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생활국감]동네 문구점 잡아먹은 ‘작은공룡’ 다이소 vs "문구업과 동반성장 중"

중앙일보

입력

[사진 다이소 인스타그램]

[사진 다이소 인스타그램]

 생활용품 유통브랜드인 ‘다이소’의 영향으로 문구점들이 속앓이하고 있다. 다이소는 연 매출 1조원 이상의 대형 유통브랜드지만 유통산업 발전법의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

16일 국민의당 이찬열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 문구공업협동조합 등 국내 문구 관련 단체 3곳이 전국 459개 문구점을 대상으로 진행한 ‘다이소 영업점 확장과 문구업 운영 실태 현황’ 조사 결과 "다이소의 영향으로 매출이 하락했다"고 답한 곳이 92.8%였다. 응답 업체의 46.6%는 "매장을 계속 운영할지 고민 중"이라고 답했다. 문구 단체 3곳은 한국 문구공업협동조합, 한국 문구인 연합회, 한국 문구유통협동조합 등이다.

문구 업계는 다이소가 생활용품 전문점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판매 품목을 제한하고,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해달라는 요구다. 이찬열 의원은 “다이소는 2016년 매출 1조3055억원을 달성해 국내 기업형 슈퍼마켓 3위인 GS슈퍼마켓(1조4244억원)과 비슷한 규모의 연 매출을 기록했으나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달리 유통산업 발전법 규제 대상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점포를 낼 수 있다”며 “규제 사각지대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다이소 측은 문구협회의 대표성 문제를 제기했다. 3개 문구 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다수의 비회원사 의견도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이소에 따르면 한국 문구공업협동조합은 900여개 국내 제조사 중 28%가 가입해있다. 다이소는 또 “다이소는 주로 1000원대 물품이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문구의 비중은 5% 미만”이라며 “다이소를 특정해 공격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골목상권 침해에 대해서는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의 32개 회원사와 협력 업체 관계를 맺고 동반성장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