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37번 환자, 열난 뒤 일주일간 지하철 2·3호선 출퇴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발열이 시작된 뒤 열흘간 일상생활을 지속해 온 137번 확진자(삼성서울병원 응급이송 요원)가 병원 출퇴근 시 지하철 2·3호선을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와 관악구 관계자는 15일 “관악구에 살고 있는 137번 환자가 출퇴근 시 서울대입구역(2호선)에서 교대역(2·3호선 환승)을 거쳐 일원역(3호선)까지 지하철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이어 “교통카드(T머니) 사용 내역을 확인한 결과 최소 7일간(6월 4~10일) 출퇴근 혼잡 시간에 지하철을 이용했다”며 “137번 환자와의 직간접 접촉자가 삼성서울병원에서만 456명으로 집계됐는데 그 수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137번 환자가 지하철을 이용한 시기는 증세가 심해진 6월 5~8일도 포함돼 있다. 이에 서울시는 폐쇄회로TV(CCTV)를 통해 구체적인 동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환자의 병원 밖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 신용카드 내역과 휴대전화 위치를 확인하면서 137번 환자의 활동 범위가 광범위하게 넓어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지하철 동선 확인에 앞서 서울시는 “137번 환자가 지난 5일 보라매병원 응급실에 들른 사실이 14일 오후 확인돼 즉시 병원 응급실을 폐쇄했다”고 밝혔다. 응급실 방문 사실은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결과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날 137번 환자의 아들이 얼굴을 다쳐 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았고 이에 환자가 부인과 함께 병원을 방문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엔 아들의 진료 기록만 남아 있었고, 기록 확인만으론 137번 환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 같은 사실은 서울시 역학조사반이 13일부터 환자의 병원 밖 동선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조사반이 경찰과 협조해 휴대전화 위치를 추적한 결과 137번 환자가 5일 오후 4시쯤 서울 대방동에서 2시간 정도 머물렀다. 이에 그는 “관악구에 살고 있어 근처에 들른 것 같다”고만 했다. 체류 시간이 길다고 판단한 조사반은 신용카드 내역 등을 확인했더니 당일 보라매병원 사용 내역이 나왔다. 그는 그제야 “아들이 다쳐서 갔다. 내가 간 병원만 생각해 그것까지 챙기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역학조사반은 병원 CCTV를 통해 환자의 기침 여부와 접촉자 숫자를 확인했다. 시에 따르면 137번 환자는 응급실에 1시간30분(오후 4시50분~6시20분) 머무르는 동안 직간접적으로 80명과 접촉했다. 당시 응급실에 있던 환자 36명 중 26명은 이미 퇴원했다.

 중앙메르스본부 즉각대응팀 엄중식(한림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조사 결과 137번 환자가 기침 증세가 심하지 않아 바이러스를 뿜어낸 양이 별로 없다”며 “14번 환자처럼 대규모 감염을 일으키진 않을 것으로 보여 지금으로선 차분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인식·장혁진 기자 kangi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