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규연 스포트라이트 예고] 백두산 폭발설과 김정은의 핵도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백두산은 활화산이기 때문에 언젠가 다시 폭발한다. 그런데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의 폭발을 자극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취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백두산 현지를 취재했다.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37회

◇ 핵실험 도발…지진 피해 현장을 가다 = 취재팀은 백두산 해발 800미터에 위치한 내두산촌을 방문했다. 북한 핵실험이 실시된 지난 1월 6일 지진이 발생했던 그 곳은 북한의 핵실험장이 있는 함경북도 풍계리와 130km 떨어져 있다.

내두산촌 주민들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몸이 좌우로 구를 정도로 심한 진동 때문에 벌떡 일어났다” “지진이 난 줄 알았다”라고 기억했다.

당일 마을의 지진 규모는 5.4였다. 그런데 지난 6일 116명이 사망했던 대만의 지진 규모가 6.4였다. 이를 감안하면 북한 핵실험 규모가 커지면 백두산 마을은 강도 높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그런데 북한이 그동안 4차례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수위를 지속적으로 높였기 때문에 향후 핵실험이 진행될수록 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크다.

기사 이미지

백두산 마을 주민들이 핵실험 당일 발생한 지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핵실험으로 화산이 폭발할까? = 북한 4차 핵실험을 앞두고 핵실험 인공지진이 백두산 폭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기사가 쏟아졌다. 인공지진 진동이 백두산 마그마 일대를 지나가면서 압력을 높인다는 주장이다. 연세대 홍태경 교수는 “백두산 마그마와 핵실험장의 거리가 더 가까이 있다면 강력한 지진파가 감소하지 않은 채로 마그마에 진입하게 돼 순간적으로 마그마에 압력을 주게 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대지진과 백두산 폭발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 중 일본 다니구치 교수는 “지구 역사를 100년 단위로 나누어 볼 때 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고 1~14년 뒤 백두산이 폭발했기 때문에 백두산이 2032년까지 폭발할 가능성은 99%”라고 강조했다. 만일 현재 다니구치 교수의 주장처럼 백두산 마그마의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면 북한의 핵실험은 더 위험해진다.

기사 이미지

백두산 천지.

◇ 백두산 폭발에 대한 김정은 생각은? = 2007년 남북정상회담과 백두산 폭발설이 부각된 2011년 북한은 “백두산 폭발이 임박한 것 같다”며 “지진계를 설치해 달라”고 요청했다. 홍 교수는 “남한은 ‘모든 자료를 남북이 공유하면 지진계를 설치해주겠다’고 북한에 제안한 걸로 안다”고 밝혔다.

그런데 북한은 거절했다. 지진계는 자연 지진파와 핵실험 지진파를 모두 잡기 때문에 남한에 군 정보가 넘어가는 걸 북한이 우려했기 때문이다. 다만 이를 통해 북한이 백두산 폭발에 대해 우려하는 게 확인됐다. 그런데도 북한의 핵실험은 멈춰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때문에 백두산 폭발을 둘러싼 김정은 정권의 위험한 도박은 현재 진행형이다.

JTBC 탐사기획국 박지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