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漢字, 세상을 말하다] 餘桃之罪<여도지죄>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20호 27면

중국 전국(戰國)시대의 인물 한비자(韓非子)가 쓴 유세(遊說) 지침서 ‘세난(說難)’편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위(衛)나라 영공(靈公)의 곁에 미자하(彌子瑕)라는 신하가 있었다. 그는 영공의 총애를 받았는데 능력이 출중해서가 아니고 젊고 잘생겼기 때문이었다. 어느 날 한 사람이 미자하를 찾아와 그의 어머니가 위독하다고 알려주었다. 미자하는 한시라도 빨리 집으로 달려 가고자 영공의 수레를 허락도 없이 타고 나갔다. 당시 위나라 국법은 왕의 수레를 훔쳐 타는 자에게 발꿈치를 자르는 형벌을 가했다. 그러나 나중에 이 소식을 들은 왕은 벌을 내리기는커녕 미자하를 칭찬했다. “효자로다. 어머니를 위해 죄 짓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다니”.

하루는 또 미자하가 영공을 따라 과수원에 갔다. 미자하는 복숭아 하나를 따서는 한 입 베어 그 맛을 봤다. 달기가 그지 없었다. 그제서야 곁에 있던 왕이 생각난 미자하는 먹던 복숭아를 영공에게 건네며 맛 보기를 권했다. 영공은 무엄하다고 생각지 않고 또 한 번 미자하를 두둔했다. “참으로 나를 위하는구나. 자기가 먹고 싶은 것을 참고 내게 주다니”.

그러나 세월이 흘러 미자하의 모습이 예전 같지 않아졌고 미자하에 대한 영공의 총애 또한 식었다. 이 때 미자하가 사소한 잘못을 저질러 영공 앞에 서게 됐다. 미자하는 다시 한 번 왕의 너그러움을 기대했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영공은 “저 놈은 본디 고약하다. 한 번은 내 수레를 훔쳐 타지 않나, 또 한 번은 자신이 먹던 복숭아를 내게 권하지 않나” 하며 크게 꾸짖었다.

여기서 먹다 남은 복숭아를 바친 죄라는 뜻의 여도지죄(餘桃之罪)라는 말이 나왔다. 왕을 대하는 미자하의 행동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던 데 반해 미자하를 대하는 왕의 태도가 딴판으로 변한 게 화근이었다. 태도가 변한 왕이 문제인가, 아니면 변한 왕을 살피지 못한 미자하가 문제인가.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을 가진 왕을 탓해야 소용 없는 일이다. 그보다는 변한 상황을 눈치채지 못한 미자하의 어리석음이 더 큰 문제라 하겠다.

중국에서만 부는 줄 알았던 반부패 사정 바람이 최근 우리 사회도 강타하고 있다. 사정당국을 탓할 게 아니라 그런 사정 바람을 몰고 온 환경 변화를 제대로 읽어야 할 것이다.

유상철 중국전문기자 scyo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