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진짜보다 센 이름값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최민우 기자 중앙일보 정치부장
기사 이미지

최민우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대작(代作) 시비에 휘말린 조영남씨는 내심 억울할지 모른다. ‘아니 그럼 내가 몽땅 그렸을 것이라 진짜로 믿었어? 왜 이래 선수끼리. 내 스케줄 알잖아, 퀴퀴한 방에 처박혀 온종일 붓질 할 만큼 한가하지 않다고!’ 일부분이든 전체든 제3자가 그리는 것 자체를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은 모양이다. 그게 꺼림칙했다면 사건이 처음 불거졌을 때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시치미 떼지 않았겠나. 대신 그는 “미술계 관행” 운운했고, “앤디 워홀이나 데이미언 허스트 등도 보조 작가를 둔다”며 그럴듯한 논리를 댔다.

검찰은 조씨에게 사기 혐의를 둔다지만 수사는 만만치 않을 듯싶다. 판매액을 돌려주는 등 조씨가 구매자를 회유했다는 정황 때문만은 아니다. “내가 조영남 화투 그림을 샀는데, 이건 아니지”라고 선뜻 나설 이가 있을까. 그랬다간 “작가보다 작품이 좋아 산 거 아니야?”라는 핀잔만 들을 게 뻔하다. 자칫 안목은 형편없고, 유명세에만 의존했음을 자인하는 꼴이니 말이다. 심지어 “7년간 화투 그림 200여 점을 그렸다”고 폭로한 송기창 화백마저 본인이 실컷 그린 것을 “이거 조영남이 그렸어. 갖고 있으면 돈 될 거야”라며 주변에 건넸다는 후문이니, 요지경 세상이 아닐 수 없다.

진실이 무엇이든 수천만원까지 호가한다는 조영남 그림 값이 단지 실력 덕분만은 아니라는 건 삼척동자도 안다. 이번 대작 시비는 한국 사회의 ‘유명인 물신주의(勿信主義)’(한신대 윤평중 교수)의 일그러진 단면이다.

“인지도가 갑(甲)”이라며 현대 사회가 셀레브리티를 추종한다지만 유독 대한민국의 증상은 심각하다. “욕을 실컷 먹어도 알려지는 게 낫다”는 정서다. 왜 그럴까. 서울시립대 서우석 교수는 “한국에서 지명도 이외의 다른 상징 자본은 무너졌다”고 분석한다. 대종상 수상보다 ‘1000만 영화’가 자주 언급되고 칭송받는 게 대표적 예다. ‘상’이라는 권위 혹은 전문성은 인정받지 못한 채 오직 명확한 ‘숫자’에만 목을 매는 게 문화계의 현주소다.

알려지는 것에 집착하는 만큼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선 종종 적의감마저 드러낸다. 내가 알면 선(善)이요, 모르면 악(惡)이다. 이런 풍토에서 낯설지만 어딘가에 숨어 있을 보석을 찾아 나설 리 만무하다. 스타의 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유명 인사에게만 일이 쏠리는 이유다. 그러면 유명인은 몰려오는 요청을 감당하지 못한 채 그저 얼굴마담 행색만 하거나 얼추 컨셉트만 잡고는 실제 일은 다른 이에게 떠넘기곤 했다. 관행이란 미명하에 여태껏 예술계가 지탱해 온, 공공연한 비밀이다. 그렇게 짜고 치는 고스톱인 줄 뻔히 알면서 어느 날 느닷없이 “왜 네가 직접 하지 않니?”라고 정색하고 따지니 “어차피 내 이름만 필요한 거잖아. 이제 와서 왜 딴소리야!”라며 외려 떵떵거리는 것 아닐까. 유명세만을 최고의 가치로 숭배하는 한 제2, 제3의 조영남은 또 등장할 것이다.

최민우 문화스포츠부문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