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훈범의 시시각각

후흑의 내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이훈범
이훈범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이훈범 논설위원

이훈범 논설위원

『후흑학(厚黑學)』이라는 책이 있다. 리쭝우(李宗吾)란 사람이 1911년 펴낸 것인데, 자신이 중국역사 24사(史)를 모두 읽어보니 남는 건 결국 ‘후흑’ 두 글자더라는 거다. 후흑은 문자 그대로 면후(面厚·뻔뻔함)와 심흑(心黑·음흉함)을 일컫는다. 뻔뻔함과 음흉함이 없으면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없더란 얘기다. 청나라가 망하고 신중국이 탄생하는 격변기를 풍미한 처세술이거늘, 외려 오늘날 대한민국의 초목을 쓰러뜨리는 바람 같다.

뻔뻔함과 음흉함의 필살기 쓰려면 #인의·도덕 방어술도 갖춰야 했는데 …

여기저기 뻔뻔함과 음흉함이 널리고 걸렸다. 분명 조작된 증거가 대선판을 뒤흔들었음에도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 아래서는 위에서 시켰다 하고, 위는 아래에 속았다 한다. 대선후보건 당 대표건 폭로 책임자건 전에는 몰랐고 지금은 나몰라라다. 이것이 이 나라 제2 야당의 ‘면후심흑’이다. 부끄러움은 표를 줬던 20% 유권자들의 몫이다.

제1 야당 역시 후흑이 엷거나 옅지 않다. 국정을 농단한 세력들이 줄줄이 단죄되는 마당에, 그들을 호위 하고 그들에 부역했던 인물들이 사죄의 낯빛 없이 다시 권력을 탐하고 있다. 선거 때 그들을 ‘재활용’했다 이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용도 폐기하려는 사람이 당 대표가 됐다. 양지를 찾아 가출했다 돌아온 ‘귀족의원’ 13명과 ‘이기는 게 우리 편’인 웰빙 초선들은 눈치만 껌벅이고 있다. 역시 표를 줬던 24% 유권자만 낯이 뜨겁다.

더욱 중요한 건 집권당의 후흑이다. 1년 전 자신들 처지가 까마득한 사람들에게 4년 전 기억을 떠올리라는 게 무리일 수 있겠다. 하지만 이건 해도 너무했다. 4년 전 ‘인사 참사’ 때 자신들이 던진 비판에 돌아왔던 말들을 자신들 입으로 녹음기처럼 되뇌고 있다. 그런 실패한 인사의 결과로 줍다시피 여당이 됐으면서도 아무것도 배운 게 없다. 모르면 멍청함이요 알고도 그러면 뻔뻔함이며 다른 셈이 있다면 음흉함이다.

진짜 중요한 건 청와대의 후흑이다. 치명적 결과를 초래하는 까닭이다. 그릇된 인사에 대한 합리적 지적에도 눈 하나 꿈쩍이지 않는다. 물론 흠이 있다고 능력까지 없는 건 아니다. ‘심흑’의 대명사인 조조의 말이 그거다. “진평의 행동이 독실했나, 소진이 신의를 지켰나. 하지만 진평은 한나라의 기초를 닦았고 소진은 약한 연나라를 구했다.” (『삼국지』 ‘위서’편) 하지만 선거 전 호기롭게 외쳤던 ‘5대 악(惡)’을 메아리도 없이 거두는 건 뻔뻔함이요, 여론 지지율로 명분을 가름하는 건 음흉함이다.

지지율이라는 게 연예인 인기처럼 거품 같다는 걸 이 정권이 모를 리 없다. 깜박했다면 오래지 않고 멀지 않은 교훈이 있다. 거침없이 질주하던 일본 자민당이 엊그제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역사적 참패를 당한 게 결코 남의 일만은 아닐 터다. 개혁의 길은 뻥 뚫린 고속도로가 아니다. 체증도 있고 낙석도 있을 수 있다. 그런 길을 같은 코드의 사람들하고만 달려서는 예상치 못했던 장애물을 피할 수 없다. “모든 정치적 혁명은 대중이 이런저런 시도에 휩쓸려 녹초가 되면 곧장 끝난다”던 키신저의 말을 새길 필요가 있다.

『후흑학』의 결론도 다른 게 아니다. “후흑의 극치는 사람들로 하여금 ‘뻔뻔하지도 음흉하지도 않다(不厚不黑)’고 느끼게 하는 경지다. 후흑을 행할 때는 반드시 인의(仁義)와 도덕이라는 겉옷을 입어야 한다.” 후흑이 필살기라면 인의도덕은 방어술인 것이다. 바꿔 말해 코드에 탕평의 색깔을 입히는 건 베풂이 아니라 자신을 위한 안전장치란 말이다. 안전띠를 매지 않고 출발하는 새 정부 1기 내각을 보며 기대와 우려가 반반인 게 그래서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오니 더더욱 그렇다.

이훈범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