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호정의 왜 음악인가

제목만으로는 모르는 것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김호정 기자 중앙일보 기자
기사 이미지

김호정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지난달 야구 국가대항전인 프리미어12를 중계한 방송사가 작은 실수를 했다. 한국 팀의 우승 장면에 내보낸 배경 음악이 아바의 ‘더 위너 테이크스 잇 올(The winner takes it all)’이었다. 아는 사람이 더 많겠지만 이긴 팀을 위한 노래가 아니다. 가사에도 있듯 “승자는 모든 것을 가지고 패자는 굴러 떨어지는” 냉혹한 세상에 대한 일종의 불평이다. 우승국의 방송에서 고를만한 배경음악은 아니었다. 알고 보니 이 방송사는 2010년에도 김연아의 동계올림픽 우승 장면에서 같은 음악을 틀었다.

기사 이미지

  이 해프닝이 마냥 남의 일이라 할 수 있을까? 비슷한 실수를 유발하는 음악은 곳곳에 있다. 푸치니가 작곡한 노래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는 귀에 익은 음악이다. 하지만 제목만 보고는 속을 모른다. 가사를 따라가보면 내용이 영 희한하게 흘러간다. “다리에서 떨어져 죽겠다”든지 “어쨌든 반지는 사러가겠다”는 식이다. 푸치니 오페라 ‘잔니 스키키’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여성은 애인과 결혼하게 해달라고 아버지에게 조르는 중이다. 아버지를 상대로 한 일종의 협박이다. 제목만 보고 아버지 생신잔치에 틀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

(누구나 들어본 적 있지만 제대로 된 내용은 잘 모르는 노래. ‘사랑하는 아버지’로 시작한다고 해서 아버지에게 바치면 곤란한 내용의 노래다. 여하튼 듣기는 좋다.)

 더 유명한 음악 ‘라데츠키 행진곡’도 맥락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씩씩한 이 음악이 나오면 청중은 박자에 맞춰 박수를 치는 게 관례다. 하지만 한국 청중이 박수를 치는 것도 자연스러울까? 라데츠키 장군은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영웅이다.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 1세는 이탈리아의 독립전쟁에서 대승을 거둔 장군을 기리며 이 행진곡을 썼다. 우리가 ‘라데츠키 박수’를 칠 때 주변에 이탈리아 사람이라도 있다면?

(오스트리아 빈의 신년음악회에서 반드시 나오는 이 음악. ‘라데츠키 박수’라는 용어까지 등장! 지휘자는 박수까지 지휘하는 게 관례다. 하지만 이 음악도 박수도 모두 오스트리아가 중심이라는 사실! 음악을 제대로 알려면 역사도 알아야 한다.)

  우리는 너무 맥락없이 음악을 즐기고 있는지 모른다. 결혼할 때 거의 모든 신부가 듣는 ‘혼례의 합창’도 사실은 불길하다. 바그너 오페라 ‘로엔그린’ 중 결혼식 장면에 나오는 합창 음악이 원곡이다. 그러나 이 결혼은 비극으로 끝난다. 심지어 신부가 죽는다. 왜 전세계 신랑신부들은 하필 이렇게 불행한 결혼의 음악을 고르게 됐을까.

 (아마 99%의 신부가 결혼식에서 이 노래에 맞춰 입장했을 듯. 하지만 왜 하필이면 이 음악일까? 바그너의 오페라 ‘로엔그린’에서 결혼은 비극으로 끝나는데도 말이다. 제목과 멜로디만 보고 음악을 듣는 습관은 과연 괜찮은걸까?)

  넓고 얕은 지식이 유행이다. 요즘 검색 한 번이면 못 찾을 음악도 지식도 없다. 하지만 편리함이 때로는 덫이다. 시간과 공을 들여 샅샅이 들여다보고 한겹만 파보면 처음 봤을 때와 영 딴판인 내용이 많다. 시간에 쫓겨가며 방대한 지식을 소비하는 현대인들은 얼마나 많은 ‘실수의 지뢰’를 발 앞에 두고 있는 걸까. 진득하게 앉아 맥락을 알아보지 않으면 어떤 이상한 배경음악을 고르게 될지 모르는 일이다.

김호정 문화스포츠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