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상하는 일본 자위대](3)창끝 날카롭게 가다듬는 항공자위대

중앙일보

입력

미·일 신밀월시대를 맞은 일본 자위대가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유사시에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파워와 속도를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육상자위대는 기동군으로 거듭나고 있고, 해상자위대는 이미 욱일기를 휘날리며 대양을 누빈다. 항공자위대는 북한 핵·미사일 위기를 빌미로 장거리 공격 능력과 탄도미사일 방어라는 ‘창과 방패’를 모두 가지려 한다. 아시아·태평양을 넘어 인도양까지 넘나드는 미군의 전략 파트너, 자위대의 전력을 5회에 걸쳐 집중 해부한다.

한반도 주변 상공에서 일본 항공자위대(공자대) 전투기의 출현이 최근 들어 잦아지고 있다. 지난 13일 미국 해군 핵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함(CVN-68)은 동해 공해상에서 공자대와 연합훈련을 벌였다. 전날 다른 2척의 핵항모(로널드 레이건함, 시어도어 루스벨트함)와 함께 한국 해군, 해상자위대와 연쇄적으로 대규모 연합훈련을 가진 직후였다.
이날 공자대 주력 F-15J 전투기 2대(미야자키현 뉴타바루 기지)와 F-2 전투기 2대(후쿠오카현 쓰이키 기지)는 각기 다른 기지에서 니미츠함을 향해 출격했다. 공자대 전투기들은 니미츠함 함재기 F/A-18 수퍼호넷 3대와 편대 비행을 하며 호흡을 맞췄다. 이처럼 미군이 공자대와 항모 방어훈련을 별도로 실시하면서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지난 8월 말에도 비슷한 장면이 있었다. 이시카와현 고마쓰 기지에서 출격한 F-15J 전투기가 한반도 주변 공해상에서 미 공군 B-52 전략폭격기를 호위하는 연합훈련을 가졌다. 이 사실은 아사히신문이 뒤늦게 19일자 1면에 보도하면서 공개됐다.

B-52는 한반도에 수시로 전개되는 B-1B 폭격기와 달리 핵무기 탑재가 가능하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한 지난해 1월 출격한 이래 한반도 주변에서 공개 비행을 한 적은 없다. 공교롭게도 양국의 연합훈련 시점은 북한이 태평양을 향해 화성-12형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한 무렵이었다. 장거리로켓이 아닌 탄도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것은 꼭 10년 만의 일이었다. 일본 열도가 뒤집어진 건 당연지사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즉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대북 군사적 압박을 강조했다.
두 사례에서 엿볼 수 있듯 한반도 유사시 미군과 공조할 일본의 긴급 대응 전력은 공자대일 가능성이 크다. 실전훈련을 거듭하면서 미군으로부터 신뢰를 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모습이다.
문제는 이들 공자대 전투기의 공격력 한계다. 전후 일본이 고수해온 전수방위(專守防衛: 일본이 공격을 받은 경우에만 방어 차원의 반격) 원칙에 따라 공자대 전투기는 사거리가 긴 공대지 미사일을 단 1발도 장착하고 있지 않다.

관련기사

아베 정권과 집권 자민당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 카드를 내밀고 있다. 위헌 소지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북한발 위기를 빌미로 이미 구체적인 행동에 나섰다.
20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방위성은 내년부터 호위함과 전투기에 장착할 수 있는 장거리 순항미사일 개발에 들어간다. 명목상 ‘도서 방위용 신(新)대함 유도탄’ 연구로 내세우지만, 실상은 사거리 300㎞ 이상의 공격 무기 개발이다. 내년도 예산에 책정된 연구개발비는 77억 엔(약 752억원)이다.
방위성은 해외에서의 공대지 미사일 직도입도 검토 중이다.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42대를 배치할 예정인 F-35A 스텔스 전투기에 장착할 미사일이다. 노르웨이 콩스베르그사가 개발 중인 사거리 300㎞의 합동타격미사일(Joint Strike Missile·JSM)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F-35A는 스텔스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JSM 2발을 내장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또 F-16 기체를 기반으로 양산된 일본산 전투기 F-2에는 독자 개발한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 XASM-3를 도입할 예정이다. XASM-3의 사거리는 150~200㎞ 정도다. 적함의 대공 레이더망과 요격을 피하기 위해 마하 3의 속도로 저공 비행하며 공격하는 순항미사일이다. 사실상 중국의 항공모함 전단을 겨냥한 배치로 풀이되고 있다.

