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사이트] 패션 기저귀 만든 제시카 알바, 페북 투자 1조원 번 보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제시카 알바, 애슈턴 커처, 킴 카다시안, 저스틴 비버. 연예매체가 아닌 미국 경제잡지 포브스 표지를 장식한 할리우드 스타들이다. 포브스는 이들을 “출연료·공연 수입 등에 안주하지 않고 기업가정신을 보여준 좋은 예”라며 “명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부를 일굴 기회를 잡았다”고 소개했다. 본지는 포브스에 등장한 이 네 명의 스타를 기준으로 부를 일군 셀레브리티 사업가 유형을 크게 F(Founder·창업형), A(Alliance·동맹형), M(Mobile·모바일 게임 기획형), E(Equity·지분 투자형)로 나눠봤다.

‘벤처 투자’로 돈 번 스타들 #알바, 밋밋한 유아용품 디자인 불만 #표범무늬, 성조기 기저귀로 대박 #애슈턴 커처, 우버·에어비앤비 투자 #336억원을 2806억원으로 불려 #카다시안, 모바일 게임 아이템 참여 #저스틴 비버도 IT 지분 1400억원

첫 번째는 F(창업형)다. 보그, 코스모폴리탄 등의 여성잡지 표지모델로 인기를 끌던 제시카 알바는 2015년 6월 포브스 표지에 등장했다. 2011년 알바는 600만 달러(약 67억원)의 종잣돈으로 유아용품 전문업체 ‘어니스트’를 창업해 3억4000만 달러가 넘는 부를 쌓았다. 2008년 첫 임신을 한 알바는 화학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아기용품이 필요했다. 간신히 찾아낸 친환경 제품은 너무 비싸거나 디자인이 별로였다. 알바는 “(기존 제품들이) 현대인으로서 내가 가지는 니즈를 충족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성공의 비결은 할리우드 스타처럼 ‘스타일리시한’ 기저귀 디자인이다. 보라색·녹색 레오파드(표범) 무늬를 하거나 아기가 처음 맞는 독립기념일을 축하하듯 성조기 등이 그려졌다. 어니스트 매출의 75%는 매월 79.95달러에 정기 배송하는 기저귀·물티슈 온라인 판매에서 나온다. 스타일리시한 기저귀를 입히고 아기와 셀카를 찍는 신세대 엄마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기업가치는 현재 10억 달러를 웃돈다.

청룽, 멀티플렉스 영화관 수입 연 560억원

영화배우 청룽(成龍)도 창업으로 부를 쌓고 있다. 청룽은 최근 별다른 히트작이 없지만 한 해 수입은 5000만 달러(2015년 기준)에 달한다. 자신의 이름을 건 멀티플렉스 영화관 사업 덕이다. 2010년 ‘재키 챈 야오라이 인터내셔널 시네마’를 개관했다. 17개 영화관을 갖춘 멀티플렉스(영화 상영관·쇼핑센터·식당 등을 한 건물 내에 갖춘 복합공간)다. 혼성 가수 그룹 쿨의 멤버 유리는 국내 연예인 쇼핑몰로는 처음으로 중국에 진출했다. 유리는 2008년 의류 쇼핑몰 ‘아이엠유리’를 창업해 국내 연예인 쇼핑몰 창업 붐을 일으켰다.

두 번째는 A(동맹형)다. TV스타 애슈턴 커처는 마돈나 매니저 가이 오시어리, 억만장자 론 버클과 팀을 이뤄 우버, 에어비앤비 등의 스타트업에 투자해 3000만 달러였던 투자금을 2억5000만 달러로 불렸다. 8.5배의 투자 수익률이다. 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자 마크 안드레센은 “정기적으로 세 배의 수익률을 낼 수 있다면 최고의 벤처투자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며 “수익률 다섯 배는 홈런급”이라고 설명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만나 투자에 공통 관심을 둔 커처와 오시어리는 2010년 버클과 손을 잡고 A-그레이드 인베스트먼트(이하 A-그레이드)를 설립했다. 버클이 800만 달러를, 커처와 오시어리는 100만 달러씩 출자했다.

벤처투자자로 변신한 커처는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대중과 긴밀한 접촉을 이어가자 투자 기회는 넘쳐났다. “생산적이고 도움이 된다는 명성을 쌓고 나면 많은 초대를 받기 마련”이라고 투자자 안드레센은 말했다. 우버, 에어비앤비에 초기 투자한 금액은 각각 50만 달러, 250만 달러지만 현재 이 기업의 지분 가치는 6000만 달러, 9000만 달러에 달한다. 커처는 지명도를 활용해 투자를 도왔다. 그는 트위터에서 가장 먼저 팔로어 수 100만 명을 달성한 연예인이다. 포브스는 “커처는 광고 출연료 대신 지분을 받거나 자신의 명성을 이용해 투자 정보를 얻는 데 만족하지 않고, 실제 다른 투자자의 돈을 관리하는 수준까지 올라간 최초의 연예인”이라고 전했다. 현재 A-그레이드가 투자한 스타트업은 90개를 웃돈다.

