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핸들 손 떼고’ 여의도 누빈 자율주행차, 알아서 속도 바꾸고 빨간불 되면 스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운전자의 손이 핸들에서, 발은 액셀러레이터에서 벗어났다. 하지만 자동차는 차선을 벗어나지 않았고,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바뀌면 알아서 멈췄다. 22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대로에서 서울대 자율주행차 ‘스누버’의 실전 자율주행이 진행됐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반도로를 자율주행으로 달리는 시도였다. 기자를 조수석에 태운 운전자가 1분 만에 “ 이제 핸들에서 손을 떼겠습니다”라며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했다. 버스·택시·자가용들이 뒤엉킨 도로였지만 사고는 물론 교통 혼잡도 유발하지 않았다.

서울대 스누버, 첫 일반도로 주행 #차선 이탈 한 번도 없이 4㎞ 달려 #1년 반만에 완전자율 직전 단계로 #앞 차 인지 늦어 가끔 급정거도 #“사고 책임 등 제도·기술 보완 필요”

여의대로를 달리며 길이 비교적 잘 뚫리자 차량의 시속은 50㎞로 올라갔다. 가끔 앞 차량의 속도를 인식하는 게 늦어 차량이 급하게 멈춰 서는 상황도 있었지만 스누버는 4㎞를 12분 동안 스스로 달렸다. 주차는 아직 혼자서 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자율주행차 ‘스누버(SNUver)’가 22일 서울 국회대로에서 신호대기로 정차해 있다. 자율주행차가 국내 일반 도로를 주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경록 기자]

자율주행차 ‘스누버(SNUver)’가 22일 서울 국회대로에서 신호대기로 정차해 있다. 자율주행차가 국내 일반 도로를 주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경록 기자]

관련기사

이날 일반도로 자율주행은 서울대 지능형자동차 정보기술(IT)연구센터가 2015년 11월 스누버 초기 모델을 발표한 지 1년 반 만에 거둔 성과다. 운전석에 탔던 계동경(29) 연구원은 “그동안 관악 캠퍼스에서만 달리던 스누버가 오늘 처음으로 일반도로를 누비면서 국내 자율주행차 역사를 새로 썼다”며 웃었다.

차량은 초기 모델보다 두 단계 업그레이드된 ‘스누버3’였다. 그동안 캠퍼스 내에서 2만㎞ 이상을 시험 운행했다. 인공지능 기능을 강화해 고층 건물 사이와 터널 안은 물론 이면도로에서도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능형자동차 IT연구센터장인 서승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스누버3는 자동차안전연구원이 임시운행허가 시험 단계에서 요구하는 신호등 인식과 1차 편도 도로에서 중앙분리선을 넘지 않는 추월금지 등에서 국내 최초로 모두 합격했다”고 설명했다.

스누버에 설치된 라이다(lidar)센서와 카메라가 주변을 감지해 모니터로 전송한 화면. [김경록 기자]

스누버에 설치된 라이다(lidar)센서와 카메라가 주변을 감지해 모니터로 전송한 화면. [김경록 기자]

자율주행 기술 수준은 5단계로 구분된다. 스누버는 완전자율주행 직전 단계인 4단계 수준이다. 제한된 조건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월 ‘제2차 자동차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0년까지 3단계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아직 완전 자율주행 단계로 가기에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이날 스누버에는 주변 지형지물을 파악할 수 있는 ‘라이다(LiDar)’ 4대와 카메라·센서 등 각종 장치가 달려 있었지만 신호등 인지 거리가 50m 정도로 짧았고 급정거를 가끔 하는 문제를 드러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기존 도로 인프라가 자율주행차량을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돼 기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 사고 발생 시의 책임 주체를 누구로 할지, 자율주행차에 필수인 지도를 공공재로 봐야 하는지 등 제도·기술 측면에서 정리해야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김준영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