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대학생 칼럼

태워지는 간호사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임도원 UC버클리 화학과 박사과정 1학년

임도원 UC버클리 화학과 박사과정 1학년

바야흐로 신규 간호사 채용 시즌이다. 전국의 예비 간호사들은 대개 대학 졸업을 한 학기 앞두고 취업해 기쁜 마음으로 마지막 학기를 보낸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렇게 새롭게 채용되는 신규 간호사의 30%는 1년을 채 버티지 못하고 이직한다. 더 나은 근무 여건을 찾아 떠나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는 병원 내 간호사들 간의 ‘태움 문화’를 견디지 못하고 떠난다.

‘태움’이란 ‘영혼을 태울 정도로 혼낸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 은어다. 선배 간호사가 후배 간호사에게 행하는 언어, 신체적 폭력이나 따돌림을 뜻한다. 조직 내의 폭력을 지칭하는 단어가 따로 있을 정도라니 그 심각성을 짐작할 만하다. 물론 생명을 다루는 간호 업무의 특성상 간호사들은 항상 긴장해야 하고 엄격한 분위기에서 일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태움 문화’는 업무 외적으로도 간호사들을 괴롭히면서 작게는 한 사람의 인생을 생지옥으로 만들고, 크게는 간호사 문화 전체를 병들게 하고 있다.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심리학에 따르면 사람의 행동을 조절하는 욕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좋아하는 것에 다가가려는 접근 동기와 싫어하는 것을 피하려는 회피 동기다. 간호사의 ‘태움 문화’는 회피 동기를 아주 극단적으로 사용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신규 간호사들은 선배 간호사의 욕설, 인격 모독 등을 ‘피하기’ 위해 더 꼼꼼하게 차트를 점검하고 환자들을 관리한다.

단기적으로는 회피 동기의 활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은 회피 동기가 아닌 접근 동기다. 못한 것에 대한 지적도 중요하지만 잘한 것에 대한 칭찬과 격려가 있을 때 신규 간호사가 장기적으로 더 훌륭한 간호사로 거듭날 수 있는 것이다.

오늘 하루 병원에서 신규 간호사를 태우며 한 사람의 인생을 뒤흔든 선배 간호사가 특별히 악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아마 조직의 분위기에 휩쓸렸을 것이다. 간호사 문화는 ‘원래 그렇다’며 그대로 놔둘 일이 아니다. ‘원래 그렇다’는 말은 더 나은 방향으로의 개선을 너무도 쉽게 포기해 버리는 무책임한 말이다. 이 맥 빠지는 말을 뛰어넘을 때 비로소 사회가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바뀔 것이다.

임도원 UC버클리 화학과 박사과정 1학년

◆ 대학생 칼럼 보낼 곳=페이스북 페이지 ‘나도 칼럼니스트’(www.facebook.com/icolumnist) e메일 opinionpag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