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삶의 향기

같이 걸어가는 사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김세정 런던 GRM Law 변호사

김세정
런던 GRM Law 변호사

살고 있는 동네에 자주 보던 노인 커플이 있다. 남자 노인은 양복을 입고 여자 노인은 무릎 길이의 치마를 입고 추우면 그 위에 모직 코트를 입은 늘 비슷한 차림이다. 늘 비슷한 시간에 느릿하되 일정한 걸음으로 20여 분을 걸어 수퍼마켓에 갔다가 하루 치 장을 봐서 나눠 들고는 다시 집으로 걸어간다.

명절에 며느리·아내 역할 하느라 마음의 상처받는 사회
사실상 남인 부부가 잘 살아가도록 온 집안 응원해 줘야

두 사람이 손을 잡거나 이야기를 하며 가거나 하는 일은 없는 걸로 보아 오래 산 부부인가 하고 짐작한다. 자식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독립해 떠났을 것이다. 대개는 둘 사이에 한 뼘 정도의 공간을 두고 보조를 맞춰 나란히 걸어간다. 이게, 두 노인이 다투거나 하여 서로 심기가 좋지 않으면 대뜸 알 수 있는 것이 두 사람이 걸어가는 그 사이의 공간이 평소보다 넓다. 때로는 여자 노인 쪽이 1m쯤 앞서 걸어가는 일도 있는데 필시 화가 난 것일 게다. 그러면 두 노인이 걷는 속도도 전체적으로 평소보다 조금 빠르다. 그래도 늘 둘이 같이 같은 방향으로 걸어간다. 

10년 가까운 세월을 봐 왔는데 근래엔 두 노인이 같이 걸어가는 것을 볼 수가 없다. 여자 노인이 안 보이는 일이 좀 잦아졌구나 싶더니 지난해 가을 무렵부터는 부쩍 등이 굽은 남자 노인이 혼자서 같은 길을 간다. 늘 둘이 같이 가다가 혼자 걸어가는 길. 보는 내가 다 쓸쓸하다. 

생각해 보면 부부(영국이라면 같이 살되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동거인이나 동성 커플도 부부에 준하는 관계이지만 한국의 경우 아무래도 이성 부부의 형태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것 같으니 부부라고 그냥 쓰기로 하고)란 꽤나 신기한 관계다. 둘은 원래는 아무런 사이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가족 중 피를 나누지 않은 사이는 부부뿐이다. 생판 남이랑 만나 평생을 보내기로 결심한 것이다, 용감하게도. 그러니 그 용기가 다하거나 참을성이 사라지면 헤어질 수도 있는 사이고. 헤어지면 도로 남이 되는 사이고. 그런 두 사람이 만나서 같이 살고 같이 늙어 가는 거다. 꽤나 감사하고 조심해야 할 관계라는 느낌이 들지 않나. 

말로는 제일 중요한 것이 부부지간이고 늙어 서로의 곁에 남는 것도 배우자뿐이라고들 하지만 부부 사이는 둘이 만났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생겨난 것이되 무시하거나 좋다고만은 할 수 없는 다른 관계들에 의해 참 많이도 휘둘린다. 내가 선택한 건 오로지 저 사람 하나였던 건데 그의 가족이 와장창 딸려 왔더라, 아니면 상대방의 가족 안으로 후루룩 끌려갔더라 이런 상황. 저 사람과 살기로 하면서 원한 건 아내(또는 남편)라는 역할이었을 뿐인데 정신 차리고 봤더니 덕분에 해내야만 할 역할이 며느리·동서·올케, 심지어 조카며느리 등등(또는 그에 해당하는 남자 쪽 역할) 너무 많고 버거워 아내(또는 남편) 노릇을 확 때려치우고 싶은 마음 상태. 설 동안 그런 마음이었던 사람이 적지 않으리라.  

연휴라지만 쉬지 못하고 막히는 길을 오래 오가고, 불편한 자리에서 불편한 이야기를 듣고, 단 한 번도 본 일이 없거나 돌아가신 지 오래인 조상님들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손에 익지 않은 가사 노동을 하는 것들. 이 모든 게 둘이 좋아서 같이 재밌게 한세상 잘 보내자고 결심했기 때문에 해야 할 일이 돼 버린 것 아니던가. 그런데 그 때문에 상처를 받고 그로 인해 얻은 스트레스나 마음의 상처를 서로에게 배설해 버린다. 그러고는 둘 사이가 마구 나빠진다. 이거 뭔가 앞뒤가 바뀐 거 아닌가. 진정 중요한 것은 둘이 잘 살아가는 것이라면 말이다. 

즐겁고 신나야 할 명절이로되 몸과 마음이 아주 편하지만은 않았을 것이니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싶을 수도 있겠다. 결혼을 두 집안의 결합으로 봐 왔던 한국 사회에서 그 복잡한 관계의 그물에서 단숨에 벗어나기란 사실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부부의 본질은 엄연히 두 개인의 만남이다. 따지고 보면 집안이라는 것도 여러 부부 관계의 확장이고. 그러니 서로의 집안 때문에 부부 관계가 상하기보다는 집안이 부부 관계를 응원하도록 변해 가는 게 사리에 맞을 것이다. 결국 일상을 살아가는 것은 동네 가게를 같이 오가는 부부 아니겠는가. 때로는 손이라도 잡고 가면 더 좋을 것이다.

김세정 런던 GRM Law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