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정약용과 5월 ‘가정의 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박정호 기자 중앙일보 수석논설위원
기사 이미지

박정호
논설위원

5월 달력에 없던 나흘 연휴가 시작됐다. 정부와 기업은 “돈을 써야 경제가 산다”며 소비진작에 나섰다. 꿀 같은 휴식, 잠시 짬을 내서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에 들를 것을 추천한다. 작지만 귀한, 낡았지만 새로운 책을 볼 수 있다. 다산(茶山) 정약용(1762~1836)이 남긴 ‘하피첩(霞?帖)’이다. 몰론 전시된 책을 넘겨볼 순 없다. 한문으로 돼 있으니 내용을 짐작하기도 어렵다. 걱정 마시라. 원본 옆에 새로 만든 한글 번역본이 있으니 문제가 없다. 조금 손품을 팔면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번역본·영인본 PDF 파일도 구할 수 있다.

하피첩, 제목부터 생소하다. ‘하피’는 ‘붉은 치마’를, ‘첩’은 소책자를 뜻한다. 조선시대 사대부의 은근한 부부애를 엿볼 수 있다. 다산이 이 책자를 만든 때는 1810년 천주교도로 몰려 전남 강진에 유배된 지 10년째 되는 해였다. 당시 경기도 광주에 살던 부인 홍씨가 남편을 그리는 마음에서 시집올 때 갖고 온 비단치마를 보내왔다. “너무 보고 싶어요”의 에두른 표현이다. 아내의 빛바랜 치마를 받은 다산. 역시 고수(高手)다. 치마를 잘라 “잘 지내오. 나도 그립소” 대신 ‘사랑의 열매’인 두 아들에게 보내는 경계(警戒)의 글을 썼다.

전시실에 펼쳐진 문구 하나. ‘경직의방(敬直義方)’. ‘공경한 자세로 마음을 바로잡고, 정의로 일을 바르게 한다’는 뜻이다. 선비의 꼿꼿함이 전해진다. 또 다른 문구에선 ‘화평(和平)’에 밑줄이 쳐 있다. 강조의 의미다. ‘천리(天理)는 순환하니, 한 번 넘어졌다고 일어나지 않을 것은 없다’고 했다. 희망 실종의 요즘에 든든한 위안이 된다. ‘당파적 사심을 철저히 씻어라’ ‘근면과 검소, 이 두 가지는 좋은 전답보다 나아서 한 평생 쓰고 남는다’ ‘재물이란 메기와 같다. 잡으려 할수록 미끄럽게 빠져나간다’도 가슴에 와 닿는다.

하피첩은 다산의 일생만큼 기구했다. 한국전쟁 중 유실, 2004년 폐지상 수레에서 발견, 2006년 ‘진품명품’ 출품, 2010년 보물 지정,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 압류품 포함, 지난해 국립민속박물관 낙찰을 거쳐 이번에 처음 관객과 만나게 됐다. 파란만장 하피첩, 200여 년 만의 귀환이다. 반가울 수밖에 없다. 오늘 어린이날, 8일 어버이날, 15일 스승·가정의 날, 21일 부부의 날 등 때마침 생각거리도 던진다. 우리는 지금 아내와 남편, 그리고 자녀에게 서로 무슨 말을 남기면 좋을까. ‘경직의방’ 넉 자만 기억해도 남다른 연휴가 될 것 같다.

박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