연합을 이뤄 투자에 나서는 경우는 옆나라 중국에도 있다. 중국의 톱배우인 장쯔이는 2015년 출범한 벤처캐피털인 스타VC(Star VC)의 멤버다. 황보(황발), 리빙빙, 황샤오밍(황효명), 런취안 등 스타 VC의 주요 구성원은 모두 연예인이다. 지난해 인터넷 쇼핑몰 한두이서(韓都衣舍)에 투자했다. 첫 번째 ‘싱글데이(11월 11일,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의 대규모 판촉행사)’에 맞춰 리빙빙, 황샤오밍, 런취안이 한두이서의 공식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글을 남겼고, 한두이서 판매량은 판매 시작 1분 만에 1000만 위안(약 18억원)을 돌파했다. 중국 현지언론인 시나닷컴은 “높은 지명도와 인기를 누리는 연예인의 특징을 활용해 일반 투자자가 할 수 없는 홍보 효과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게임에 초상권 빌려주고 매출 40% 챙겨

M(모바일 게임 기획) 유형은 직접 맞춤화한 모바일 게임 콘텐트를 만드는 셀레브리티다. 포브스에 따르면 유명인을 소재로 삼은 모바일 게임은 연매출 2억 달러를 내는 게임업계의 새로운 블루오션이다. 계약을 체결한 스타들은 SNS나 TV에서 게임을 홍보하거나 아이템 제작에 참여한다. 억만장자 상속녀 패리스 힐튼의 친구로 할리우드에 입성한 킴 카다시안은 자신의 스토리로 모바일 게임 ‘킴 카다시안: 할리우드’를 만들었다. 플레이어는 스스로 유명인이 돼 카다시안과 친구가 되고 A급 스타로 성장한다. 포브스는 “기업가정신의 핵심은 무엇보다 리스크에 있다”며 “모바일 게임도 예외는 아니어서 성적이 좋지 않은 게임은 스타에게 별다른 성과를 주지 못하고 개발자에게는 엄청난 부담으로 돌아온다”고 전했다.

카다시안은 게임에 초상권을 빌려주는 대신 최소 개런티를 100만 달러 미만의 ‘소액’으로 정했다. 대신 플랫폼 수수료를 제외한 매출의 40%를 받았다. 카다시안은 게임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승인권을 가졌다. 그래서 1년간 게임에 등장하는 의상 아이디어에 대해 최종 결정을 내리고 게임의 이야기 흐름을 하나하나 검토했다. 포브스 인터뷰에서 카다시안은 “옷과 아이라이너, 헤어스타일, 컬러톤 등 모두 내 승인을 거쳤다”고 말했다. 개발한 아이템 홍보도 카다시안의 몫이다. 카다시안이 수영복 셀카를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리면, 앱 개발업체에서 이를 이모티콘으로 바꿔 앱에 포함한다. 그럼 카다시안의 팬들은 1.99달러에 수영복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카다시안이 올린 소득 5100만 달러(2016년) 중 40%는 모바일 게임에서 나온다.

스마트폰과 앱스토어 등장으로 지명도를 돈으로 바꾸는 길은 넓어졌다. 코미디언 엘런 디제너러스는 엉뚱한 개성을 활용해 2013년 모바일 퀴즈게임 ‘헤즈업(Heads Up)!’을 출시했다. 플레이어는 휴대전화 스크린에 뜬 단어를 상대편 머리 위로 올리고 정해진 시간에 몸짓으로 상대가 알아맞히게 해야 한다. 우스꽝스러운 동작은 휴대전화 카메라로 기록된다. 출시 이후 지금까지 2550만 회 다운로드돼 디제너러스는 9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뒀다. 세계를 뒤지며 타자기를 수집하는 취미가 있던 톰 행크스는 2014년 앱 ‘행스 라이터(Hanx Writer)’ 출시했다. 구식 타자기와 같은 자판을 두드리며 문서를 작성하는 앱으로 글자를 칠 때마다 구식 타자기 소리가 난다. 아이패드용으로 개발된 이 앱은 미국 앱스토어 차트에서 최상위권에 올랐다.

10대 시절부터 가수로 활동한 저스틴 비버는 E(지분 투자형)의 대표 주자다. 포브스에 따르면 비버는 스타로 이름을 알리기 전인 2009년 사업가로서 투자를 시작했다. 본격적인 지분은 2011년 옵션미디어그룹 주식 1억2100만 달러어치를 매입하면서 이뤄졌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Spotify)에도 25만 달러를 투자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비버의 순자산(2억2500만 달러) 중 5%가량은 이런 지분 투자 이윤에서 나오고 있다. 록밴드 U2의 보노는 40대 중반 왕성하게 활동하며 번 돈을 효율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지분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2009년 8600만 파운드(약 1200억원)를 투자해 페이스북 지분 2.3%를 사들였다. 페이스북의 주가는 급등해 현재 보노의 지분가치는 약 1조원까지 올랐다.

임채연 기자 yamfl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