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공자 할아버지 부축한 문 대통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2회 현충일 추념식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예고되지 않은 동선이 등장했다.
국가유공자 증서를 받은 박용규(88)씨를 대신해 아들 종철(59)씨가 편지 형식의 소감문 낭독을 끝낸 시점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2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국가유공자인 박용규씨 를 부축해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2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국가유공자인 박용규씨 를 부축해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참석자들의 박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문 대통령은 갑자기 일어서 아들의 부축을 받으며 연단에서 내려오고 있는 박용규씨에게 다가갔다. 그의 오른편에 선 문 대통령은 한 손으로 그의 등 언저리를 받치고, 다른 손은 그의 손을 잡고 자리까지 이동을 도왔다. 참모들이 "경건한 형식의 기념식에서 말보다는 행동으로 참석자들을 위로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위로 정치"로 표현하는 행동이 재현된 것이다.

 앞서 지난달 18일 광주에서 열린 제37주년 5ㆍ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문 대통령은 계엄군의 총탄에 아버지를 여읜 ‘5ㆍ18둥이’ 김소형(37)씨의 편지 낭독이 끝난 뒤 김씨를 쫓아가 포옹하며 위로했다. 김씨는 이후 언론에 “아버지가 온 것처럼, 아버지가 안아 준 것처럼 따뜻하고 포근했다”고 말했다.

 이날 국가유공자 증서를 받은 박용규씨는 6ㆍ25 전쟁 당시 포병으로 복무했고, 박씨의 가족은 3대에 걸쳐 병역의 의무를 다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문 대통령은 종철씨가 편지를 낭독할 때 중간중간 고개를 끄덕였고, 때로는 눈을 지그시 감고 경청했다. 문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정숙 여사는 중간에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추념사를 통해 “애국의 대가가 말뿐인 명예로 끝나서는 안된다”며 “독립운동가 한 분이라도 더, 그 분의 자손들 한 분이라도 더, 독립운동의 한 장면이라도 더, 찾아내겠다. 기억하고 기리겠다”고 말했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