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회적 문제 풀고 돈도 벌고 … ‘1석2조’ 스타트업 창업 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스타트업 텔라는 우간다에 살고있는 2030세대 교사들을 채용해 국내 고객들에게 영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간다 현지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모습. [사진 텔라]

스타트업 텔라는 우간다에 살고있는 2030세대 교사들을 채용해 국내 고객들에게 영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간다 현지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모습. [사진 텔라]

교육 스타트업 텔라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앱) 카카오톡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영어 회화를 가르친다. 수업은 통상적인 전화 수업이 아닌 메신저로 이뤄진다. 전화 영어 수업도 할 시간이 없을 만큼 바쁘거나 ‘영어 말하기 울렁증’이 있는 직장인들이 주요 타깃이다. 연간 2000명 이상의 고객이 텔라의 ‘카톡 영어’를 이용한다. 원하는 사람들은 주고받은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전화 수업도 할 수 있다.

카톡으로 영어회화 수업하는 텔라 #개도국 청년 현지 채용해 일자리 #물류 벤처선 이륜차 종합보험 도입 #해외 빈민 아동 그림 상품화 업체도

텔라의 영어 교사 30여명은 공식 언어가 영어인 아프리카 우간다와 동남아시아 필리핀의 현지 젊은이들이다. 이들 선생님은 굳이 한국에 올 필요가 없다. 발달한 IT(정보·기술) 환경 덕분에 현지에서 원격 근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개발도상국 젊은이들의 구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비교적 저렴하게 영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획기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텔라의 강점이다.

최근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텔라처럼 빈부 격차, 노동 인권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수익을 창출하는 곳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혁신적인 사업 구조를 갖춘 이들 스타트업은 단순히 기부·나눔 방식이 아닌 상생의 의미를 강조함과 동시에 기업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호평을 받는다.

텔라를 만든 진유하 대표는 학부 시절 봉사 활동 목적으로 방문했던 아프리카 부룬디에서 사업 아이템을 구상했다.

“경제 수준이 낮은 아프리카에서는 대학교를 졸업한 사람들도 비정규직이 대부분이고 실직 중인 경우가 많더라고요.”

진 대표는 “서비스 퀄리티가 좋으니 선생님의 국적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IT 인프라를 활용하면서도 사회적 의미를 담은 사업 아이템이라서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소셜벤처로 시작한 업드림코리아도 캄보디아·인도 등 개발도상국 아동들이 사업의 동기이자 원천이다. 이 회사는 이들 국가에 사는 빈민가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토대로 디자이너가 패턴을 만들어 모자·의류·가방 등을 만든다. 제품을 판매하고 남은 수익금으로 이 아이들을 돕는다.

메쉬코리아는 배송 기사들의 종합보험을 가입하는 등 기사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데 힘쓰고 있다. [사진 메쉬코리아]

메쉬코리아는 배송 기사들의 종합보험을 가입하는 등 기사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데 힘쓰고 있다. [사진 메쉬코리아]

노동자 인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는 스타트업도 있다. IT 기반 물류 벤처기업 메쉬코리아는 지난 4월 법인 최초로 이륜차 종합보험 가입 승인을 받았다. 이 회사는 이륜차를 모는 배송 기사 1만여명을 통해 기업의 배송 서비스 등을 대행하고 있다.

메쉬코리아는 종합보험과 함께 상해보험도 가입해 배송 기사들의 안전을 최고의 가치로 둔다. 운전 중 사고가 발생하면 배송 기사는 대인은 무한, 대물은 최대 3000만원까지 보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보험 업계는 연간 1500명의 기사들이 부상을 입는 등 사고율이 높다는 이유로 자차·자손을 포함한 종합보험 가입은 거절했다.

유정범 메쉬코리아 대표는 “1년간 정부 부처와 국회를 들락날락거리며 관련법 개정을 촉구하고 보험사들을 설득하는 노력을 기울인 끝에 종합보험 단체 가입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배달 앱 ‘배달의민족’과 외식 배달 서비스 ‘배민라이더스’를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도 9월에 배달원들을 위해 ‘라이더 보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업계 내 안좋은 관행을 자진해서 바로잡는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스타트업 '맘시터'는 합리적인 가격의 대학생 베이비시터들과 부모들을 연결해준다. [사진 맘시터]

스타트업 '맘시터'는 합리적인 가격의 대학생 베이비시터들과 부모들을 연결해준다. [사진 맘시터]

스타트업 ‘맘시터’는 베이비시터 중개 플랫폼을 운영한다. 당장 아이를 돌봐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한 부모와 대학생 베이비시터를 연결해주는 것이 주요 서비스다.

젊은 베이비시터들은 등·하원 도우미는 물론이고 실내 놀이, 영어 학습, 체육 수업 등을 아이들과 함께 한다. 육아 경험이 있는 사람이나 보육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지원할 수 있다. 단기간만 이용할 수도 있고 합리적인 가격대 덕분에 창업 1년 만에 1만5000명 이상의 부모 회원을 확보했다.

이 같은 스타트업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문제점은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투자와 지원을 받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기관 등에 투자해 이윤을 추구하는 ‘임팩트 투자’가 국내에선 아직까지 보편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임팩트 투자는 수익률보다는 투자에 따른 ‘임팩트’(영향)를 수익성의 척도로 간주한다.

사회적 기업이나 비영리 법인들을 중심으로 투자와 엑셀러레이팅(육성)을 도와주는 벤처캐피탈(VC)과 엑셀러레이터들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적극 이같은 흐름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선영 기자 dynami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