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저금리 인간’이라며 “금리 낮다” 비판, 트럼프 진심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You’re fired!”(당신은 해고야)

트럼프 “금리 인상 고의 지연” 불만
‘옐런 임기 끝나면 교체’ 거듭 밝혀
평소 저금리 선호 모순 입장도
통화긴축 가속 vs 속도조절 분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를 인기 TV 진행자로 만든 이 유행어가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게로 향하게 될까. 예상을 깬 트럼프의 당선으로 시장의 관심이 미국의 통화정책에 쏠리고 있다.

재닛 옐런

재닛 옐런

트럼프는 그동안 대선 후보로서는 이례적으로 옐런 의장에 대한 불만과 비판을 거침없이 쏟아냈다. Fed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임기 중 경기가 침체되는 것을 막고 힐러리 클린턴의 당선을 돕기 위해 금리인상을 일부러 늦추고 있다는 주장을 거듭 펼쳤다. 지난 5월엔 “옐런의 임기가 끝나면 교체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일부 외신은 트럼프가 당선되면 옐런 의장이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에 사임할 거란 추측성 보도까지 내놨다.

옐런 의장의 임기는 2018년 2월 3일까지다. 트럼프가 그를 임기 중간에 쫓아낼 방법은 사실 없다. 과거에도 Fed 의장은 정권이 바뀌어도 임기가 보장됐다. 하지만 유세기간 중 공언한 대로 재임을 시키진 않을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의 통화정책 고문인 주디 셸턴은 9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자기 노선에 부합하는 사람이 Fed를 책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변수에도 불구하고 Fed가 당장은 ‘점진적 금리 인상’이라는 통화정책의 기조를 유지할 걸로 본다. Fed가 정치적 중립성을 표방하는데다,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금융시장의 충격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형주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11월 고용지표가 크게 악화하지 않는 한 12월 FOMC에서 연방기금 금리를 0.25~0.5%에서 0.5~0.75% 수준으로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장기적인 전망은 크게 엇갈린다. 한편에선 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가 비둘기파(경제성장 우선) 옐런 의장에 대한 비판을 이어온 만큼 앞으로 Fed 이사진을 통화긴축을 지지하는 매파(물가안정 우선) 인사로 채울 거란 예상이다. 트럼프가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와 소득세·법인세 인하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트럼프는 세금을 깎아줘도 경제성장률이 높아져서 세수는 줄어들지 않고, 인프라 투자는 민간자본을 유치해서 하면 된다고 주장해왔다.

시장에선 공약 이행을 위해서는 대규모 국채 발행이 불가피할 거라고 본다. 재정지출로 인해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진다면 중앙은행이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커진다. 글로벌 운용사 베어링자산운용은 10일 보고서에서 “시장은 보다 매파적 성향의 Fed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저금리 기조가 좀더 유지될 거란 정반대의 전망도 있다. 트럼프는 옐런을 비판하면서도 자신을 ‘저금리 인간(low interest rate person)’으로 지칭하며 저금리를 선호하는 모순된 입장을 밝혀왔기 때문이다. 김유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는 저금리와 달러화 약세를 바탕으로 미국 경기의 회복을 유도하려는 계획”이라며 “기준금리의 인상 속도가 지금보다 빨라지긴 어렵다”고 내다봤다.

이 때문에 트럼프의 통화정책 방향은 아직은 예단하기 어렵다. 행정부에 공화당 의회 권력까지 거머쥔 트럼프가 통화정책에 어느 정도나 개입할지가 변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역시 10일 열린 경제현안점검회의 참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금융시장은 변동성이 크다. 오늘 하루 갖고 이렇다 저렇다 얘기하기 어렵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박성우 NH선물 연구원은 “트럼프가 취임 후 어떠한 정책을 펴느냐에 따라서 내년도 한국 경제가 타격을 입을 수도, 물가가 상승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은행은 그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당분간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의 핵심 공약인 대규모 인프라 투자에 대해서는 정부 내에서 기대감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0일 간담회에서 “(트럼프 당선에) 위험 요인도 있고 기회 요인도 있다”며 “인프라 투자에서 협력하고 기회로 활용할 부분이 무엇인지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의 기대와 달리 트럼프 정부가 주도할 제조·인프라 투자는 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한 내수용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오히려 그 다음이 걱정이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감세로 미국 경기가 반짝 반등할지 몰라도 그 이후는 장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미 한계 수준에 다다른 재정적자가 걸림돌이다. 국제금융센터의 찰스 킴볼 뉴욕사무소장은 “트럼프의 선거 공약을 감안하면 2017~2018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기존 예상치보다 높아질 수 있지만 2019~2020년엔 둔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애란·조현숙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