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JTBC 방송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2/28/0fb38e5f-905e-439b-95d7-f665a6272efd.jpg)
[사진 JTBC 방송 캡처]
![[사진 JTBC 방송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2/28/d6437841-68ae-436d-9c9d-c00b19bbfa3f.jpg)
[사진 JTBC 방송 캡처]
지난 2004년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며 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 국회 시정연설 후 "헌법재판소 결정을 수호할 의무가 있는 것이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사진 JTBC 방송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2/28/b65187c3-c510-4200-b09e-208d61f366f2.jpg)
[사진 JTBC 방송 캡처]
2004년 당시 탄핵소추위원이었던 김 전 실장은 "노무현 대통령이 헌재에 불출석하는 건 탄핵 사유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전 실장은 탄핵 사태에 대해서 "국회의 잘못이 아니라 대통령이 자초한 잘못"이라며 "(나라가) 잘 되는 것도 대통령의 공로이고, 이 같은 사태를 오게 한 것도 대통령의 책임"이라고 압박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된 2004년 3월 12일 김기춘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이 탄핵 의결서를 헌법재판소 민원실에 접수하고 있다 [사진=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2/28/57810d09-3ef0-4411-b30b-4fdee3d9b125.jpg)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된 2004년 3월 12일 김기춘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이 탄핵 의결서를 헌법재판소 민원실에 접수하고 있다 [사진=중앙포토]
박 대통령과 김 전 실장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일각에서는 '부메랑이 돼 그대로 돌아왔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편 박 대통령은 27일 열린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최종변론에 출석하지 않고 입장을 담은 서면 진술서만 제출했다.
온라인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