일본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전력 증강과 함께 공자대 구조개편도 진행 중이다. 중국 폭격기가 수시로 출몰하는 등 긴장이 끊이지 않는 동중국해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오키나와 나하 기지의 남서항공혼성단을 ‘남서항공방면대’로 격상해 신설했다.
이에 맞춰 전투기 부대도 이동 배치했다. 2015년 8항공단(후쿠오카현 쓰이키 기지)에 있던 F-15J 1개 부대를 나하 주둔 9항공단으로 옮겼다. 또 올해부터 3항공단(아오모리현 미사와 기지)에 F-35A 전투기를 배치하고, 도쿄 인근 7항공단(햐쿠리 기지)에도 1개 전투기 부대를 신설할 방침이다.

미 핵항모·전폭기 호위하며 '신뢰' 쌓는 공자대 #JSM·XASM-3 등 중·장거리 순항미사일 도입 시동 #스텔스기 추적·탐지하는 E-2D 조기경보기 내년 배치 #C-2 수송기 도입해 수송량·항속거리 대폭 확대 #

공자대는 창끝을 뾰족하게 가다듬는 동시에 방패도 강화하고 있다. 방어의 최전선을 책임지는 건 조기경보통제기다. 공자대는 현재 E-2C 조기경보기 13대와 보잉 767 기종을 베이스로 한 E-767 조기경보기 4대를 운용하고 있다.
E-767은 미 공군이 운용 중인 E-3 센트리와 같은 최신형 3차원 레이더(AN/APY-2)를 탑재하고 있다. 레이더가 방위·거리·고도를 동시에 측정하기 때문에 정밀하고 정확한 감시가 가능하다. 탐지 반경 거리도 800㎞에 이른다.
반면 한국 공군의 E-737 피스아이는 상대적으로 기체가 작고 레이더(MESA)의 탐지 반경도 370㎞ 수준에 그친다. 한국 공군도 당초 E-767 도입을 준비하다가 외환위기를 겪으며 기종을 변경했다.
일본은 스텔스기를 잡는 최신 정찰기인 E-2D 어드밴스드 호크아이도 도입한다. 능동전자주사위상배열(AESA) 방식인 AN/APY―9 레이더는 스텔스기 탐지와 추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작사인 미 노스롭그루먼은 지난 13일 플로리다주 세인트 어거스틴에서 공자대에 인도할 E-2D의 첫 시험비행에 들어갔다. 일본은 2018년 연말까지 2대를 배치하고 최종 4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일각에선 실전배치가 임박한 중국의 J-20 스텔스 전투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을 서두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항공자위대가 내년까지 배치하려는 E-2D 조기경보통제기가 지난 13일 미국 플로리다주 세인트 어거스틴에서 처음 시험비행을 했다. [사진 노스롭그루먼]

일본 항공자위대가 내년까지 배치하려는 E-2D 조기경보통제기가 지난 13일 미국 플로리다주 세인트 어거스틴에서 처음 시험비행을 했다. [사진 노스롭그루먼]

조기경보기가 포착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해상자위대와 육상자위대 탄도미사일 방어체계(BMD)와 연동된다. 일본 정부가 이미 도입을 확정하고 구체적인 배치 후보지(동일본의 아키타현, 서일본의 야마구치현)까지 검토 중인 지상형 SM-3 요격미사일 체계(이지스 어쇼어) 역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공자대 조기경보기의 정보가 필수적이다. 구면인 지구의 특성상 지상과 해상 레이더로는 발사 징후를 정확히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방위성은 공자대에 ‘우주부대’를 창설해 미군과 함께 우주공간에서 적의 공격을 감시하는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가와사키중공업이 개발한 C-2 수송기가 지난 4월 처음 부대 배치되면서 전체 자위대 활동을 지원하는 수송 역량도 크게 증강되고 있다. 화물 탑재량은 기존 주력인 C-1(8t)의 3.7배인 30t에 이른다. 육상자위대의 UH-60J 헬기나 전차 등 대형 장비 수송이 가능하다.

또 항속거리도 C-1보다 훨씬 길어졌다. C-1이 2.6t 화물을 싣고 1700㎞를 비행할 수 있는데 반해 C-2는 18t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8100㎞를 논스톱 운항할 수 있다. 동쪽으로는 하와이, 서쪽으로는 인도까지 닿는 거리다. 미·일 양국이 전략적으로 연대하는 인도·아시아 지역 전체를 커버한다. 자위대의 실질적인 활동 반경도 그만큼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