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2년 후 오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전수진 기자 중앙일보 팀장
기사 이미지

전수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2018년 2월 19일 당신이 어디에서 뭘 하고 있을지 상상해본다. 우선, 장소는 강원도라고 가정하자. 사방이 눈이고, 신나는 함성이 가득하다. 세계 최고 기량의 스노보드 선수들이 화려한 프리스타일 점프를 뽐낸다. 전날엔 시속 140㎞로 가파른 활강로를 질주하는 알파인 스키 선수들을 보며 심장이 쫄깃해졌다. 예상치 못한 ‘대박 사건’도 있다. 피겨 스케이팅의 전설 김연아 선수를 우연히 마주쳐 사진을 찍은 거다. 아, 물론 고민은 있다. 저녁식사로 강원도의 명물 콧등치기 국수를 먹을지, 해풍을 맞아 구수한 황태 정식을 먹을지다. 인생, 이 정도면 아름답지 않은가. 여긴 2018 평창 겨울올림픽 현장이다.

 이런 상상은 그러나 지난달까지만 해도 현실적으로 사치에 가까웠다. 2018년 2월 9일 개막해 25일까지 이어지는 평창 겨울올림픽이 꼭 2년 후로 다가왔건만 경기를 제대로 치를 수 있을지 여부 자체가 불투명했기 때문이다. 2011년 유치 당시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조사한 평창 유치 지지율이 93%에 달했던 걸 상기하면 씁쓸하다. 경쟁 도시였던 독일 뮌헨은 61%, 프랑스 안시는 51%에 불과한 지지율을 보였다. 유치전에서 만난 독일·프랑스 관계자들이 “결과 조작 아니냐”는 질투 어린 농담을 했을 정도다.

 문제는 유치 후에 있었다. 재정을 둘러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갈등부터 유치 후 확 식어버린 국민 관심, 그로 인한 스폰서 유치 실적 부진 등 평창 올림픽이 보인 문제는 한국 사회 전반의 문제 종합세트처럼 보였다. 그리고 많은 문제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현재 공정률은 65%, 스폰서십 유치 실적은 목표 대비 59%에 불과하다.

 그래도 다행히 고비는 넘겼다. 지난 6~7일 정선에서 열린 첫 테스트 이벤트인 2016 국제스키연맹(FIS) 스키 월드컵 대회를 무사히 치르면서다. 평창의 첫 모의고사 격이던 이 대회를 두고 IOC의 구닐라 린드버그 평창 담당 조정위원장은 “100점 만점에 100점”이라고 칭찬했다. 하지만 무작정 좋아할 일은 아니다. 익명을 요청한 IOC 측 관계자에 의하면 “기대가 워낙 낮았던 것도 있다”고 했다. 첫 테스트 이벤트 역시 개최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곤돌라 공사에서 국제규격이 맞지 않는 부분이 발견돼 조양호 평창 조직위원장이 전용기까지 타고 가면서 국제기구 관계자들을 설득했다는 후문도 들린다. 상상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선, 93%라는 지지율에 부끄럽지 않기 위해선 신발끈을 더 조여야 할 때다.

전수진 정치국제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