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비즈 칼럼

탄력 받은 정부 전자기록 … 당당히 수출할만한 실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

‘내 손안에 정부’ 무슨 뜻일까? 정부의 행정서비스 대부분을 모바일기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나친 비약인 것 같지만,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다. 이를 가능하게 할 정보기술(IT)이 예측이 어려울 만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IT의 빠른 발전은 기록관리에도 적용돼 1500년여의 종이기록시대를 마감하고 전자기록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디지털 신호를 통해 저장되는 전자기록은 관리와 활용이 쉬워 스마트 기록관리의 전제조건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장점만 있을 수는 없다. 전자기록은 휘발성이 강하고, 생산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수명이 짧아 장기보존과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기록물의 생명인 원본성이나 진본성을 담보하기 위한 기술적 보완이 선결돼야 한다. 정부는 이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10여년을 준비해 왔다. 핵심내용은 특정 소프트웨어에 구애받지 않고 구동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기구가 정한 ISO 19005-1 표준에 따른 문서보존 포맷으로 변환하고, 여기에 해당 전자기록의 속성을 담은 메타데이터를 함께 묶어 놓아야 장기보존과 활용을 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기록물로 완성된다.

 이런 의미에서 정부 각 부처의 전자기록물이 본격 이관되는 올해가 국가기록관리가 진정한 전자기록시대로 거듭나는 원년이다. 영구보존이 필요한 공공기록물은 생산 후 10년이 되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는데, 올해가 그 첫해로 330만건의 전자기록이 순조롭게 이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주는 의미는 매우 크다.

 첫째, 한국의 정보통신기술 기술력이 기록관리분야에서도 입증됐다. 세계 최고수준의 인터넷망 기반위에 정부가 개발한 전자기록 생산시스템(OnNara), 부처별 기록관리시스템(RMS), 최종적으로 국가기록원에 보존하기 위한 영구보존시스템(CAMS)을 실시간 연결하는 체계를 구현했다.

 두 번째는 이러한 시스템으로 정부기록을 생산단계부터 누락 없이 관리함으로써 정부 투명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단계로 진입했다. 세 번째는 공공기록정보 자산의 축적으로 빅데이터 시대의 가속화에 일조하게 된다는 점이다.

 최근 정부는 보안, 교통, 조달, 관세 등 전자정부 아이템을 저개발국에 보급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 한국의 전자기록관리사례는 불과 50년전 저개발국에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대한민국 기록관리의 성공사례라는 점에서 저개발국가들에게 훌륭한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러한 가운데 2016년 9월에는 기록관리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국제기록관리협의회(ICA) 총회가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세계 199개 회원국의 기록관리기관 대표와 핵심 전문가 30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기록관리의 방향을 논하고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할 것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세계 기록인에게 한국 찬란한 기록문화 전통과 선진 기록관리의 현주소가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해 본다.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