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도시가스, 방심하면 "폭탄"|대형폭발사고 계기로 본 문제점·안전관리요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이미 우리생활에 깊이 파고든 도시가스를 올바로 다루지 못해 또 한번 대형사고를 빚고 전국에 도시가스 비상이 걸렸다. 현재 전국의 도시가스 사용가구는 12개도시에 47만1천, 88년에는 1백만가구가 되고 호텔·빌딩도 대부분 도시가스를 넣을 계획이어서 가스안전 문제는 큰 과제가 되었다.

<현황·계획>
서울에는 이번에 사고를 빚은 서울도시가스와 대한·극동등 3개 도시가스회사가 하루 14만3천입방m의 도시가스를 생산, 25만4천가구에 공급하고 있다. 서울 전체가구수 2백11만의12%에 해당한다.
3개회사중 서울도시가스 (본사강서구염창동281) 는 하루 생산능력이 15만입방m이지만 5만입방m만 생산, 종로·영등포·강서·마포·서대문·은평등 10개구 1백63개동 7만9천9백38가구에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해마다 생산량을 늘려 내년에는 11만6천, 후년에는 14만4천, 88년에는 16만4천가구로 공급가구수를 늘릴 계획이다.
대한도시가스 (강남구대치동27의1) 는 생산능력 하루 30만입방m에 3개회사중 가장 많은 8만입방m를 생산, 강남·강동구의 아파트촌과 과천·성남등 모두 76개동 16만8천가구에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데 내년에 21만5천, 87년에 24만7천, 88년에는 29만5천가구로 공급대상가구를 늘려나갈 예정이다.
3개사 가운데 규모가 가장 작은 극동도시가스 (성동구군자동)는 하루 생산능력은 10만입방m지만 1만3천입방m를 생산, 종로·성동·성북등 7개구 1백36개동 6천가구와 일반건물·빌딩등에 공급, 역시 88년까지 3만7천가구로 늘린다는 계획.
이외에도 서울에는 2개회사가 도시가스공장을 짓고 있다.
한일개발이 도봉구상계동에 짓고 있는것은 용량이 하루 10만입방m생산규모로 오는 10월부터 우선 공릉·상계동등 5천가구에 가스를 공급하고 내년에는 서울북부지역 1만8천, 88년까지는 5만7천가구로 늘려 의정부에도 가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다른하나는 강남도시가스가 구로구고척동66의2에 짓는 것으로 역시 용량 10만입방m에 48억원을 들여 10월에 완공할 계획. 우선 시흥동 5천가구를 시점으로 구로구일대에 공급배관을 늘려 내년에 1만3천, 후년에 3만7천, 88년에는 6만3천가구로 공급대상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현재 도시가스가 들어가고있는 지방도시는 인천·대구·부산·창원·울산·광주·전주·목포·순천·여수·춘천등 11개에 이르고있다.
도시가스 배관은 서울·지방도시를 포함 본관과 공급관만도 모두 1천7백34㎞에 이르고있다.
전국에서 한해동안 사용하는 도시가스량은 작년의 경우 4천6백47만2천입방m.
정부는 앞으로 도시가스 공급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놓고 있다. 한국가스공사계획상으로는 앞으로 인구 10만명이상의 중소도시에까지 가스보급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일정규모이상의 건물이나 일정량이상의 연료소비업체는 도시가스사용을 의무화하는 대신 수요가의 설비투자에 대해서는 조세감면·금융지원 방안을 강구중이다.

<문제점>
정부의 도시가스공급계획은 비싼 석유소비와 공해를 줄이고 취사·난방연료를 현대화한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아직 낯이 선 도시가스는 안전관리·설비 및 시공기술·노후관등에 관한 문제가 서울의 대형사고를 계기로 심각한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서울가스사고의 1차 원인은 가스공장, 2차 원인은 정압실에 있었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가스공장에 대한 감독관청의 고삐가 풀렸다는 점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담당기구로는 연료과 안에 연료개발계 하나밖에 없다. 인력은 계장포함 6명에 전문직은 3명.
서울시가 직접 가스사업을 하던 83년 이전까지 도시가스과를 두었었으나 이를 민영화하면서 계로 축소돼버렸다. 시가 직접 사업을 하지 않는다 해도 2개 민영공장을 세우고 다시 88년까지 2개공장을 추가 건설하면서 기구를 강화해야 할 판에 거꾸로 기구를 축소한 것이다.
게다가 현재 갖고 있는 기능은 확장계획지도와 한달에 한번씩 회사의 자체점검결과를 받는 정도. 그러나 서울시가 받아놓은 안전점검 현황부에는 3월까지도 이번에 사고가 난 서울도시가스의 압송기나 정압실에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돼있어 보고와 감독의 신빙도를 짐작케 한다.
1년에 한번씩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기술지도를 하는 가스안전공사도 마찬가지. 분명히 작년말 압송기 도입때와 지난 4월말에 각각 점검을 했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정된 설비가 불과 1주일 사이에 사고를 냈다.
안전공사에는 현재 도시가스 뿐 아니라 일체의 가스를 담당하는 기술요원이 44명 있으나 상설비상출동반 조차 구성돼 있지 않다.
상황실은 낮에는 평상업무인원이, 밤에는 당직자 또는 대기인원이 지키고 있다.

