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부, 이틀새 다섯번째 '인도·태평양' 입장…조현 "美와 함께 장점 찾기로"

중앙일보

입력

‘한·미 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번영을 위한 핵심축’이라는 한·미 공동 언론발표문 문안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

조현 외교부 2차관은 10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에 출석, “정부로서는 충분히 논의하고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인도·태평양 개념은 아직 확실하게 다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 측과 긴밀히 협의했고 앞으로 장점을 함께 찾아나가기로 한 바 있다”고 했다. 인도·태평양 개념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한·미가 이의 ‘장점’을 함께 찾는 데 동의했다는 취지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정상회담에 대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정상회담에 대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인도·태평양 개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아시아 정책 기조로, 미국·일본·인도·호주의 협력망을 강화해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 골자다. 한·미가 8일 발표한 공동발표문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 신뢰와 자유·민주주의·인권·법치 등 공동의 가치에 기반한 한·미 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안정과 번영을 위한 핵심축임을 강조했다”로 담겼다.

이 개념을 두고 8일 발표문 공개 이후 조 차관의 발언까지, 책임 있는 정부 관계자가 다섯 차례나 입장을 밝혔다. 논란은 9일 문재인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동행한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그리곤 당일 입장이 이렇게 달라졌다.

“우리는 (인도·태평양 기조에)편입될 필요가 없다”(김 보좌관, 한국 시간 낮 12시경)→“우리 정책방향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오후 2시30분경)→“미 측의 요청으로 발표문에 넣었지만 우리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청와대 고위 관계자, 오후 3시30분경)→“공동의 전략적 목표를 추진하는 데 있어 적절한 지역 개념인지에 대해 좀 더 협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미 측의 설명으로만 명시하기로 합의했다.”(외교부 당국자, 오후 4시40분경·청와대 관계자, 오후 6시20분경)

당일 정부의 최종 입장은 “한국이 이에 동참할지 아직 판단이 서지 않아 추후 협의하기로 했고, 그래서 주어를 ‘양 정상이’가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로 했다”는 취지였다. 10일 “미국과 장점을 함께 찾겠다”는 조 차관의 발언과는 결이 다르다.

이 같은 혼란을 두고 정부가 미국의 인도·태평양 기조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안일하게 접근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고위 외교관 출신의 한 인사는 “한국은 미국의 중국 봉쇄 기조에 명시적으로 동참해서도, 마냥 거부하기도 힘들다. 한국 입장이 드러나지 않게 모호성을 취하는 것이 가장 좋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언론발표문에 문구가 포함된 이상, ‘동의하지 않는다’든지 ‘합의한 것이 아니다’라는 말은 하지 말았어야 했다”고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이 인도·태평양 기조에 대해 일본이 주도하는 것이라는 언급을 반복해서 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일 관계 전문가는 “미국이 미국의 정책 기조로 확립한 상황에서, 계속 일본이 주도한다고 하면서 동참하면 안 될 이유처럼 대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