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취재일기] '안상수 청문회'로 잃어버린 것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담당 검사였던 안상수 창원시장(뒷줄 왼쪽)이 지난 7일 국회에서 열린 박상옥 대법관 후보자(앞줄)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허 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내가 국회의원 16년을 했는데 이런 청문회는 처음 봤다. 무슨 ‘안상수 청문회’를 하느냐.”

 박상옥 대법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 다음날인 8일 안상수 창원시장의 말이다. 한나라당 대표와 4선 의원을 지낸 안 시장은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실을 파헤친 검사다. 그런 그가 인사청문회 증인으로 불려 나와 5시간 넘게 청문위원들에게 추궁당했다.

 야당이 집요하게 물고 늘어진 건 “진실을 밝혀낸 주역은 안 시장이 아니라 최환 당시 서울중앙지검 공안부장이었다”는 걸 전제로 안 시장과 박 후보자가 포함된 당시 검찰 수사팀이 사건을 축소·은폐하는 데 동조하거나 묵인했다는 가설이었다. 안 시장의 공(功)을 들어내면 박 후보자의 ‘대법관 자격’도 뺏을 수 있다는 논리적 계산이었다. 박 후보자가 당시 권력의 외압이나 안기부가 주도한 관계기관대책회의 등 핵심 쟁점에 대해선 “아는 바가 없다”고 회피한 것도 안 시장으로의 쏠림에 영향을 줬다.

 하지만 그 정도가 과했다. 개회 후 14시간 중 정회를 제외하면 청문회의 절반에 가까운 시간을 안 시장 추궁에 할애했다. 직접 질의하지 않는 게 관례인 인사청문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의원)까지 나서 질문하는 풍경도 벌어졌다. 공세가 계속되자 안 시장은 95년 자신이 쓴 『이제야 마침표를 찍는다』를 들어 보이며 “박종철 열사의 부친께서도, (추가 공범의 존재를 폭로한) 정의구현사제단의 김승훈 신부도 (내 역할을) 높게 평가했다”며 “28년 전의 시대 상황에서 일어난 일을 완전하게 민주화가 이뤄진 이 시점에서 평가하면 왜곡될 수 있다”고 항변했다.

 암울했던 군사독재 시절의 비인간적 만행과 치부가 세상에 알려지는 과정에 대해선 역사학계의 치열한 논쟁이 더 필요할지도 모른다. 얼마든지 바꿔 쓸 수 있는 게 역사다. 하지만 몇몇 의원이 윽박지른다고 금세 바뀌지 않는 게 역사다. 청문회가 끝나고 확인된 건 대법관 공백 50일 동안 야당이 박 후보자의 대법관 자격을 박탈할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을 못 찾았다는 것이다. 반대가 절실했다면 더 치열하게 ‘팩트(사실)’를 찾았어야 했다.

 안타깝게도 ‘안상수 청문회’로 변질되는 동안 청문위원들은 박 후보자의 법관 자질을 제대로 따지지 못했다.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이 탄생하는 결정적 계기가 된 사법부의 ‘벤츠 여검사’ 무죄 판결, 국민의 60% 이상은 존치를 원하지만 사문화된 사형제도 등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여야는 8일 청문회 기간을 연장하는 문제로 옥신각신했다. 대법관 공백이 더 길어질 가능성도 크다. ‘안상수 청문회’와 대법관 공백의 장기화를 역사는 어떻게 평가할까.

허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