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다웨이 “북 핵보유 묵인 안할 것” 중 언론은 “사드가 북 도발 부추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정부가 대북 공조에 있어 중국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난제를 받아들었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결정으로 인한 갈등에 이어 한·중 관계가 또 시험대에 올랐다.

사드와 북핵 사이, 중국 딜레마
안보리 긴급회의선 사드 언급 안 해
박 대통령·시진핑 통화 시기도 주목

한·중 정상 간 소통은 아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박근혜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시 주석과의 통화 계획은 아직 없다”고 답했다. 4차 핵실험 이틀 만인 1월 8일 “시 주석과의 통화 등 중국과 협조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정연국 대변인)고 곧바로 밝힌 것과는 온도 차가 있다. 당시엔 핵실험 30일 만인 2월 5일 한·중 정상 간 통화가 이뤄졌다. 이와 관련, 정부 소식통은 “중국도 내부적으로 입장 정리가 필요한 측면이 있고, 정상들이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협의를 통해 의견 차를 좁힐 부분도 있다”며 “양국 간에 북핵 대응을 위한 소통은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중 간 외교채널은 적극 가동되고 있다. 한·중의 6자회담 수석대표는 북한의 핵 도발 하루 만인 10일 통화를 하고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심각하고 엄중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중대한 안보리 제재 결의 등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중국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의 핵 보유를 묵인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 관계에서 사드는 복병이다. 중국 언론에선 사드가 북한의 5차 핵실험을 촉발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현재까진 신중한 입장이다. 9일(현지시간) 긴급 소집된 안보리 비공개 회의에서 류제이(劉結一)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5차 핵실험에 반대한다”며 “북한이 비핵화 의무를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고 발언했다고 한다. 류 대사는 지난 3월 유엔 대북제재 결의 2270호 채택 이후에는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고 공개 발언한 적도 있다. 그러나 이번엔 사드를 거론하지 않았다. 사드 배치를 결정한 한국에 대한 불만은 크지만 도발을 계속하는 북한을 싸고돌 수도 없는 복잡한 속내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관련기사
[단독] “북, 여러 갈래 지하갱도 건설…언제든 6차 핵실험 가능”
② 김정은이 겁내는 B-52, 그보다 센 B-1B 온다
③ 김정은 광인 빗댄 박 대통령 “북핵 대응 완전히 달라질 것”



중국 외교부 장예쑤이(張業遂) 상무부부장은 10일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한반도 비핵화에 있어선 한·미·중 간 의견이 일치한다고 해도 구체적인 방법론에선 이견이 여전하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중국이 기본적으로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따라가려 하겠지만 일방적 제재 강화에는 제동을 걸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