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안동 하회탈, 52년 만에 고향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국보 안동 하회탈이 52년 만에 고향을 찾게 됐다.

안동민속박물관서 12월까지 특별전
별신굿탈놀이 복원과정도 선보여

안동민속박물관(관장 송승규)은 27일 박물관에서 기획전 ‘국보, 하회탈’을 개막했다. 이번 전시에는 국보인 ‘하회탈 및 병산탈’ 전체 13점이 한 자리에 선보인다. 1964년 하회탈이 국보 제121호로 지정된 이후 처음이다. 하회탈은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일부만 고향을 나들이했다.

기사 이미지

안동을 찾아온 국보 하회탈. 왼쪽부터 선비·부네·중·초랭이·양반·할미·백정·각시·이매탈. [사진 안동시]

‘하회탈 및 병산탈’은 주지 2점과 각시·중·양반·선비·초랭이·이매·부네·백정·할미 등 하회탈 10종 11점과 병산탈 2점 등 총 11종 13점이다. 이 중 주지는 상상의 동물로 암수 한 쌍이며, 얼굴에 쓰는 가면이 아닌 광대의 손에 끼워진다. 안동 하회탈은 하회마을에서 별신굿탈놀이를 할 때 쓰던 탈로 허도령이 신의 계시를 받아 만들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하회탈은 1928년 무진년 별신굿 때 마지막으로 연희된 뒤 마을의 신성한 공간인 동사(洞舍)에 보관됐다. 그러다가 1964년 하회탈은 안동을 떠나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위탁 보관돼 왔다. 하회탈은 그해 국보 제121호로 지정됐다. 하회탈은 국보로 지정된 11점 이외에도 총각탈·떡다리탈·별채탈 등이 더 있다는 증언이 있었으나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다. 별채는 세금징수원을 가리킨다.

안동 하회탈은 58년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하회 별신굿탈놀이 중 양반선비마당이 공연돼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탈놀이 가면은 일반적으로 바가지나 종이 등으로 만들어 탈놀이를 하고 난 뒤 불로 사른다. 하지만 하회탈은 오리나무로 조각하고 그 위에 한지를 발라 옻칠해 탈놀이가 끝난 뒤에도 마을에 보관돼 왔다.

박장영 시립민속박물관 민속향토사연구담당은 “이 때문에 고려 중엽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하회탈이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는 것”이라며 “국보 하회탈 진품의 조형미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안동시립민속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위해 지난 1월부터 국립중앙박물관과 협의를 진행해 왔다. 이번 전시에는 13점의 국보 이외에 하회별신굿탈놀이의 복원과정, 제작도구와 제작방법, 현대 제작 하회탈 등이 곁들여진다. 전시는 12월 11일까지. 054-840-3761.

송의호 기자 yee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