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중앙시평

너무도 다른, 박 대통령과 오바마의 임기 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9면

기사 이미지

장훈
중앙대 교수·정치학

‘결국 품성이 당신의 운명이다(Character is your destiny)’. 헤라클레이토스의 오래된 격언이 요즘 우리 정치를 알 수 없는 곳으로 휩쓸어 가고 있는 요즘, 필자는 근래 가장 뛰어난 품성을 바탕으로 성공한 대통령 반열에 오른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에피소드 하나를 떠올리게 된다. 2008년 가을 미국 대선이 뜨겁게 달아오르던 무렵, 촌음을 아껴 써야 할 민주당 오바마 후보는 오후 3시쯤이면 커다란 운동가방을 둘러멘 채 수행보좌관 한 명만 대동하고 체육관 안으로 사라지고, 경호원들이 건물 전체를 차단하는 일이 거의 매일 벌어지곤 했다. 언제나 소문에 목마른 워싱턴 정가에서는 오후의 그 한 시간이 오바마 후보가 비선 실세를 만나 선거 전략을 의논하는 시간이라는 풍문이 널리 퍼지게 됐다.

나중에 명확히 확인된 바로는 당시 오바마 후보는 대선 레이스의 중압감을 견디고자 매일 한 시간씩 수행보좌관과 단둘이 농구를 하면서 스트레스를 달랬던 것이다. 살인적 스케줄과 중압감 속에서도 한 시간씩 운동을 하는 여유, 가장 정상적이고 실질적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오바마의 품성은 이후 8년간 굵직굵직한 역사적 업적과 더불어 임기 말에도 높은 인기를 누리는 대통령으로 남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 물론 오바마에게도 비선에 가까운 조력자들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대통령 출마 여부부터 모든 것을 함께 의논하는 가족과도 같은 밸러리 재럿이라는 (여자 사람) 친구가 있었다. 오바마는 대통령 취임 후 그녀를 아예 백악관 특별고문으로 임명하고 공식적 의논 상대로 공개하고 격상시켰다.

 요즘 우리는 박근혜 정부의 비선 실세 논란으로 엄청난 충격에 빠져 있고, 우리 민주주의의 제도화 수준과 운영 능력 자체에 대한 깊은 회의에 젖어 있다. 필자가 오바마 대통령의 사례를 새삼 꺼내는 것은 미국 민주주의의 세련됨과 우리 정치의 참담한 현실을 도식적으로 비교하려는 것은 아니다. 무려 200여 년간 대통령제의 정교한 절차와 제도를 숙성시켜 온 미국에서조차, 선출된 제왕으로서의 대통령의 성패는 결국 어떠한 제도적 장치보다도 품성이 좌우한다는 것을 오바마 임기 8년이 입증하고 있다. 흑백 혼혈이라는 소수자로 태어나 아버지로부터 버림받고 편모·조부모 밑에서 성장하며 갖은 심리적 콤플렉스를 가질 법한 오바마 대통령은 그 시련을 넘어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도 정신적으로 강인하고, 건전하고, 균형감 있는 품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탁월한 품성이 임기 말까지 오바마 대통령을 성공적으로 이끈 비결은 두 가지였다. (1)사물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데 있어서의 뛰어난 균형감과 더불어 자신의 역할, 역사적 위치를 상대화하는 능력 (2)개인적 친분 관계라는 편안함의 유혹을 떨치고 후보 시절부터 모든 의사 결정을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에 따랐다는 점.

기사 이미지

이제부터 우리는 가파르고 험악한 하산 길을 내려오게 될 박근혜 정부의 위기 수습 과정을 지켜보며 우울·분노·좌절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좌절과 분노가 우리 공동체를 더 피폐하게 만들기보다는 우리 정치를 바꾸어 나가는 반전의 계기로 삼아야 하는 것이 이성적 시민의 길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성공 사례를 통해 우리의 실패를 비춰 볼 뿐만 아니라 동시에 미래를 설계하는 참고로 삼아야만 한다.

당장은 곤경에 빠진 박근혜 정부에 대통령의 탈당, 비상내각의 구성 등 요구가 쏟아지겠지만 동시에 우리는 오바마 대통령의 성공이라는 관점에서 다음번 리더들을 심도 있게 검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먼저 대통령 품성의 문제. 예를 들자면 우리는 이렇게 물어야만 한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수십 년 관료 생활로 단련된 조심성, 신중한 결정의 습관을 넘어 결정적 국면에서 빠르고 담대한 결정을 내리는 품성을 발휘할 수 있는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거대한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자 구상과 비전으로 한국호를 이끌려는 의지와 독립심을 충분히 갖고 있는가?

또 다른 이슈는 우리의 정치문화를 고려할 때 예비 후보들 대선캠프의 정책 결정 과정의 특성이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크게 변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우리는 이렇게 물어야 한다. 이미 수백 명의 각 분야 전문가를 끌어모은 문재인 대선캠프의 정책 결정 과정은 충분히 수평적이고 개방적이어서 우리 사회의 흐름을 충분히 따라잡고 있는가?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의사 결정 과정에서 참모들로부터 듣기를 즐기는 편인가? 혹은 본인이 회의 시간 대부분 혼자 발언하고 있지는 않은가? 예비 대선후보들은 표류하게 된 박근혜 정부에 대한 강렬한 비판 못지않게 위의 질문들에 분명하고 떳떳하게 답할 수 있어야 한다. 그 길만이 시민들의 깊은 좌절, 허탈감을 달래고 다시 희망을 주는 것이다.

장훈 중앙대 교수·정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