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견제받지 않는 검찰권, 권한 분산이 답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검사 비리 의혹이 잇따르면서 검찰 개혁이 이슈로 떠올랐다. 특히 검찰권 견제가 개혁의 핵심이란 지적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지가 22~26일 기획으로 보도한 ‘2016년 대한민국 검사 대해부’ 시리즈는 견제받지 않는 검찰권의 문제점을 다양한 측면에서 보여주었다.

 본지 취재 결과 수사권·수사지휘권·기소권을 한 손에 쥔 검찰의 비대한 권한이 한국 사회는 물론 검사 자신들에게도 크고 작은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42.3%가 검찰을 가장 권한이 강한 사정기관으로 꼽았다. 이런 가운데 검사들은 월평균 261건의 사건을 처리하는 등 고된 업무에 시달리고 있고, 일부 검사의 뇌물·향응·스폰서 의혹은 끊임없이 터져나오고 있다. 막강한 검찰권이 대다수 검사를 짓누르고 있는 데 반해 소수의 잘나가는 검사에겐 권한 남용의 빌미가 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86.5%의 시민이 검찰권 견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문민정부 출범 이후 검찰은 사실상 견제받지 않는 권력으로 자리매김해왔다. 문민정부 이전까지 검찰권을 견제했던 안기부(국정원 전신)·기무사령부 등 정보기관이나 군(軍)의 힘이 약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역대 정부마다 검찰 개혁이 추진됐지만 별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검찰이 바로 서고, 검사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으려면 검찰이 가진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 당장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게 어렵다면 일부 범죄에 대한 독자적 수사권을 경찰에 넘겨줘야 한다. 법무부 주요직의 비(非)검사 출신 임용을 확대하는 등 법무부의 검찰 견제 기능을 살릴 필요가 있다. 검찰에 대한 청와대의 입김을 최소화해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는 제도적 개선과 함께 비리 예방을 위한 공직윤리·인성 교육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검찰은 사법정의를 위해 결코 없어선 안 될 조직이다. 검찰과 검사들이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현 상황은 누구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가시적이고 실효성 있는 검찰 개혁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