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러버덕에 이어 스위트스완 선보인 공공미술가 호프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석촌호수에 띄운 노란색 대형 '러버 덕(고무 오리)' 작업으로 유명한 네덜란드 출신 세계적 공공미술 작가 플로렌타인 호프만(40)이 서울 잠실에서 첫선을 보이는 '스위트 스완 프로젝트'와 관련해 내한, 6일 롯데월드타워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호프만이 작업한 백조 가족은 지난 1일부터 석촌호수 동호에 선보이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제재로 만든 높이 14~16m의 엄마·아빠 백조, 3.5m 내외 아기 백조 5마리로 구성된 백조가족이다. 지난 2014년 '러버 덕 프로젝트' 때 방한했던 작가의 느낌을 담아 제작됐다. 

3일 서울 잠실 석촌호수에 대형 백조 가족이 등장했다. 호수의 백조 가족은 공공예술프로젝트의 네 번째 작품인 '스위트 스완'으로 리버덕으로 유명한 플로렌테인 호프만의 작품이다. 롯데물산은 롯데월드타워 개장을 기념해  14~16m 크기의 아빠, 엄마 백조와 3.5~5m의 아기 백조 5마리의 작품을 호수에 띄웠다. 김상선 기자

3일 서울 잠실 석촌호수에 대형 백조 가족이 등장했다. 호수의 백조 가족은 공공예술프로젝트의 네 번째 작품인 '스위트 스완'으로 리버덕으로 유명한 플로렌테인 호프만의 작품이다. 롯데물산은 롯데월드타워 개장을 기념해 14~16m 크기의 아빠, 엄마 백조와 3.5~5m의 아기 백조 5마리의 작품을 호수에 띄웠다. 김상선 기자

호프만은 "스위트 스완은 사랑이고, 봄이고, 새로운 탄생"이라며 "러버덕을 띄웠던 호수 위에서 새로운 작품을 선보여야 한다는 것에 대해 생각이 많았다. 러버덕은 그 자체가 아이콘이었다면 스위트 스완은 메시지,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여겼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사회는 기본적으로 스트레스가 많다고 생각했다. 정치적으로 남북한이 나눠져 있고, 미국과 러시아 같은 강대국으로부터 정치적인 영향도 많이 받고.  이런 국가에서 사랑이 많이 생겨나고 그것이 연결돼 아이들이 태어나기를 바랐다"고 덧붙였다. 사회적 어려움을 뛰어넘는 사랑과 가족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백조가족으로 형상화했다는 설명이다.

얼핏 비슷해 보이는 아기 백조 다섯 마리는 자세히 살펴보면 피부색과 부리색이 다 다르다. 그는 "회색빛 피부로 비슷해 보이지만 부리의 색이 다르듯, 개인은 다 소중하고 특별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부연했다. 

호프만은 세계를 누비며 각 장소가 가진 특성에 맞게 구성된 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공공미술작가로 유명하다. 10m가 훌쩍 넘는 폴리에스테르가 주소재인 백조를 호수에 띄우는 것이 쉬운 작업은 작업은 블록버스터를 방불케 한다. 고무 오리 러버덕 역시 크기가 16.5m, 무게가 7톤에 달했다.  

이로 인해 기업 등의 후원 없이는 성립되기 어렵다. 일부에서 상업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스위트 스완 프로젝트' 역시 대형 쇼핑몰인 롯데월드타워와 협업했고, 123층  롯데월드타워의 개관과 함께 진행됐다. 그는 "쇼핑센터와 협업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은 갖고 있지 않다. 기념품을 판매하는 것도 작품을 본 기억을 가지고 돌아가는 것이라 좋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2014년 '러버 덕'에 이어 '스위트 스완 프로젝트'를 선보인 네덜란드 출신 공공미술가 플로렌타인 호프만 .[중앙포토]

2014년 '러버 덕'에 이어 '스위트 스완 프로젝트'를 선보인 네덜란드 출신 공공미술가 플로렌타인 호프만 .[중앙포토]

호프만의 작품은 때때로 정치적인 맥락에서 해석되기도 했다. 2007년 프랑스 파리 생-라자르 기차역에 처음 선보인 러버덕은 이후 한국을 비롯해 여러 나라를 여행했는데 최근 러시아에서는 메드베데프 총리가 호화로운 별장을 짓고 연못에 오리 집까지 띄웠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러버덕이 현지 시위대 사이에 저항의 상징으로 등장했다. 

3년 전 한국 러버덕 프로젝트는 대중 사이에서 화제가 되며 한국 사회에 공공미술의 중요성을 환기시켜준 계기로 평가 받는다. 이 프로젝트가 진행하는 동안 500만명이 석촌호수를 찾았다.  그는 "스트레스가 많은 사회에서 러버덕이 사회적인 맥락으로 해석되는 것이 흥미롭다"며 "나는 러버덕을 정치적인 의미로 만들지 않았지만 작품은 모든 사람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시는 5월8일까지.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