<안전관리>
서울시조사에 따르면 현재 3개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안전장비는 순찰차9대, 무전기24대, 가스검지기 43대, 긴급 복구차3대, 송기 및 산소마스크 23대가 전부인 것으로 돼 있다. 이중 복구차는 각 1대씩밖에 없고 가스검지기도 사고가 많은 서울도시가스의 경우 26대이나 대한은 5대, 극동은 12대밖에 안된다.
안전관리는 물론 이루어진 시설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시공당시의 완벽한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말이다.
일본 도오꾜가스의 경우 컴퓨터가 장치된 도관관리센터가 있어 시간 배관의 가스공급상태를 체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시공문제>
주요기기는 선진국에서 들여와 생산공장설비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이나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설비의 시공기술, 특히 배관부분이나 용기의 시공기술은 한결같이 낙제점수를 면하기 어렵다. 이것은 가스사고가 공장에서 최종소비자인 가정에 이르기까지 어디에서 나든 엄청난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안다면 무모하기 짝이 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실제 지금까지 발생한 가스사고의 대부분이 이 분야에서 발생한 것이기도 하다.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당국이 조사한 안전사고분석에 따르면 총 발생 1천1백89건 가운데 49%인 5백86건이 시공 잘못때문에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세분화하면 나사를 너무 돌려 어그러진것이 27%, 배관을 낮게 한것이 21%, 밸브를 잘못 설치한 것이 1%, 이밖에 다른 공사로 배관이 손상을 입은 것이 12%, 자재불량이 6%였다.
또 서울시가 작년 5월에 가스를 사용하는 (LPG포함) 54만5천9백가구를 대상으로 조사, 안전상태가 불량하다고 판정된 2만4천가구의 내용을 보면 레인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 30·4%, 시설물 설치가 잘못된 것이 30·1%나 된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가스 사고가 나면 배관이 낡아서 가스가 샜다고 판단하고 사고부분만 땜질식으로 강관으로 교체하고 있다.
80년초에 매설한 대한도시가스관에서 작년에 1백61건의 가스누출이 적발됐는데 이의 대부분이 시공불량과 지반이 단단하지 않은곳에 설치해 일어났다. 배관위의 도로관리도 안전사고를 막는데 중요한 일로 지적되고있다.
그러나 그동안 걸핏하면 지하철·상수도·하수도·도로포장·전화선 매설공사를 하고 대형차가 지나다니면 배관이 과연 괜찮은것인지 안전점검이 요망된다. 서울시내에 만도 현재 2천5백㎞ (가정관 1천4백17㎞포함)나 배관이 깔려 있다.

<사용자안전수칙>
가스를 사용하기전에 화장실 냄새가 나면 가스가 새고있다는 증거이므로 바로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켜야한다. 또 가스레인지 가까이에 행주·고무장갑·석유등 불에 타기 쉬운 물질을 두어서는 안되며 빨래를 너는 것도 위험천만이다.
사용할때는 코크를 돌려 점화시킬때 반드시 불이 붙었는지를 확인해야 하며 용기밸브·중간밸브·코크를 열때는 부드럽게 살짝 열어야 된다. 불꽃이 빨간색이면 불완전연소이므로 공기구멍을 조절해 파란불꽃이 되도록 해야한다. 또 바람이나 음식물이 넘쳐흘러 꺼지는 경우 가스가 계속 새어나오므로 주의해야 한다.
사용후에는 코크를 잠그고 중간밸브도 꼭 잠가야한다. 외출때는 용기밸브도 잠그도록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비닐호스 연결부분은 비눗물을 칠해 보아 거품이 생기면 가스가 새는 것이다. 특히 가스가 샜을때 환풍기·냉장고등 전기기구를 끄거나 켜거나 하지 말고 먼저 가스를 밖으로 전부 내보내야한다.

<신종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