳 확대
●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자치구 5곳→13곳 확대
[자료 : 서울시]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