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형아 출산 100명 중 5.5명…16년 새 1.5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국내에서 태어나는 신생아 100명 가운데 5명 정도가 기형아인 것으로 조사됐다. 16년 새 약 49% 늘어났다. 이 같은 기형아 증가에는 대기오염·환경호르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다. 임종한 인하대병원 교수팀은 2009~2010년 서울·부산 등 광역시급 이상 7개 도시에서 출생한 40만3250명의 건강보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9일 공개했다.

요도·심장 이상 10배 이상 급증
환경호르몬·대기오염 영향인 듯

2009~2010년 기준 선천성 기형아는 신생아 1만 명당 548.3명이었다. 100명의 아기 가운데 약 5.5명이 기형을 갖고 태어난다는 의미다. 성별로는 남성이 306.8명으로 여성(241.5명)보다 많았다. 신생아 대비 기형아 비율은 1999년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1만 명당 368.3명(1993~94년 기준) 수준이었다.

유형별로는 심장 이상 같은 순환기계 질환이 1만 명당 180.8명으로 가장 많았다. 비뇨·생식기계 질환(130.1명), 근골격계 이상(105.7명)이 뒤를 이었다. 16년 새 가장 많이 늘어난 기형 질환은 ‘요도상하열증’이었다. 소변이 나오는 요도의 위치에 이상이 생기는 병이며, 1만 명당 0.7명에서 9.9명으로 14배 이상 급증했다. 좌·우 심방 사이의 벽에 구멍이 뚫리는 심방중격결손(9.7명→117.9명),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않는 잠복고환(2.6명→29.1명)도 10배 이상 뛰었다.

연구팀은 이처럼 일부 질환이 큰 폭으로 오른 점에 주목했다. 외국에서도 기형아 출산 비율이 조금씩 높아지긴 하지만 특정 기형만 급증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심방중격결손 등 심장기형 증가엔 산전 검진 확대와 초음파검사 등 진단 기술의 향상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대기오염이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임 교수는 “좁은 지역에 밀집해서 거주하는 한국 특성상 배기가스 등 교통과 관련된 대기오염이 임신부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잠복고환 등 생식기계 기형의 증가는 환경호르몬이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스페놀A 같은 환경호르몬에 노출된 임신부 체내에선 호르몬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임신부에게 필수 영양소인 ‘엽산’ 부족을 척추 기형의 이유로 추정하기도 했다. 임 교수는 “위험하다고 의심되는 환경 요인들에 대한 정부 차원의 조사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기형아의 발생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예방책도 마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