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6조 중 2조가 고리대출, 서러운 20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사 이미지

취업준비생 김모(28)씨는 올해 초 저축은행에서 500만원을 대출받았다. 구직기간이 길어지면서 부모에게 계속 손을 벌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대출 절차는 간단했다. 저축은행은 간단한 서류로 신용등급을 확인한 뒤 대출을 해 줬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대출 다음달부터 12만원(연리 28%)의 이자를 내라는 연락이 왔다. 과외 아르바이트로 버는 60만원 중 5분의 1이 매달 이자로 나갔다. 취직만 하면 갚아 버리겠다는 꿈과 달리 취업 면접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김씨는 “이대로 가다간 빚더미에 오르겠다는 불안감에 신용회복위원회의 문을 두드렸다”고 했다.

취업난 돈 빌릴 곳 없어 저축은행?대부업체로 내몰려
금리 34.9% 병장론도 등장 … 매년 6000명 워크아웃
“학자금·생활비 등 20대 배려한 대출상품 늘려야”

 학자금 부담과 주거비 상승, 취업난 속에서 빚의 늪에 빠져드는 청년이 늘고 있다. 29일 금융감독원과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 의원실에 따르면 20대가 금융권에서 빌린 돈은 6조2000억원에 달한다(2015년 6월 기준). ‘저축보다 대출을 먼저 배우는 세대’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 중 20대가 저축은행(평균 금리 27.6%)에서 대출받은 것만 1조원으로 전체 대출의 16.2%다. 평균 금리가 33.6%인 대부업 대출 9000억원(14.6%)에 여신전문금융회사(4000억원·6.2%) 대출까지 합하면 20대가 받는 대출의 37%, 2조3000억원이 고금리 대출이다.

 이들이 은행 대신 대부업체나 저축은행 등으로 몰리는 것은 고정 소득, 즉 안정된 일자리가 없어 은행 대출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의류매장에서 판매원으로 일하는 이모(24·여)씨는 3~4개월 전 저축은행을 찾았다. 자취방을 함께 쓰던 친구와 사이가 나빠지면서 갑작스레 집을 구해야 했다. 월 소득이 100여만원인 이씨에게 선뜻 돈을 빌려 줄 곳은 저축은행밖에 없었다. 마음이 급했던 이씨는 저축은행 두 곳에서 각각 400만원, 300만원을 빌려 보증금과 간단한 세간을 들이는 데 썼다. 34.5%, 34.9%의 대출 금리가 얼마나 높은지 그때는 알지 못했다. 대출을 받은 뒤부터 이씨의 통장에서는 매달 이자만 16만6000원이 빠져나갔다.

 이렇게 고금리 대출에 손을 대면서 신용불량자가 될 위기에 놓인 20대가 매년 6000명이 넘는다. 신용회복위원회가 27일 발표한 지원 실적을 보면 3분기 ‘개인 워크아웃’을 신청한 20대는 1957명으로 전체 신청자의 10.8%였다. 채무 연체자 10명 중 한 명은 20대인 셈이다. 특히 40대 워크아웃 신청자가 1분기 6450명에서 5671명으로 12% 감소하는 등 대부분의 연령층이 줄어든 상황에서 20대만 100여 명 증가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부업체와 저축은행은 공격적 영업을 멈추지 않고 있다. 최근 한 대부업체는 현역 군인을 대상으로 ‘충성론·병장론’을 출시하기도 했다. 이율은 법정 최고 금리인 34.9%다. 300만원을 대출하면 매달 8만7200원을 이자로 내야 한다.

대출받는 절차도 간단하다. 기자가 대부업체에 전화해 “취업준비생인데 300만원만 빌릴 수 있느냐”고 묻자 상담원은 “다른 대출이 있는지와 연체상황 등을 종합해 신용등급을 확인한 뒤 대출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신용등급이 보통이면 한 달에 8만5000원 정도의 이자를 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대부업체 3곳이 밝힌 대출 이자는 34% 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청년실업 등 구조적 문제와 20대의 금융 무지가 결합된 현상이라고 지적한다.

신용회복위원회 차재호 팀장은 “위원회를 찾아오는 학생들을 보면 대부업체를 제도권 금융으로 잘못 알고 있거나 금리 35%가 얼마나 높은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며 “중·고등학생은 물론 대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금융교육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등록금이나 생활비 등 청년들이 져야 할 경제적 부담이 큰데 이에 맞는 금융서비스가 없어 고금리 대출로 몰리는 것”이라며 “신용불량 위기에 놓인 청년들에 대한 구제대책과 함께 청년층 금융서비스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