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최저임금 1만원 지금 당장” 촛불광장 접수한 깃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민주노총은 3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총파업 집회를 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조합원들이 서울역 교차로를 건너 광화문광장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은 3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총파업 집회를 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조합원들이 서울역 교차로를 건너 광화문광장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이 예고한 ‘사회적 총파업 대회’ 당일인 3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모인 참가자들은 “국민 모두의 삶을 지키는 파업”이라는 명분을 앞세웠다.

민노총, 광화문광장서 총파업 대회 #“개혁 골든타임 놓치면 적폐 반격” #비정규직 철폐, 노조 할 권리 등 요구 #경찰 6000명 배치, 차벽은 설치 안 해 #“성찰 없는 떼쓰기 정치파업” 지적도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최저임금 1만원은 국민 모두의 임금이며, 차별 없는 정규직 전환 요구는 1000만 비정규직의 요구다. 노조 할 권리는 노동조합이 없는 1800만 노동자 모두의 요구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친노동 정부를 표방하고 있지만 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수구적폐 세력들의 반격이 시작될 것은 불 보듯 명확하다. 더 빠른 속도로, 더 과감하게, 더 올바른 방향으로 노동적폐 청산과 대개혁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측은 “총파업에 전국 약 35개 비정규직 노동조합 조합원 6만300여 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18만여 명 중 약 30%가 파업에 참여했다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이 집회를 민주노총과 함께 주최한 ‘최저임금 만원·비정규직 철폐 공동행동’(만원행동)은 “이번 파업의 맨 앞에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서 있다. 이들은 일터에서 벌어지는 비민주적인 관행과 노동의 가치를 함부로 폄훼하는 사회의 인식에 맞서, 그리고 왜곡된 고용구조와 저임금에 맞서 세상을 살리는 파업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애인단체인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부양의무제 기준 폐지를 요구했고, ‘백남기투쟁본부’는 경찰의 폭력 진압을 규탄하는 사전 집회를 연 뒤 대회에 합류했다.

급식조리원 등 학교 내 계약직 종사자들도 파업에 참여하면서 1만1304개 학교의 급식이 중단됐다. 지역별로 급식을 제공하던 학교 중 이날 급식이 중단된 학교 비율은 세종시가 88.3%로 가장 높다. 이어 광주 39.2%, 경기 31.5% 등 순이다. 급식 중단 학교는 전날처럼 학생들이 도시락을 싸 오거나 빵·우유 등 급식으로 대체했다. 단축수업을 하거나 체육행사 등을 준비한 곳도 있었다.

전교조도 이날 민주노총 총파업에 참가했다. 이날 오후 1시30분쯤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시작한 교사결의대회엔 전교조 교사 500여 명이 모였다. 연가를 내거나 조퇴하는 등의 방식으로 참여했다. 조창익 전교조 위원장은 “국정기획자문위·청와대를 향해 법외노조 철회를 요구하고 있으나 돌아오는 응답이 미약하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집권하면 법외노조 문제를 해결하겠다’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은 집회 장소 인근에 75개 중대 6000여 명의 경찰 인력을 배치했다.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한다’는 최근의 경찰 입장에 따라 ‘차벽’은 만들지 않았다. 오후 4시20분쯤 참가자들은 광화문광장에서 출발해 세종로 사거리와 종로3가, 청계3가 방향으로 행진했다. 이에 따른 교통 통제로 시민과 차량들이 제자리에 묶였다. 종로 1가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던 김형식(61)씨는 “버스를 타고 왕십리에 가야 하는데 버스가 안 와 땡볕에 15분째 서 있다”며 연신 손부채질을 했다.

일각에선 이번 파업이 ‘정치적 파업’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주최로 진행된 ‘사회적 총파업, 무엇을 위한 파업인가’ 토론회에서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민주노총은 자신의 행태를 성찰하지 않고 ‘사회적’이란 용어를 써서 현 상황의 모든 책임을 사회 구조 탓으로 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이 내세우고 있는 ‘최저임금 1만원’ 요구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최저임금 1만원 달성을 위해 최저임금을 갑자기 현재보다 54.6% 인상하게 된다면 영세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급격히 악화시키고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전민희·홍상지·김민관 기자 hongs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