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박재현의 시시각각

우병우 민정수석 힘이 작용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박재현
박재현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기사 이미지

박재현 논설위원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과 최윤수 국정원 2차장의 인연은 1984년 서울법대에 입학하면서 비롯된다.

국정원 2차장 임명 놓고 뒷말 계속
30년간 우정이 인사에 영향 준 듯

 경북 봉화 출신으로 영주고를 나온 우 수석은 대학 때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같은 학번의 한 법조인은 “우병우는 1학년 때부터 상당히 논리적이고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최 차장은 부산 내성고를 나왔지만 본적은 경북 김천이다. 말수가 적었고 평범한 학생 중 한 명이었다. 학창 시절 두 사람의 관계는 동기에 불과했다.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도 우 수석은 꿋꿋이 도서관 자리를 지키며 대학교 3학년 때인 1987년 약관의 나이에 사법시험에 합격한다. 사법연수원을 거쳐 90년 서울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초임 검사 시절 우 수석은 시보(試補)로 온 대학 동기들에게 “김 시보” “박 시보” 등으로 부르며 군기를 잡았다고 한다.

 최 차장은 2년 늦게 사시에 합격한 뒤 1년간 변호사로 있다가 94년 수원지검 검사로 임용됐다. 이때 우 수석도 경주와 밀양을 거쳐 수원지검으로 전보된다. 두 사람은 같은 건물에 근무하면서 속마음을 튼 것으로 전해진다. 경북 출신의 A검사가 합류하면서 세 명은 의기투합했다. 당시 검찰 문화에서 흔했던 ‘스폰서’도 없이 골프 라운딩도 간간이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 수석의 장인은 기흥CC의 오너를 지냈고, 그가 상속받은 재산은 400억원대다. 가끔 A검사의 인척이 라운딩을 주선하기도 했다.

 2009년 5월 우 수석이 대검 중수부 1과장으로 있으면서 담당했던 ‘박연차 게이트’로 인해 두 사람은 검사 생활에서 최대 위기를 맞는다.

 먼저 최 차장에게 불똥이 튀었다. 우 수석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엉이 바위에서 몸을 던지면서 역풍을 맞게 된다. 그의 수사 방식을 놓고 정치적 논란이 인 것이다. 그는 임채진 총장 후임으로 온 김준규 총장의 배려로 대검 범죄정보기획관과 수사기획관을 거치며 기사회생하는 듯했다. 하지만 검사장 승진 인사에서 연거푸 물을 먹게 된다. 노 전 대통령 자살이란 그림자까지는 지울 수 없었던 것이다. 부천지청장을 거쳐 한직인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밀려난다.

 최 차장은 대검 조직범죄과장과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장을 거치고도 이례적으로 법무연수원으로 튕겨간다. “최윤수가 검찰총장에게 찍혔기 때문”이라는 수군거림이 나왔다.

 2012년 7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두 사람은 법무연수원에서 재기를 노리며 와신상담의 시기를 보낸다. 하지만 우 수석은 “조직이 원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있을 필요가 없다”며 변호사 개업을 하게 되고, 최 차장은 전주지검 차장검사로 임명된다.

 지난해 1월 우병우가 민정비서관에서 민정수석으로 승진하고 한 달 뒤 최 차장은 서울중앙지검 3차장 자리를 꿰찬다. 그러고는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자살 원인이 된 자원개발 비리, 포스코 수사를 진두지휘한다. 청와대 하명에 따른 부실수사 논란 속에서도 최 차장은 그해 말 검사장급으로 승진하고 두 달 만에 다시 국정원 2차장 자리로 갈아탔다.

 공안 수사 경력이 전무한 그가 국정원의 국내파트 책임자로 임명되면서 우 수석의 ‘인사전횡’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야당 등에선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까지 나왔다. 검찰 소식에 밝은 한 법조인은 “아마도 두 사람이 이 정부의 순장조가 되기로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우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에게서 신뢰를 받는 것은 사심 없는 업무처리 태도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이번 인사는 어딘지 모르게 찜찜할 뿐이다.

박재현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