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러 가스파이프라인 재추진, 북한 리스크 탓 실현 불투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재인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북한을 경유하는 한-러 가스파이프라인(가스관)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한-러 가스관 사업은 이명박 정부 당시 처음 제기된 프로젝트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한 동해안 벨트(나선~원산)를 거쳐 속초까지 잇는 가스관을 건설하겠다는 구상이다.

MB정부 때 남북관계 경색돼 중단 #송영길 특사, 푸틴 만나 재개 논의

국제시장 LNG 평균가 대비 20% 이상 저렴한 러시아산 파이프라인 천연가스(PNG)를 도입하면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북한과의 경제협력에서도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명박 정부 중반 북한과의 관계가 경색되면서 수면 아래로 내려간 뒤 박근혜 정부 내내 사문화됐다. 하지만 북한과의 대화 협력을 적극 모색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에서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다.

관련기사

지난 5월 대통령 특사로 러시아를 찾은 송영길 의원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면담하면서 가스관 사업 재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의원은 “푸틴 대통령이 남·북·러 철도 및 전력망 연결 사업과 함께 북한 경유 가스관 사업 등 3각 협력 사업 재개를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푸틴 대통령과 지난 7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가스 협력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오는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문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 구체적인 논의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국면이 지속되는 상황에선 북한 경유 가스관 건설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본다.

설령 북한 리스크가 없다고 해도 러시아에서 한반도에 공급할 천연가스 물량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백근욱 옥스퍼드에너지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주요 사할린 광구 천연가스의 복잡한 수급 상황을 고려하면 문재인 정부 임기 안에 한반도로 PNG 공급이 이뤄지기는 어렵다”면서 “사할린 지역 내 새 가스전 개발도 빙하로 인한 기술적인 한계와 투자 문제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