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메르스 특별좌담 핫클립]김윤 서울의대 교수 "메르스 지뢰 남아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늘(22일) 오전 11시 중앙일보 홈페이지를 통해 생방송된 '메르스 긴급좌담'에서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49) 교수는 “정부가 낙관적인 전망을 반복하게 되면 국민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며 “안심시키기 위해 단정적인 표현을 쓰는 것을 삼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두번 다시 이런 일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방역체계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역학조사관 등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의료문화에 대해서도 “심한 정도가 아니면 응급실에 가지 말고, 가족끼리 문병 가는 것도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메르스 확진자가 증가세가 꺾인 이번주 메르스 좌담은 박태균 중앙일보 전 식품의약전문기자와 김윤 교수가 이번 사태에 대해 되짚어보는 시간이었다. 특히 우리 방역 수준의 현주소와 더불어 역학조사, 감염자들의 동선 공개 정보 범위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김윤 교수는 서울대 의대를 거쳐 미국 유타 의과대학에서 의료정보학 석사 과정을 마쳤다. 지난 2005년부터 5년 동안 보건복지부 EHR 핵심공통기술연구개발사업단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학원협회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메르스 사태가 진정 국면이 들어서긴 했지만, 아직도 지뢰가 있다면.
“삼성서울병원에서 환자 이송 요원이 감염력 있는 상태에서 상당 기간 접촉했다. 거기서 추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강동 경희대병원에서 혈액 투석을 받는 분이 메르스 진단을 받았는데 이 또한 많은 접촉을 했다. 세번째는 제주에서 접촉한 분이다. 그래서 추가 감염 위험성이 있다”

-강동 경희대병원의 경우 감염 경로가 불투명 하다.
“우리가 모르는 환자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서 더 불안하다.”

-이번 메르스 사타의 방역 수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가장 큰 허점은?
“첫 번째는 정부의 초기 방역 실패다. 두번째는 정부의 비밀주의다. 그리고 세번째는 감염에 취약한 우리나라의 병원이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의료 문화가 감염에 굉장히 취약하다. 문병을 떼거리로 간다든지, 병원쇼핑을 한다든지.”

-초기방역 실패의 원인은.
“전문가가 부족하다. 감염 관리는 역학조사가 핵심인데 이것을 담당하는 사람은 단 두명과 나머지는 공중보건의다. 현재 대학 교수님이나 연구원들을 동원해서 하고 있는데 이렇게 임시방편으로 하면 안 된다. 앞으로 충분한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그래서 이럴 때 총동원해서 투입해야 한다.”

-메르스를 너무 과소평가했나.
“부분적으로 동의한다. 메르스는 발생한지 3년 밖에 안돼 우리가 모르는 것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HO가 만든 기준에 지나치게 과도하게 의존해서 방역조치를 한 것이 패착이었다. 지금은 국제적으로 교류가 빈번해졌으니까 거기에 참여하고 대비체계를 갖춰야 한다.”

-정부의 비밀주의란.
“정부가 초기에 적극적으로 알렸으면 방역을 잘 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4번 환자가 삼성 서울병원에서 80명 넘게 감염시켰는데, 일찍 알렸다면 그렇게 많은 인원이 감염되지 않았을 것이다. WHO나 미국의 CDC의 감염병 메뉴얼에는 ‘가능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것이 원칙이다.”

-정보 공개의 범위는. 환자가 들른 식당 정보도 공개해야 하나.
“환자가 간 식당에 분비물이 묻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그런 것도) 공개해야 한다. (메르스 환자가 들른) 식당을 찾은 사람도 스스로 신고를 하고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렇게)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다. 현재도 여전히 환자의 감염경로 동선이 불분명한 환자가 있다. 초기보다 많은 정보를 주고 있지만 아쉽다.”

-우리의 의료문화를 지적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문제가 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은 늘 환자가 많다. 외국은 그렇게 않다. 아주 급한 일이 아니면 응급실에 가지 않는다. 응급실에 가도 우리처럼 극단적으로 대형병원을 선호하지 않는다. 통계적으로 우리나라 응급실 이용자의 30%가 중환자이고, 70%는 경증 환자다. 위중하지 않으면 다음날 동네 병원에 가도 된다. 또 보호자도 굳이 진료 공간에 머무를 필요가 없다.”

-소통 부재에 대한 얘기를 했는데, 정부가 양치기 소년이 됐다.
“앞서 말한 것처럼 WHO나 CDC는 신종 감염병이 발생하되면 이렇게 소통해야 한다는 메뉴얼이 있다. 메뉴얼 첫째는 국민을 안심시키려고 단정적인 표현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지난 토요일에 메르스 환진 환자가 발생 안했다. 환자가 발생 안했을 때 정부가 ‘진정국면에 들어갔다’고 했다. 하지만 어제 오늘 각각 세명의 환자가 생겼다. 언제든지 많은 수의 환자가 생길 수 있는 지뢰가 있다. (그러므로) 낙관적인 전망을 반복하는 것은 국민의 신뢰를 잃을 수도 있다.”

-그럼 어떻게 소통해야 하나.
“‘환자가 줄고 있다’ 정도면 된다. 언제든지 환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을 놓아서는 안된다. 앞으로 다가올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해 정확하게 말해야 한다. 단기간에 우리가 바라는 것만큼 빨리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위기상황에서 정부가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에 국민과 파트너십을 이뤄야 한다.”

-신종플루 때도 격리 시설 만든다고 했다가 흐지부지 됐다.
“현재 음압 격리시설이 100군데 정도 있다. 많이 늘었는데 아직도 부족하다. 문제는 중환자를 치료하는 대학병원에 격리실이 없다는 점이다. 삼성서울병원은 한곳도 없다. 투자는 많이 해야 하는데 수익은 안나니까 안하려고 한다.”

-역학조사와 격리 조치, 이 밖에 다른 방법은 무엇인가.
“발생 자체를 막을 수 있다면 좋다. 또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번에도 중동으로 여행가는 사람들에게 사전에 정보를 주고, 돌아오는 비행기에도 신고하라는 예방 조치를 했어야 했다.”

-이번 메르스로 많은 분들이 희생됐다. 교훈으로 삼을 점은.
“다시 반복하지 않으려면 방역체계 강화와 전문인력 양성이 꼭 필요하다. 또 병원 감염관리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 셋째는 의료문화를 바꿔서 심한 정도가 아니면 동네병원으로 가고 응급실도 자제해야 한다. 또 문병간다고 가족끼리 몰려가는 것도 고쳐야 한다.”

중앙일보의 인터넷방송은 홈페이지 내 오피니언 코너 ‘오피니언 방송’(httpS://www.joongang.co.kr/opinion/opinioncast)에서 시청할 수 있다.

정리 김영주 기자·박양원 인턴기자, 촬영 김세희·김상호 humanest@joongang.co.kr

▶박태균 전 중앙일보 식품의약전문기자의 '메르스 긴급좌담'
[1회 보기][메르스 긴급좌담]기모란 교수 "일부 환자 감염 경로 파악 안돼"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